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mchi fermentation

검색결과 860건 처리시간 0.027초

초기 숙성 조건을 달리한 배추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Initial Auto-aging Condition During Storage)

  • 박혜린;오지은;조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60-167
    • /
    • 2019
  • 본 연구는 김치 냉장고 내에서 초기 숙성 조건을 달리한 배추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소비자 기호도를 측정하여 김치냉장고의 발효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진행되었다.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시료는 경도가 감소하였다. 젖산은 저장 2주차에는 급격히 증가하여 저장 기간 내 많은 함량을 보였다. 하지만 $-1.3^{\circ}C$에서 바로 저장한 시료는 타 시료에 비해 낮은 젖산 값을 보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젖산균의 함량은 초기 4.50 logCFU/mL에서 6.70~7.47 logCFU/mL까지 증가하였다가 5.08~6.10 logCFU/mL의 값까지 감소하였다. 소비자 기호도 평가 결과, 저장 6주차까지 초기 숙성을 거친 세 시료들의 전반적 기호도, 전반적인 맛에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초기 숙성 없이 바로 저장한 시료는 4주차까지 낮은 전반 기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초기 숙성 조건은 저장기간 동안의 김치의 맛과 발효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키토산과 유기산염 첨가가 배추김치의 저장성과 펙틴분획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san and Organic Acid Salts on the Shelf-life and Pectin Fraction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이지선;이혜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19-327
    • /
    • 2000
  • 배추김치에 0.25% chitosan, 0.5% chitosan, 0.5% chitosan+0.04M Na-malate, 0.5% chitosan+0.04M Na-lactate, 0.5% chitosan+04M Na-citrate를 첨가하여 김치의 숙성 과정 중 pH, 산도, pH/TA ratio, ascorbic acid 함량 및 Pectin질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김치의 숙성과정 중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 0.25% chitosan 첨가군, 0.5% chitosan 첨가군, 0.5% chitosan+Na-citrate 첨가군, 0.5% chitosan+Na-malate 첨가군, 0.5% chitosan+Na-lactate 첨가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2. 김치의 숙성과정 중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 0.5% chitosan+Na-malate 첨가군, 0.25% chitosan 첨가군, 0.5% chitosan+ Na-citrate 첨가군. 0.5% chitosan 첨가군, 0.5% chitosan+Na-lactate 첨가군의 순으로 증가하였다. pH/TA ratio는 김치의 숙성 중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 0.25% chitosan 첨가군, 0.5% chitosan+Na-malate 첨가군, 0.5% chito-san+Na-citrate 첨가군, 0.5% chitosan+Na-lactate 첨가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3. Ascorbic acid 함량은 3일째에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0.5% chitosan에 유기산염 병용첨가군이 다른 군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그 후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4. AIS 함량의 변화는 숙성기간이 지날수록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 0.25% chit-osan 첨가군, 0.5% chitosan 첨가군, 0.5% chito-san+Na-citrate 첨가군, 0.5% chitosan+Na-lactate 첨가군, 0.5% chitosan+Na-citrate 첨가군 순으로 감소하였다. 5. AIS로부터 펙틴을 추출하여 HWSP, HXSP, HCISP로 분획한 함량비는 대조군이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HWSP가 증가하고 HCISP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chitosan 첨가군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HWSP가 감소하고 HCISP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chitosan의 첨가는 김치의 보존성 향상에 효과를 보였으며. 유기산염과 병용첨가군이 단독첨가군보다 더욱 효과적이었다. 유기산염의 종류에 따른 병용에 있어서는 Na-lactate 첨가군이 Na-citrate와 Na-malate 첨가군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 PDF

김치냉장고의 숙성 후 저장 및 저온 저장 모드에서 6개월간 저장한 김장 김치의 발효특성 비교 (Comparison of Fermentation Properties of Winter Kimchi Stored for 6 Months in a Kimchi Refrigerator Under Ripening Mode or Storage Mode)

