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le juic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9초

The effect of glutathione S-transferase M1 and T1 polymorphisms on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and lipid profiles following the supplementation of kale (Brassica oleracea acephala) juice in South Korean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 Han, Jeong-Hwa;Lee, Hye-Jin;Kim, Tae-Seok;Kang, Myung-H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1호
    • /
    • pp.49-56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forms a multigene family of phase II detoxification enzymes which are involved in the detoxific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daily supplementation of kale juice can modulate blood pressure (BP), levels of lipid profiles, and blood glucose, and whether this modulation could be affected by the GSTM1 and GSTT1 polymorphisms. SUBJECTS/METHODS: 84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showing systolic BP over 130 mmHg or diastolic BP over 85 mmHg received 300 ml/day of kale juice for 6 weeks,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on 0-week and 6-week in order to evaluate plasma lipid profiles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and blood glucose. RESULTS: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patients regardless of their GSTM1 or GSTT1 polymorphisms after kale juice supplementation. Blood glucose level was decreased only in the GSTM1-present genotype, and plasma lipid profiles showed no difference in both the GSTM1-null and GSTM1-present genotypes. In the case of GSTT1, on the other hand, plasma HDL-C was increased and LDL-C was decreased only in the GSTT1-present type, while blood glucose was decreased only in the GSTT1-null genotype.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upplementation of kale juice affected blood pressure, lipid profiles, and blood glucose in subclinical hypertensive patients depending on their GST genetic polymorphisms, and the improvement of lipid profiles was mainly greater in the GSTT1-present genotype and the decrease of blood glucose was greater in the GSTM1-present or GSTT1-null genotypes.

시판 천연 과일주스와 채소주스의 항산화능과 임파구 DNA 손상 방지 효능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prevention of lymphocyte DNA damage by fruit and vegetable juices marketed in Korea)

  • 조미란;이혜진;강명희;민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1호
    • /
    • pp.1-9
    • /
    • 2017
  • 우리나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시판 100% 천연 과채류 주스 중 과일주스, 채소주스, 녹즙 및 채소혼합주스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의 측정법으로는 DPPH, TEAC, ORAC 법 등 세 가지 in vitro 측정법과 comet assay를 이용한 ex vivo 분석법으로 과채류 주스의 항산화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DPPH 분석법으로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블루베리주스, 채소혼합주스 C, 케일 녹즙, 채소혼합주스 P, 포도주스 순으로 높았으며, TEAC 방법으로 측정한 주스 시료들의 항산화 활성은 블루베리주스, 채소혼합주스 C, 포도주스, 채소혼합주스 P, 케일 녹즙 순으로 높았다. 또한, ORAC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블루베리 주스, 케일 녹즙, 채소혼합주스 C, 포도주스, 오렌지주스 순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in vitro 측정법에 따른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블루베리 주스가 항산화능이 가장 우수했으며 이어서 포도 주스, 채소혼합주스 C, 케일 녹즙 순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인체의 임파구 DNA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정도를 ex vivo 분석법인 comet assay로 분석한 결과 블루베리 주스와 포도 주스의 DNA 손상 감소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GSTM1/GSTT1 유전형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한 국내에서 시판하고 있는 100% 천연 주스 14종 가운데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블루베리 주스, 포도 주스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채소혼합주스로는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보라색을 띄는 주스류의 항산화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케일녹즙 분말식이가 흰쥐의 혈중 지질, 엽산 및 호모시스테인 수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ale Juice Powder on Serum Lipids, Folate and Plasma Homocysteine Levels in Growing Rats)

