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njang past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7초

메주에서 분리되어 단독균으로 발효된 메주와 간장 (kanjang and Meju Made with a Single Inoculum of the Microorgamism Isolated from the Korean Traditional Meju)

  • 이상선;성창근;배종찬;유진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51-758
    • /
    • 1997
  • Fifty three microbes, mainly fungal genera, were isolated from sixteen Mejus of different region. From those collected isolates, Meju was manufactured and assayed for the activities of amylase and protease.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evaluation and color measurement were investigated with Kanjang (soy sauce) prepared by each pure inoculation. Color of Kanjang was quite various depedning on fungal genera, but the taste was not quite related with the activity of amylase or protease. This fact might mean that taste of Kanjang depended on the complicate mechanistic action of enzyme for the substrate involved in the soybean hydrolysis. Thus, the taste of Kanjang origen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seems to belong to complex flora of participated fungal genera as well as Bacillus. sp.

  • PDF

Grapefruit Seed Extract 첨가가 간장과 고추장 양념액 중의 식중독균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Growth Inhibitory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in kanjang Paste and kochujang Paste)

  • 이용욱;최재훈;윤원호;김창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13-520
    • /
    • 2005
  • 이 실험의 목적은 GFSE 첨가가 간장과 고추장 양념액의 저장 조건에 따라 일반 생균수와 식중독균의 생육 억제 효과와 pH 변화를 조사하는데 있다. 실험에 이용된 식중독 세균은 S. enteritidis, S. aureus, L. monocytogenes, coli O157:H7을 사용하였다. 이 실험은 2일 간격으로 14일간 측정하였다. 일반 생균수의 경우는 $4^{\circ}C$에 저장한 양념액은 GFSE의 농도에 따라 일반 생균수가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20^{\circ}C$ 저장 온도의 GFSE 비첨가구에서는 일반 생균수가 증가하였으나 GFSE 첨가구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저장 초기 GFSE 비첨가구 경우에 간장 양념액의 pH는 5.50, 고추장 양념액은 4.92이었으며, GFSE첨가 농도에 따른 양념액의 pH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20^{\circ}C$에서 저장된 간장 양념 액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라 GFSE 비첨가구와 GFSE 250ppm 첨가구에서는 pH 3.39, pH 3.60으로 감소하였고 GFSE 500 ppm 첨가구에서는 pH 4.32로 감소하였다. 식중독균의 생육 억제 효과를 250ppm과 500ppm 첨가구를 비교하여 보면 간장 양념액을 $4^{\circ}C$$20^{\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 GFSE 비첨가군보다 GFSE를 첨가한 군에서 균수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고추장 양념액의 경우, CFSE 첨가 농도에 따라 식중독균수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비첨가구에서도 식중독균의 생육 저해 효과가 나타났다. $4^{\circ}C$$20^{\circ}C$에서 저장한 고추장 양념액의 식중독균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균수의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이것은 양파, 마늘, 생강, 고추장$(37\%)$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원료에 의한 항균 효과 및 고추장에 존재하는 발효 미생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Bacillus subtilis koji와 Rhizopus oryzae koji를 이용한 된장 및 간장의 키토올리고당 함량 증대 (Enhancement of Chitooligosaccharides in Doenjang (Soybean Paste) and Kanjang (Soy Sauce) using Bacillus subtilis Koji and Rhizopus oryzae Koji)

  • 음병욱;곽보연;김순영;손동화;이계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91-296
    • /
    • 2003
  • 된장 및 간장의 chitooligosaccharide(COS) 함량을 높이기 위해 Bacillus subtilis와 Rhizopus oryzae를 접종하여 koji를 만들고 이들 균주들에 의한 된장 및 간장에서 COS 함량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COSM에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하여 competitive direct ELISA(cdELISA)로 COS를 검출하였는데, 검출 감도는 $0.001{\sim}1{\mu}g/mL$이었고, 회수율은 된장 및 간장에서 각각 102%, 115%를 보였다. B. subtilis koji와 R. oryzae koji를 섞어 담근 된장 또는 간장(BR 된장 또는 간장)이 높은 COS 함량을 보였는데, 두 달 숙성에서 된장이 $171{\mu}g/g$, 간장이$29{\mu}g/mL$을 나타내었다. 일본, 국내 시판, 그리고 실험실에서 만든 된장 및 간장의 COS 함량을 비교해 본 결과, BR 시료구가 일본이나 국내 시판용보다 훨씬 높은 함량을 나타내 주어서 본 실험에서 koji 제조시 이용된 Bacillus subtilis와 Rhizopus oryzae 의해 COS의 함량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감마선 조사된 장류의 SOS Chromotest에 의한 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Toxicological Safety of Gamma-Irradiated Korean Soybean Fermentation Foods by SOS Chromotest)