  • 이은화;이명주;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619-1625
    • /
    • 2012
  • 김장김치를 김치냉장고에서 6개월간 '숙성 후 저장'과 '저온 저장' 모드에서 저장하였을 때 발효 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본 연구에 사용한 '숙성 후 저장' 모드에 보관한 김치는 $10^{\circ}C$에서 5일간 발효시킨 후 $-2.5^{\circ}C$에 저장한 F1김치, $15^{\circ}C$에서 1일 발효시킨 후 $-2.5^{\circ}C$에서 저장한 F2김치이고, '저온 저장'에 보관한 김치는 담금 즉시 $-1^{\circ}C$에 저장한 S1김치와 $-2.5^{\circ}C$에 저장한 F2김치 4종류이다. '숙성 후 저장'한 F1김치는 2주에 pH 4.4, 그리고 산도는 0.6%로 숙성기에 접어들었으나 F2김치는 8주, '저온 저장'한 S1김치는 12주에 그리고 S2김치는 저장 말기에 숙성기로 접어들었다. Lactobacillus spp. 생육은 F1 및 F2김치에서는 저장 초기부터 급속히 증식하여 8주에 최대 균수인 8.0~9.0 log CFU/mL에 도달한 후 F1김치에서는 균수가 6개월간 지속된 반면, F2김치에서는 저장 12주 이후 감소하였다. S1과 S2김치에서는 8주에 최대 균수인 6.8 log CFU/mL에 도달하여 적숙기 최대 균수에 미치지 못하였다. Leuconostoc spp.는 저장모드에 따라 최대 생육 시점은 다르나 8.0~9.0 log CFU/mL에 도달하였다. F1김치의 Leuconostoc spp.는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최대 생육에 도달한 반면, 다른 김치 시료에서는 최대 생육 후 균이 감소하였다. 고온 젖산균인 Lactobacillus spp.의 생육은 '저온 저장'한 김치에서 억제되었으나 Leuconostoc spp.의 생육은 $-2.5^{\circ}C$와 같이 낮은 온도에서도 최대 생육을 하였다. 김장김치의 관능은 저장 3개월까지 외관, 신맛, 탄산미, 아삭아삭함에서 F1김치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이는 Lactobacillus spp.와 Leuconostoc spp.의 균수가 가장 높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6개월 후에는 F1와 S1김치가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S1김치는 저장 말기에 신맛과 탄산미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는데, 이는 Leuconostoc spp.의 균수 저장 후기에 높아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김장김치를 저장 기간 내 맛있게 먹기 위해서는 김치를 완전히 숙성시킨 후 저온에서 저장하는 방법인 $10^{\circ}C$에서 5일 동안 발효시켜 $-2.5^{\circ}C$로 온도 변환하는 시스템이 가장 우수하였다. '저온 저장' 온도로는 $-1^{\circ}C$$-2.5^{\circ}C$보다 우수하였다.

냉장고를 이용한 김치발효 및 저장 제어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Control System for Kimchi Fermentation and Storage Using Refrigerator)

  • 고용덕;김흥재;전성식;성낙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99-203
    • /
    • 1994
  •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김치의 품온을 유추함으로써 사계절에 관계없이 일정한 김장 김치맛을 감도록 하면서 소비자의 기호도를 고려하여 풋맛(key I), 김장맛(key II), 익은맛(key III)에 가까운 김치를 조기에 숙성시켜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냉장고용 자동 제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때 온도에 대한 micom의 디지털 출력값과의 상관관계식은 $T(^{\circ}C)$=-2.1516D+61.2037이었고 R은 0.9759로 나타났다. 자동제어시스템에 의한 김치 발효효과를 조사한 결과 key I에서는 식염농도 2%, 3% 및 5%의 경우 김치의 적숙기에 해당하는 pH4.5. 산도 0.6%에 이르는데 각각 약 $3{\sim}4$일, $4{\sim}5$일 및 $11{\sim}12$일, key II에서는 약 $2{\sim}3$일, $3{\sim}4$일 및 $10{\sim}11$일 그리고 key III에서는 약 2일, 3일 및 $9{\sim}10$일이 소요되었다. 그리고 발효 및 저장선택 3단계 key에서 저장효과는 모두 14일까지 식이 가능한 수준의 pH 및 산도범위로 유지되었고 pH 및 산도, 총균수 및 젖산균수, 환원당 함량의 변화 결과로 보아 저장효과가 어느정도 더 연장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김치의 관능평가에서도 기호도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3% 시험구가 관능적으로 가장 좋았고 2%, 5% 순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5% 시험구는 발효도 느리게 일어나고 관능적인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imchi Starters Leuconostoc mesenteroides PBio03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PBio104 for Manufacture of Commercial Kimchi