  • 정은정;김수연;남영주;박정화;황혜진;이양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175-1181
    • /
    • 2005
  • 녹즙분말과 콜레스테롤 첨가식이로 8주간 사육한 흰쥐의 혈중 지질, 호모시스테인 및 엽산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흰쥐의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녹즙이나 콜레스테롤 보충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중성지질 농도는 녹즙군에서 낮았다(p<0.001). HDL-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의 경우, 식이 콜레스테롤의 영향을 받아, HDL-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군보다 무콜레스테롤군에서 높았으며 (p<0.001), LDL-콜레스테롤은 콜레스테롤군에서 높았다(p<0.05). HDL-콜레스테롤 수준은 녹즙군에서 높았으며 (p<0.05),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콜레스테롤과 케일의 상호효과가 나타나 무콜레스테롤군에서 만 녹즙에 의한 감소효과를 보였다 HDL/LDL비율은 콜레스테롤 보충군에서 낮았으며 (p<0.05), 녹즙보충군에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혈청 엽산, 비타민 $B_{12}$ 및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녹즙분말이나 콜레스테롤 보충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중 엽산과 비타민 $B_{12}$ 농도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 (r=0.5632, p<0.001)이 관찰되었으나,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혈중 엽산, 비타민 $B_{12}$ 및 콜레스테롤 농도 사이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엽산이 충분히 공급되는 경우, 녹즙보충시 나타나게 되는 심혈관계질환 예방효과는, HDL 농도의 증가 및 중성지방 농도의 감소에 의한 것이며, 녹즙내 엽산보충에 의한 호모시스테인 농도 변화와는 관련이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Comet Assay를 이용한 케일, 명일엽, 당근, 돌미나리 녹즙의 Chinese Hamster Lung 세포 DNA 손상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Yellow-Green Vegetable Juices on DNA Damage in Chinese Hamster Lung Cell Using Comet Assay)

  • 전은재;김정신;박유경;김태석;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1호
    • /
    • pp.24-31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capacity of popular yellow-green vegetable juices (kale, Angelica keishei, carrot, small water dropwor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egetable juices on protecting oxidative damage to DNA in cultured Chinese hamster lung (CHL) cells. Antioxidant capacity was analyzed by TRAP assay (Total radical-trapping antioxidant potential). Cellular DNA dmamage was measured by SCGE (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also known as comet assay. Cells incubated in medium with PBS (negative control) or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the freeze dried green juices (25, 50, 100, 250 $\mu\textrm{g}$/$m\ell$) resuspended in PBS were treated with $H_2O_2$ (200 ${\mu}{\textrm}{m}$) as an oxidative stimulus for 5 min at 4$^{\circ}C$.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each vegetable juice on oxidative DNA damage was analyzed and expressed as tail moment (tail length X percentage migrated DNA in tail) . Kale juice had the highest TRAP value suggesting that kale has the highest antioxidant capacity followed by Angelica keishei, small water dropwort and carrot. Cells treated with $H_2O_2$ had extensive DNA damage compared with cells treated with PBS or pre-treated with vegetable juice extracts. All green juices inhibited $H_2O_2$-induced DNA damage with kale being the most effective juice among the tested juic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een juice supplementation to CHL cells followed by oxidative stimulus inhibited damage to cellular DNA, supporting a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damage induc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Korean J Nutrition 36(1) : 24-31, 2003)

Production of Fermented Kale Juices with Lactobacillus Strains and Nutritional Composition

  • Kim, Seong Ye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2권3호
    • /
    • pp.231-236
    • /
    • 2017
  • Fermented kale juices using four types of lactobacilli were produced in the present study. After 48 h of fermentation time, viable cell counts of all ferments reached an above $10^9CFU/mL$. The viability of the ferments after cold storage in the refrigerator for 4 weeks showed $10^8CFU/mL$ in all ferments. Among four types of fermented kale juices, the ferment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IFO 3025 indicated a good nutritional composition, including neutral sugar ($1,909.76{\mu}g/mL$), reducing sugar ($564.00{\mu}g/mL$, P<0.05), and protein contents ($160.06{\mu}g/mL$, P<0.05). The results of mineral composition analysis had the highest potassium value in all ferments ($854.16{\sim}895.07{\mu}g/mL$), particularly in the ferment of Lactobacillus brevis FSB-1 (P<0.001), which is necessary to sustain osmotic pressure, prevention of high blood pressure, and protein synthesis. Moreover, calcium, phosphorus, and magnesium contents related to bone health were generally sufficient in all ferments. Consequently, in this study, fermented kale juices may be suggested as a healthy fermented beverage with essential nutrients. However, the acceptability of the fermented kale juice to the Korean taste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with a trained taste panel to determine whether inoculated fermentation could be an option for the consumers.

