• Title/Summary/Keyword: kinematic wave model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Motion Response of an Oil Boom with Flexible Skirt (유연한 스커트를 가진 오일붐의 운동응답해석)

  • 성홍근;조일형;최항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7 no.2
    • /
    • pp.156-162
    • /
    • 1995
  • A numerical method for a 2-D oil boom model considering the flexibility of skirt has been developed The neater is assumed rigid and the skirt is tensioned membrane having a point mass at its end The fluid motion is potential. The kinematic condition which demands the continuity of the displacement is imposed at the joint between the floater and the skirt. The dynamic condition for the point mass is imposed at the bottom end of the skirt. The numerical method is based on the Green's function method in the frame of linear potential theory. It finds it's solution simultaneously from the total system of three equations, integral equation, the equation of motion of the floater and the equilibrium equation of the deformation of the skirt. Integral equation is derived by applying the Green's theorem to radiation potential and Green's function. Proper descretization of those three equations leads to the system of a linear algebraic equation. Due to the flexibility of skirt the motion of floater can be diminished in some range of wave frequency and furthermore the mechanism of resonance of the oil boom can be changed. The motion responses of various oil booms have been compared varying the length of the skirt and the point mass. The numerical method has been validated indirectly from the good correspondence between the motion responses of the flexible skirt model and the rigid skirt model in low frequency limit.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the SWMM Model Parameters Based on Design Rainfall Condition (설계강우조건에 따른 SWMM모형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 Lee, Jong-Tae;Hur, Sung-Chul;Kim, Tae-Hw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3 s.152
    • /
    • pp.213-222
    • /
    • 2005
  • This study is a sensitivity analysis of the parameters which affect the simulation results under various design rainfall conditions, using the SWMM model, for three selected basins in urban areas. The sensitivity of the peak flow rate is defined by $S_Q$ (=1.0 - (min. ratio of peak flow rate/max. ratio of peak flow rate)), and the rainfall conditions are classified in terms of design rainfall frequency, duration, and distribu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in most conditions the parameters - the impermeable area ratio, the sewer slope, and the initial infiltration capacity - have more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sults than other parameters. As the design rainfall frequency increases, the sensitivity of the sewer slope and sewer roughness increases, while the parameters related with the surface runoff decrease. When the rainfall duration increases, the sensitivities of most parameters of surface runoff and sewer flow decrease. Also, at the 1st quarterly Huff rainfall distribution condition, the impermeable area ratio has high sensitivity, but at the 4th quarterly condition the parameters related with sewer flow show higher sensitivities. These tendencies can be explained by considering the procedure for computing the effective rainfall and kinematic wave on the surface and sewer flow.

Modification of Hydro-BEAM Model for Flood Discharge Analysis (홍수유출해석을 위한 Hydro-BEAM모형의 개선)

  • Park, Jin-Hyeog;Yun, Ji-Heun;Chong, Koo-Yol;Sung, Young-D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179-2183
    • /
    • 2008
  • 지금까지 분포형 모형 개발에 대한 많은 노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제약사항들에 의해 잠재력을 보여주는 정도로 활용되어 왔으나,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는 컴퓨터의 계산능력, DEM 등 디지털정보의 구축이 진행되어 오고 있고, GIS 및 인공위성 영상기법의 발달로 공간적인 비균질성을 고려하여 유출과정에서 운동역학적인 이론을 기반으로 물의 흐름을 수리학적으로 추적해 나가는 물리적기반의 분포형 유출모형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본 모형개발에 있어 이론적 배경이 된 모형은 1998년부터 일본 교토대학 방재연구소 코지리 연구실에서 개발 중인 Hydro-BEAM으로 유역 물순환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장기간의 유역 내 유량, 수질을 시계열 및 공간적으로 파악하여 유역의 영향평가를 위해 개발된 물리적 기반의 격자구조를 가진 분포형 장기유출 모형이다. 유출량 계산은 유역내 수평 유출량산정 모듈로서 평면 분포형의 격자형을, 연직 분포형으로는 $A{\sim}B$층의 수평유출량은 하천으로 유입하고, C층은 하천유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하수층으로 가정하는 다층모형을 이용해서 A층, 지표 및 하도흐름은 운동파 법(kinematic wave)으로, $B{\sim}C$층의 유출량은 선형저류법으로 계산하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격자흐름방향을 4방향에서 8방향으로 개선하였고, 모형의 각종 수문매개변수들을 GIS와 연계하여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물리적기반의 침투과정을 모의할 수 있도록 Green & Ampt모듈을 추가하고, 향후 레이더 강우 및 수치예보강우의 홍수유출예측을 염두에 두고 격자강우량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홍수유출해석을 위한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으로 개선 하였고, 이를 남강댐유역에 적용해 봄으로써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홍수기동안의 지표흐름과 지표하 흐름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 분포를 모의할 수 있었으며, 전처리과정으로서 ArcGIS 혹은 ArcView등의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형에 필요한 ASCII형태의 입력 매개 변수 자료들을 가공하였다. 또한 후처리과정으로서 모형의 수행결과인 유역내의 유출량 분포 등을 GIS상에서 나타낼 수 있도록 ASCII형태로 출력하도록 구성하였다. 남강댐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을 500m의 정방형 격자로 분할하고 수계망을 통하여 유역 출구까지 운동파이론에 의해 추적 계산하였으며, 수문곡선 비교결과 재현성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모형의 정확성 및 실용성에 대한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강우 사상 혹은 다양한 크기의 유역에 대한 유출량의 재현성 및 매개변수 등에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