  • Lee, Kang Wook;Kim, Geun Su;Baek, A Hyong;Hwang, Hyun Sun;Kwon, Do Young;Kim, Sang Gu;Lee, Sang 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7호
    • /
    • pp.1060-1066
    • /
    • 2020
  • This study was focused on developing and obtaining a kimchi starter for use in commercial kimchi production. Kimchi varieties made with selected starters are of high quality, have high levels of mannitol, and extended shelf life. The starters were screened for properties such as mannitol production, low gas/acid production, and acid resistance. Finally, kimchi fermentation testing was performed using selected LAB starters. Kimchi samples were prepared with lactic acid bacteria (LAB) starters, includ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PBio03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PBio104. The LAB starters are isolated from kimchi and can grow under pH 3.0 and low temperature conditions of 5℃. Four kimchi samples were fermented and stored for 28 days at 5℃. The kimchi samples made with starters (PBio03 and PBio104) had better quality (production of mannitol and maintenance of heterofermentative LAB dominance) than the non-starter kimchi samples. In the starter kimchi, Leu. mesenteroides was the dominant LAB, comprising 80% and 70% of total LAB counts at 7 and 21 days, respectively. Mannitol content of the kimchi with Leu. mesenteroides PBio03 was 1,423 ± 19.1 mg/100 g at 28 days,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starter kimchi sample (1,027 ± 12.2 mg/100 g). Thes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kimchi with improved qualities using Leu. mesenteroides PBio03 and PBio104 as starters.

The Effects of Red Pepper Seed on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 Sim, Ki-Hyeon;Kim, Soon-Im;Cho, Yun-Kyung;Cho, Young Sim;Han, Young-Sil
    • Food Quality and Culture
    • /
    • 제1권1호
    • /
    • pp.27-33
    • /
    • 2007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red pepper seed (0%, 1%, 3%, 5%, and 7%) on pH, total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content, total microbes, lactic acid bacteria, and sensory quality, in terms of prolonging the shelf-life of kimchi. The additions of red pepper seed resulted in higher pH levels, while total acidity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kimchi with red pepper seed had higher reducing sugar contents than the control. Furthermore, the kimchi with red pepper seed showed higher b-values than the control. During fermentation, the am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otal microbes were higher in the kimchi with red pepper seed than in the control, and the higher ratios resulted in higher quality kimchi. The additions of red pepper seed also resulted in changes of color, flavor, taste, and texture, having a large influence on overall product quality. In conclusion, in terms of preservation and consumption, the 3% and 5% red pepper seed concentrations offered enhanced shelf-life and better quality kimchi products.

  • PDF

김치의 저장 중 품질 유지를 위한 방안 개발 (A Method for Maintaining Good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 방병호;서정숙;정은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55
    • /
    • 2008
  • Colour and texture are the most difficult quality aspects of Kimchi to maintain during storag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o maintain superior quality Kimchi during fermentation without changes in color and texture. By examining differences between samples covered with vinyl(A group) and not covered with vinyl(B group) and assessing pH, total acidity, total viable cell count, total lactic acid bacteria cell count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indicated that pH, total acidity, total viable cell and total lactic acid bacteria were similar between group A and B. Group A showed higher sensory score for colour, taste, texture and acceptability than group B(p<0.001). Covering the Kimchi with vinyl appeared to have a similar effect as when Kimchi is kept in a Kimchi-pot under stones or the outer leaves of vegetables making it possible to maintain good color and texture during storage. In conclusion, even though, it is not practical to use Kimchi-pots within urban settings today, vinyl coverings may offer the same effects.