케일녹즙이 고콜레스테롤혈증 성인남자의 혈청 지질수준 및 인지질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ale Juice on Serum Lipid Levels & Phospholipid Fatty Acid Composition in Hypercholesterolemic Men)

  • 정은정;심유진;김수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538-1544
    • /
    • 2012
  • 고콜레스테롤혈증(총 콜레스테롤 농도 200 mg/dl 이상)인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12주간 케일녹즙 중재실험을 실시하여 실험 전과 후의 혈청 지질농도와 혈청 인지질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는 녹즙 섭취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녹즙 섭취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LDL-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atherogenic index 역시 녹즙 섭취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대상자들은 녹즙 섭취 전 후로 BMI, 허리둘레, 혈압 등의 신체계측치와 흡연, 음주 등의 생활습관 및 영양소 섭취패턴에 유의한 변화 없이 12주 중재실험기간 동안 평상시 생활패턴을 유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녹즙에 섬유소가 거의 함유되어있지 않으므로 혈청지질 개선효과는 녹즙에 풍부한 항산화 영양소에 의한 효과로 사료된다. 녹즙섭취 후에 유의한 변화를 보인 혈청 인지질 지방산 조성 중에서 12:0, 14:0, $18:1{\omega}9$, $18:3{\omega}6$ 조성 및 총 단일불포화지방산 조성은 증가하고 $22:4{\omega}6$ 조성은 감소하였다. 특히 올레산($18:1{\omega}9$) 조성은 55~58% 증가하였는데 다중불포화지방산 못지않게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켜주며, 다중불포화지방산보다 LDL의 산화를 감소시켜 동맥경화증이나 관상심장질환의 위험을 줄여주는 지방산으로 알려져 있다. 12주간의 녹즙섭취는 혈청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크게 변화시키지 않지만 궁극적으로 지방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변화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고콜레스테롤 환자의 혈중 지질농도를 개선시켜줄 것으로 사료된다.

양배추즙 및 양배추 혼합즙의 인체위암세포(AGS) 성장 억제효과와 HCl-Ethanol로 유발된 흰쥐의 항위염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abbage Juice and Cabbage-Mixed Juice on the Growth of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and on HCl-Ethanol Induced Gastritis in Rats)

  • 홍예지;김성윤;한재갑;임양이;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82-68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양배추즙과 양배추 혼합즙의 항위염 효과를 검토하고자 in vitro에서 AGS 인체위암세포의 성장 억제율, 염증인자 발현, 항산화력, 제산력 결과를 바탕으로 SD-rat에 HCl-ethanol로 급성위염을 유도하여 이에 대한 위 손상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인체위암세포(AGS) 성장 억제율을 조사한 결과 클로렐라(Ch)가 20%, 케일(K)이 21%, 양배추(C) 42% 순으로 성장 억제율이 상승하였고, 양배추에 클로렐라나 케일을 7:3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양배추-클로렐라(CCh) 57%, 양배추-케일(CK) 65%로 성장 억제율이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염증인자 발현 또한 양배추(C) 단일로 처리했을 때보다 양배추-클로렐라 혼합(CCh), 양배추-케일 혼합(CK)에서 염증인자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DPPH radical 소거능에서도 2 mg 농도에서 양배추(C) 61.7%, 양배추-클로렐라(CCh) 87.3%, 양배추-케일(CK) 88.1%로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냈으며, 제산력 실험에서도 양배추 고농도(CH) 34.8%, 양배추-클로렐라 고농도(CChH) 40.1%, 양배추-케일 고농도(CKH) 44.9%로 양성대조약물인 cimetidine 41.8%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제산력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HCl-ethanol 위염모델에서 위 손상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 양배추를 기본으로 한 모든 저농도(CL, CChL, CKL), 고농도(CH, CChH, CKH) 투여군에서 보호 효과가 나타났으며 양배추 단일 고농도(CH) 46%보다 클로렐라와 케일을 혼합한 양배추-클로렐라 고농도(CChH) 71%, 양배추-케일 고농도(CKH) 74%에서 그 보호 효과가 유의적으로 높아져 양성 대조약물과 비슷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위액분비량과 위액 pH 또한 모든 투여군에서 보호 효과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p<0.05), 특히 양배추-케일 혼합즙(CKH)이 대조약물보다 더 높은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양배추즙에 클로렐라나 케일을 7:3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 위염예방효과가 시판 대조약물만큼 크게 상승하여 장기간 섭취 시 뛰어난 항위염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다.

