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mchi, xylos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5초

자일로스와 자일리톨 첨가가 김치의 유기산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Xylose and Xylitol on the Organic Acid Fermentation of Kimchi)

  • 김동경;김상용;이정걸;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889-895
    • /
    • 2000
  • 자일로스와 자일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 발효시 pH, 적정산도 등의 이화학적 특성과 젖산 및 유기산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김치에서 분리된 미생물의 당 이용도와 자일로스와 자일리톨를 첨가한 배지에서의 젖산균수를 측정하였다. 김치 미생물의 당 이용도를 보면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 6종류 중 자일로스의 경우는 5균주가, 자일리톨의 경우에는 6균주 모두를 이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볼 때 발효성 당이 아닌 자일로스와 당알코올인 자일리톨의 첨가가 김치의 숙성을 억제시켜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자일로스와 자일리톨을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pH는 시료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자일리톨 첨가구의 경우가 다른 시료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적정산도의 경우는 자일로스와 자일리톨 첨가구의 경우가 다른 실험구보다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산 생성속도를 억제시켜 가식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었다. 유기산의 측정 결과를 보면 자일로스와 자일리톨을 첨가한 실험구의 경우 설탕을 첨가한 실험구보다 젖산과 다른 유기산의 생성이 느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당류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는 거의 비슷하거나 다소 생성이 저해되었다. 따라서 김치 제조 시 자일로스와 자일리톨을 첨가하면 발효 미생물 등의 성장을 억제하여 김치의 저장기간 동안 숙성을 억제함으로써 유통기간을 연장시켜 김치의 가식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 PDF

김치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buchneri의 젖산 생산 특성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Production by Lactobacillus buchneri Isolated from Kimchi)

  • 심현수;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86-290
    • /
    • 2015
  • 전국에서 수집한 전통발효 식품으로부터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그 중에서 8점의 Lactobacillus 속 젖산균을 이용하여 젖산생산능을 평가하였다. 자일로스가 50 g/l 첨가된 MRS 배지를 이용하여 호기 또는 혐기배양을 실시한 결과 L. buchneri MBE909로 명명된 균주가 혐기적인 배양조건에서 가장 우수한 젖산생산량을 나타내었다. 혐기적인 조건에서 젖산생산을 위한 L. buchneri MBE909 균주의 최적 배양온도는 37℃이었으며, 초기 자일로스 농도가 50 g/l일때 젖산생산량(22.3 ± 0.3 g/l)이 가장 우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L. buchneri MBE909 균주는 자일로스를 효율적으로 대사하여 젖산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Lactococcus sp. JK-8에서 생산된 D-Xylose isomerase의 정제와 특성에 관한 연구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D-Xylose Isomerase from Lactococcus sp. JK-8)

  • Jun, Hong-Ki;Kim, Suk-Young;Baik, Hyung-Suk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36-643
    • /
    • 2004
  • 김치에서 분리된 Lactococcus sp. JK-8 균주에 의해 생산되는 D-xylose isomerase를 17배 정제하여 물리 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D-Xylose isomerase의 N 말단 아미노산 서열을 결정한 결과 Ala-Tyr-Phe-Asn-Asp-Ile-Ala-Pro-Ile-Lys로 확인되었고 이것은 Lactococcus 속의 D-xylose isomerase와는 유사하지 않았다. 정제된 효소의 분자량은 gel filtration의 경우 180 kDa, subunit의 분자량은 SDS-PAGE에서 45 kDa으로 측정되었고 이 효소는 4개의 subunit으로 구성된 homotetramer였다. 최적 반응 pH는 pH 7부근이었고 pH 6∼8 사이에서 안정하였다. 최적 반응온도는 7$0^{\circ}C$였고 1 mM $Mn^{2+}$의 존재 하에서는 7$0^{\circ}C$ 이상에서도 안정하였다. 이 효소도 다른 D-xylose isomerase처럼 활성과 열 안정성을 위해서 $Mg^{2+}$, $Co^{2+}$또는 $Mn^{2+}$와 같은 2가의 양이온을 필요로 하였으며, 이중 $Mn^{2+}$가 효소 활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기질 특이성에 관한 연구에서는 D-xylose를 사용했을 때 높은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 효소의 pI 값은 4.8이었고, D-xylose에 대한 Km 값은 5.9 mM이었다.