김치로부터 Lactobacillus sakei 생육저해 Leuconostoc 및 Weissella 속 균주의 분리 (Isolation of Leuconostoc and Weissella Species Inhibiting the Growth of Lactobacillus sakei from Kimchi)

  • 이광희;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5-181
    • /
    • 2011
  • Kimchi is a group of traditional fermented vegetable foods in Korea and known to be the product of a natural mixed-fermentation process carried out principally by lactic acid bacteria (LAB). According to microbial results based on conventional identification,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were considered to be responsible for the good taste and over-ripening of kimchi, respectively. However, with the application of phylogenetic identification, based on 16S ribosomal RNA gene similarities, a variety of Leuconostoc and Lactobacillus species not detected in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isolated, together with a species in the genus Weissella. Additionally, Lactobacillus sakei has been accepted as the most populous LAB in over-ripened kimchi. In this study, Leuconostoc and Weissella species inhibiting the growth of Lb. sakei were isolated from kimchi for future applications to do with kimchi fermentation. From 25 kimchi samples, 378 strains in the genera Leuconostoc and Weissella were isolated and 68 strains identified as Lc. mesenteroides, Lc. citreum, Lc. lactis, W. cibaria, W. confusa, and W. paramesenteroides exhibited growth inhibition against Lb. sakei. Most of the strains also had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Lb. brevis, Lb. curvatus, Lb. paraplantarum, Lb. pentosus, and Lb. plantarum. Their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Lb. sakei were more remarkable at lower temperatures of incubation.

파쇄김치의 발효중 조건에 따른 항돌연변이 활성변화 (Changes in Antimutagenic Activities of Crush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Different Conditions)

  • 김순동;우철주;이창호;김미경;김일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22-227
    • /
    • 2000
  • Antimutagenic activity of crushed kimchi fermented with starter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5-20$^{\circ}C$), salt concentration(2-10%), addition rate of starter (0-20%) was investigated. The kimchi was fermented with crushed Chinese cabbage without salting, red pepper powder, crushed garlic, crushed ginger, anchovy juice and starter. Well fermented kimchi juice(fermented at 10$^{\circ}C$ for 15 days) and sterilized radish juice was used as a source of lactic acid bacteria and starter medium, respectively. Antimutagenic activity showed the highest in the crushed kimchi fermented at 15$^{\circ}C$ for 15 days, 4% salt concentration, 5% starter added, respectively. The inhibition rate of mutagenic activity of the kimchi against S. typhimurium TA98 induced by NQO and S. typhimurium TA100 induced by MNNG was 56.41% and 60.11%, respectively. And the inhibition rate of the kimchi juice showed 56-60% per 100ul.

  • PDF

양파와 배의 첨가가 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ion and pear on Kimchi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Fermentation)

  • 최은정;조신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3-251
    • /
    • 2009
  • 양파와 배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이화학적 특성과 기호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양파와 배 무첨가군과 첨가군 모두 김치가 숙성됨에 따라 pH는 감소하고 산도는 증가하였으며, 다량의 양파와 배의 첨가군은 무첨가군에 비해 김치의 초기 숙성이 빨리 진행되었다. 당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값이 감소하였으며, 양파 또는 배 첨가군은 무첨가군에 비해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염도는 발효에 의해 변화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으며, 양파, 또는 배 첨가에 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중심합성 계획법에 의해 일정 비율의 양파와 배를 첨가한 김치의 관능적 측정 결과 냄새, 맛, 전반적인 기호도는 유의차가 인정되었지만, 외관과 텍스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김치의 반응표면 분석 결과 냄새는 안장형을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최고형을 나타내었다. 냄새의 최적 조건은 양파 $4.55{\sim}5%$, 배 $0{\sim}3.0%$의 범위 였으며, 맛의 최대점은 양파 2.61%, 배 2.38%였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의 최대점은 양파 2.78%, 배 2.57%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