케일로부터 N-Nitrosamine 생성을 억제시키는 유효성분의 검색 (Screening of Effective Components from Kale to Inhibit N - 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 정미자;이수정;최선영;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3-229
    • /
    • 2003
  • 질간염과 함께 아민이 풍부한 식이에 케일 쥬스(0, 5, 10, 13 및 30mL)를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킬 때 NDM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상기의 시료의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NDMtA 생성 억제효과가 높았다. 케일의 Sep-Pak $C_{18}$ 에 의 해 분리 된 메탄을 가용성 획분을 perp-LC로 분획하였고, 각각 분획물을 분취하여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NDMA 생성억제효과를 실험 한 결과 Kl~K7 획분 중 Kl, K2에서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높았으며, 역시 NDMA 생성억제효과도 71.0, 65.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높은 억 제작용을 나타내는 Kl, K2를 Kla~K2c로 subfraction하여 NDMA 생성억제효과를 실험 한 결과 K2c 분획물 1mL 첨가를 제치하고는 모든 시료가 50%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MDMA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K2a 단일 peak를 분리하여 정제한 후 IR, MS, $^1$H-NMR, $^{13}$C-NMR 과 DEPT spectrum을 이용하여 구조를 검색한 결과. K2a는 a-D-glucose 배당체를 가진 방향족 벤젠 화합물로 추정되었다.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 착즙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Effects of Common and Organic Kale Juices)

  • 김종대;이옥환;이종석;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68-674
    • /
    • 2014
  • 채소즙이란 생채소를 마쇄하여 인체가 영양소를 흡수하기 쉬운 상태로 제조된 즙으로 생채소의 영양 섭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식품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배방법에 따라 생산된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을 착즙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DPPH radical, NO, $O_2{^-}$, ${\cdot}OH$ 라디칼 소거능에서 유기농 케일 착즙액은 일반농케일 착즙액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LLC-PK1 세포를 이용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효과에서 유기농 케일 착즙액은 일반농 케일 착즙액에서보다 NO, $O_2{^-}$$ONOO^-$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물을 억제시켜 유리라디칼에 대한 보호효과를 유의적으로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유기농케일 착즙액은 일반농 케일 착즙액보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개선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사료되며 재배방법의 차이에 따라 그 효과도 차이가 있었다.

Salmonella 실험계의 십자화과 채소류의 항돌연변이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Various Cruciferous Vegetables in Salmonella Assaying System)

  • 박건영;이선미;이숙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21-327
    • /
    • 1997
  • The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and methanol extracts from cruciferous vegetables (cabbage, red cabbage, Korean cabbage, kale, cauliflower, broccoli, radish root, leafy radish, rape leaves and shepherd's purse) on the mutagenicity induced by aflatoxin B1(AFB1) and N-methyl-N'-nitrosoguanidine(MNNG) were studied using Salmonella assay system. In the case of juices from the cruciferous vegetables, the juices of cabbage, kale, cauliflower and radish root in the concentrations of 50, 200 and 500 ${mu}ell$/plate considerably decreased the mutagenicity induced by AFB1, and the juices of cabbage and broccoli in the concentrations of 200 and 500${mu}ell$/plate significantly reduced the mutagenicity induced by MNNG. The antimutagenic activities of the juices against AFB1 were stronger than those against MNNG. In the case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cruciferous vegetables, the methanol extracts of kale, broccoli and shepherd'purse appeared to inhibit the mutagenicity induced by AFB1 and MNNG in Salmonella typhimurium test strains. The effects of the juices against mutagens quite different from ones of the methanol extracts. The juice of cabbage showed antimutagenicity, but its methanol extract was less effective. However, both juices and methanol extracts from kale and broccoli exhibited strong antimutagenic activities against the mutage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