김치에서 분리된 Leuconostoc 속 젖산균의 ${\beta}$-1,4-xylosidase 효소생산 특성 (${\beta}$-1,4-Xylosidase Activity of Leuconostoc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장미희;김명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69-175
    • /
    • 2011
  • [ ${\beta}$ ]Xylosidase 효소활성이 높은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김치에서 분리된 Leuconostoc 속 젖산균의 ${\beta}$-xylosidase 활성을 탐색하였다. 김치에서 분리된 55개의 Leuconostoc 속 젖산균 중 36개의 균주만이 자일로스를 탄소원으로 이용하였으며, 배추김치에서 분리된 Leu. lactis KCTC 13344 균주가 가장 높은 세포내 ${\beta}$-xylosidase 효소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효소활성은 pH 6, $30^{\circ}C$ 반응조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Zn^{2+}$을 제외한 금속이온은 효소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Fe^{2+}$은 1 mM의 농도에서 ${\beta}$-xylosidase 대조구와 비교하여 효소활성을 약 40% 증가시켰다. 균주를 배양할 때 사용한 탄소원 중 자일로스가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고, 효소활성을 위한 최적의 자일로스 농도는 30 g/L였다. 단백질 전기영동 및 활성염색을 수행한 결과 분자량이 약 64 kDa인 Leu. lactis KCTC 13344 균주의 ${\beta}$-xylosidase는 자일로스에 의하여 발현이 유도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자일로스가 30 g/L의 농도로 첨가된 MRS 배지에서 Leu. lactis KCTC 13344 균주의 성장은 20시간 후에 최고에 도달하였고, ${\beta}$-xylosidase 효소활성은 16시간 후에 최대 $7.1{\pm}0.3units/mL$이었다. 배양 초기에 주입한 자일로스는 약 20% 정도 소모하였고, 젖산과 아세트산은 3.0 g/L 수준으로 생성되었지만 에탄올은 생성되지 않았다.

김치로부터 오르니틴 생성능을 갖는 Weissella 속 균주의 분리, 동정 및 특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eissella Strains with High Ornithine Producing Capacity from Kimchi)

  • 유진주;박형주;김수곤;오석흥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9-345
    • /
    • 2009
  • 김치로부터 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는 2개의 젖산균주(OK1-4, OK1-6)를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그람 양성, 단간균이었으며, 혐기적 조건에서 이산화탄소를 생성하였다. MRS 배지에서 $25\sim37^{\circ}C$ 범위와 pH 6.0~7.0 범위에서 잘 자랐으며, 성장을 위한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pH 6.5이었다. 분리된 젖산균주는 L-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리보오스, 글루코오스 등의 당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였고, cellobiose, galactose, raffinose, trehalsoe는 분해하지 못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분리된 균주는 유전자은행에 등재되어 있는 Weissella koreensis S5623(AY035891)의 염기서열과 각각 99.6%와 99.7%의 서열 동질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생화학적 특성과 염기서열 분석결과를 토대로 분리된 균주를 Weissella koreensis OK1-4와 Weissella koreensis OK1-6로 각각 명명하였다. 이들 균주의 오르니틴 생성능력은 1% 아르기닌이 첨가된 MRS 배지에서 각각 27.01와 31.41 mg/L/h 이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우리김치로부터 분리된 Weissella 속 균주의 오르니틴 생성에 관한 최초의 보고이다.

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ynnemata of Beauveria bassiana

  • Yoon, Cheol-Sik;Yu, Kwang-Won;Bae, Song-Hwan;Song, Hyuk-Hwan;Park, Hyun-Soo;Lee, Ch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125-133
    • /
    • 2003
  • 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freeze-dried synnemata of Beauveria bassiana were examined. A proximate analysis showed that the synnemata consisted mainly of carbohydrate (49.86%), protein 11.36%), and a moisture content of 30.64%. It contained a low amount of crude ash (4.76%) and fat (3.38%). The carbohydrate was composed mainly of mannose (52.3%), galactose (31.5%), glucose (13.2%), and rhamnose (3%). Trace amounts of arabinose, xylose, and fructose were present. Major amino acids In the synnemata were glutamic acid, glycine, aspartic acid, arginine, threonine, alanine, valine, leucine, lysine, and aspartic acid with the amounts of 30.42, 25.22, 17.17, 15.12, 12.65, 15.23, 12.47, 11.47, 14.24, and 17.17 mg/g, respectively. Among extracts from the synnemata, the hot-water extract showed 67% of anticomplementary activity compared to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followed by ethyl acetate extract (17%) and methanol extract (15%). The hot-water extract also had anticoagulant activity with 55 sec of coagulating time and this fraction exhibited the most potent Intestinal immune system modulating activity. Th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25%) on the 12-O-tetradecanoyl phorbol-13-acetate-induced superoxide ($O_2^-$) generation, followed by hot-water extract (18%) and ethyl acetate extract (10%). The data in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the extract of Beauveria bassiana synnemata contains some healthful chemical ingredients and it could provide beneficial physiological activities. These features of the synnemata should be of interest to the food industry as well as other industrial fields.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of Exo-Biopolymer from Submerged Culture of Lentinus edodes with Rice Bran