  • 육홍선;김동호;이주운;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3-138
    • /
    • 2001
  • 우리나라 전통 장류의 위생화와 저장.유통안정성 확보를 위해 20 kGy 감마선 조사된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의 독성학적 안전성을 SOS Chromotest로 측정하였다. 대사활성계(S-9 mix) 존재 유무의 조건하에서 Escherichia coli PQ37을 SOS Chromotest 균주로 사용하였다. 시료는 물추출물, 용매추출물을 준비한 후 농축하여 S-9 mix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조건에서 SOS Chromotes에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10,00$\mu\textrm{g}$/assay의 투여 농도에서 1.5이하의 IF값을 유지했으며 조사된 모든 시료는 비조사구와 차이가 없었고, 20 kGy로 조사된 전통장류에서 어떠한 돌연변이원성도 발견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초피첨가 전통장류의 항균 및 항암활성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Paste with Chopi)

  • 김근기;박현철;손홍주;김용균;이상몽;최인수;최영환;신택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121-1128
    • /
    • 2007
  • 초피나무(Z. piperitum) 열매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고 있으며, 과피 용매추출물은 세균에 대한 강한 항균활성을 갖고 있어, 간장과 된장제조에 초피를 첨가하여 생리활성효과를 조사하였다. 초피를 간장제조에 1%, 2%, 4% 첨가하여 제조하고, 간장추출물을 식중독균(Sta. aureus, Sal. typhimurium, V. parahemolyticus, E. coli 0157:H7)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했다. 초피를 2% 첨가한 간장은 E. coli 0157:H7과 V. parahemolyticuS 의 생육을 각각 70%와 50% 억제했으며, Sal. typhimurium 과 Sta. aureus 에 대한 항균효과는 농도와 간장제조시기에 따라 40% ${\sim}$ 60% 의 생육을 억제했다. 초피된장의 용매추출물에서는 약한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피간장의 추출물을 백혈병세포 U-937에 처리하여 caspase-3 활성으로 항암활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초피의 량을 1%, 2%, 4% 첨가한 간장의 추출물은 초피를 침가하지 않은 간장보다 caspase-3 활성이 각각 4배, 12배, 15배 활성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어졌다. 이는 초피간장의 추출물이 apoptosis를 유도하는 것을 의미하며, 된장의 용매추출물은 caspase-3 활성에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초피간장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의 죽음이 necrosis인지 apoptosis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내의 DNA fragmentation을 확인한 결과, 초피간장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는 DNA 단편화가 형성되어졌다. 초피틀 1% 첨가한 것에서는 fragmentation을 확인하기 힘들었고, 2%와 4%초피를 첨가한 간장추출물은 DNA fragmentation을 강하게 일으켰다. 초피를 첨가한 간장추출물이 caspase를 활성화시키고, DNA fragmentation을 일으키는 apoptosis 기작에 의해 암세포를 죽음으로 유도하는 초피간장의 항암효과를 입증했다.

감마선 조사가 장류제품의 가수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Hydrolytic Enzyme Activities of Korean Soybean-Based Fermented Food)

  • 김동호;손준호;육홍선;김미리;차보숙;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39-843
    • /
    • 2001
  • 감마선 조사를 이용한 장류제품의 미생물 살균 시, 감마선 조사가 장류제품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여 된장, 고추장, 간장, 청국장, 메주에 5, 10, 2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한 다음 amylase, protease, lipase 그리고 혈전용해효소 활성을 비교하였다. 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은 메주, 청국장, 된장에서 대체로 높았고 간장과 고추장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Amylase, protease, lipase의 효소활성은 10 kGy까지의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20 kGy의 감마선 조사구에서는 10% 내외의 효소활성 감소가 있었으나 청국장의 protease 활성감소(15%)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p<0.05). 혈전용해효소 활성은 20 kGy까지의 감마선 조사에 의해서 효소활성 변화가 없었다.