  • Yu, Kwang-Won;Shin, Kwang-Soon;Choi, Yang-Mun;Suh, Hyung-J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658-664
    • /
    • 2004
  • To find a new utilization of rice bran, nine higher fungi were examined for the production of exo-biopolymer with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from rice bran. Among the exo-biopolymers produced from submerged cultures, Lentinus edode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followed by Grifola frondosa, Schizophyllum commune, and Coriolus versicolor. L. edodes also had the most potent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in a liquid culture rather than in a solid culture. In order to improve rice bran utilization and the yield of exo-biopolymer with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the treatment of Rapidase effectively increased the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about 30% increase), whereas the other enzymes (Econase, Viscozyme, Ultraflo, Celluclast, and Thermylase) treatments did not increase the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Exo-biopolymer with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from L. edodes contained mainly neutral sugars (58.7%) with considerable amounts of uronic acid (32.2%) and a small amount of proteins (9.1%). Component sugars of exo-biopolymer consisted of mainly arabinose, galactose, glucose, mannose, and xylose (0.95:0.81:0.96:1.00:0.39, respectively). When the exo-biopolymer was treated with $NaIO_4, NaClO_2$, and pronase, the $NaClO_2$ treatment and pronase digestion had little effect, whereas $NaIO_4$ oxid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47.6% reduction at $100\mug/ml$). Therefore, the carbohydrate moiety in exo-biopolymer from L. edod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xpression of the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생균제 개발을 위한 유산균의 선별 및 동결건조 보호제의 효과 (Screening of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Development of Probiotics and the Effect of Cryoprotectant Agents)

  • 임유범;백남수;김영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41-445
    • /
    • 2001
  • Probiotics를 개발하기 위하여 저온성 및 내염성의 특성을 갖는 균주를 김치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한 3종의 균주를 동정한 결과 MGl9는 Lactobacillus brevis, MG89는 Enterococcus faecium, MG208은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확인되었다. 분리된 3종의 균주에 대한 동결건조 보호제 시험을 한 결과 MGl9는 10% skim milk + l% soluble starch에서 71.4%로 생존율이 가장 높았고 lactose와 mellezitose 에서도 6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MG89는 solbitol에서 76.2%로 생존율이 가장 높았고 sucrose, xylitol, mannitol 등에서도 66%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MG208은 fructose에서 64.7%의 생존율을 보였다 인공위액에서의 균 생존율을 시험한 결과 lactose, mellezitose, hlycogen, mannose, xylose 등에서70% 정도의 우수한 생존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시험에 사용된 동결건조 보호제 가운데 몇몇은 유산균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동결건조제품의 제조나 사료첨가제로 제조시 산업적인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xopolysaccharide-Overproducing Lactobacillus paracasei KB28 Induces Cytokines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via Modulation of NF-${\kappa}B$ and MAPKs

  • Kang, Hee;Choi, Hye-Sun;Kim, Ji-Eun;Han, Nam-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11호
    • /
    • pp.1174-1178
    • /
    • 2011
  • Exopolysaccharides (EPSs) are microbial polysaccharides that are released outside of the bacterial cell wall.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EPS-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that can enhance macrophage activity and the underlying signaling mechanism for cytokine expression. In the current study, EPS-overproducing Lactobacillus (L.) paracasei KB28 was isolated from kimchi and cultivated in conditioned media containing glucose, sucrose, and lactose. The whole bacterial cells were obtained with their EPS being attached, and the cytokine-inducing activities of these cells were investigated. Gas chromatography analysis showed the presence of glucose, galactose, mannose, xylose, arabinose, and rhamnose in EPS composition. EPS-producing L. paracasei KB28 induced the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6, and IL-12 in mouse macrophages. This strain also caused the degradation of $I{\kappa}B{\alpha}$ and phosphorylation of the major MAPKs: Jun N-terminal kinase (JNK), p38,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1/2. The use of pharmacological inhibitors showed that different signaling pathways were involved in the induction of TNF-${\alpha}$, IL-6 and IL-12 by L. paracasei KB28. Our results provide information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mechanisms of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food-derived EPS-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