  • PDF

감마선 조사된 장류 물추출 분획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on Water-Soluble Fraction of Gamma Irradiated Korean Soybean Fermentation Foods)

  • 육홍선;이은미;김동호;이경행;변명우;이현자;이영남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7-303
    • /
    • 2000
  • 우리나라 전통 장류인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의 위생화를 위한 방사선 조사기술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방사선 조사를 실시한 후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실험의 일환으로 Ames test를 실시하였다.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된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 물추출 분획의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및 TA1537에 대한 복귀변이 집락수를 조사한 결과, 대사활성계 도입 및 부재시 모두, 모든 시험균주에서 시험적용 농도인 10,000 $\mu\textrm{g}$/plate까지의 농도에서 복귀변이 집락수의 농도 의존적인 증가 혹은 감소를 보이지 않아 20 kGy의 고선량 감마선 조사된 간장, 된장, 고추장, 청국장은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유통업태의 변화에 따른 전통발효식품의 구매 현황 (The Effect of Change of the Distribution Structure on Korea Indigenous Fermented Food)

  • 이종미;이현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1-287
    • /
    • 1999
  • A change in distribution structure affect a consumption structure which may result in considerable changes in lifestyle including food purch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nge of distribution structure on the indigenous fermented food purchase. The information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407 housewives residing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by using questionnaire during May to June, 1997 Their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ased on frequency, mean, and $X^2-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s of subjects buying ready made fermented food were 69.8% for Jotkals(salt-fermented fish products), 22.3% for Kochujang(fermented red pepper soybean paste), 21.6% for Janachis(pickled basic side dishes), 21% for Kanjang(Korean style soybean sauce), 17.1% for Toenjang(Korean style soybean paste), and 3% for Kimchi(seasoned and fermented vegetables). 2) With decreasing age, preparation ability of Kanjang, Janachis, and Kimchi. The subjects living close to the new distribution channel were higher in ready made fermented food than the others. 3) Compared to the subject living far from the new distribution channel, the subject living close to the new distribution channel was high in frequency of new distribution channel utilization for indigenous fermented food purchase but low in frequency of conventional market utilization. The younger in age, higher in educational level, and nuclear family, the higher the utilization of new distribution channel for indigenous fermented food purchase.

  • PDF

즙장의 전통적 유형과 제조방법의 고찰 (A Review on Preparing Methods of Traditional Jeupjang)

  • 정순택;박양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3-113
    • /
    • 1999
  • Jeupjang like salted soybean paste with vegetable is the Korean traditional side order eating at table. Bibliographical studies on the Jeupjang in historic books such as Jeungbo-Sanlim-Keongjae(Re-edition of agriculture economic), Imwon- Keongjae Ji(Book of country economic) and Keuhap-Chongseo(Handbook of household) described the Korean food in the 18 century carried out. In addition, investigation and analytical studies on various home-made Jeupjang in present was accomplished. Jeupjang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variety preparing methods. Three types were fermented soybean paste (Doenjang) type using traditional Meju(soybean cake stater) for Jeupjang, salted pickle (Jangachi) type buried cucumber and eggplant into soybean paste or soysauce (Kanjang), and salted sauer kraut (Kimchii) type prepared vegetable in Jeupjang-Meju mash. The procedures for producing Jeupjang were Jeupjang-Meju making, and mixing vegetable with Meju powder into brine. At last process was fermented in horse wastes or grasses for 7-14 days. But manufacturing methods of Jeupjang before the 18 century were different in present. Nowadays glutinous rice, red pepper powder and various vegetable were used for domestic Jeupjang.

  • PDF

한국발효식품중(韓國醱酵食品中) Aflatoxin의 함유(含有)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Aflatoxins in Korean Fermented Foodstuffs)

  • 정용;권숙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권1호
    • /
    • pp.1-4
    • /
    • 1969
  • 35 samples of Korean fermented foodstuffs were tested to isolate and to identify for aflatoxins. Aflatoxin $G_1$ was detected in samples of soybean and Kanjang (Soybean sauce), and aflatoxins $G_1$ & $G_2$ in Meju (fermented soybean mass) and Dwenjang (fermented soybean paste). In the culture media of Aspergillus flavus aflatoxins $B_1,\;B_2,\;G_1\;and\;G_2$ were also isolated and identified. Aflatoxins were confirmed by the thin layer chromatography with methanol : chroroform (5:95v/v) developer and the ultra violet absorption spectr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