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ainic acid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Molecular Taxonomy of a Soil Actinomycete Isolate, KCCM10454 Showing Neuroprotective Activity by 16S rRNA and rpoB Gene Analysis

  • Lee Bong Hee;Kim Hong;Kim Hyun Ju;Lim Yoon Kyu;Byun Kyung Hee;Hutchinson Brian;Kim Chang Jin;Ko Young Hwan;Lee Keun Hwa;Cha Chang Yong;Kook Yoon Hoh;Kim Bum 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3 no.2
    • /
    • pp.213-218
    • /
    • 2005
  • Epilepsy constitutes a significant public health problem, and even the newest drugs and neurosurgical techniques have proven unable to cure the disease. In order to select a group of isolates which could generate an active compound with neuroprotective or antiepileptic properties, we isolated 517 actinomycete strains from soil samples taken from Jeju Island, in South Korea. We then screened these strains for possible anti-apoptotic effects against serum deprivation-induced hippocampal cell death, using the 3-(4, 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s an in vitro test. The excitotoxic glutamate analog, kainic acid (KA), was used to induce seizures in experimental mice in our in vivo tests. As a result of this testing, we located one strain which exhibited profound neuroprotective activity. This strain was identified as a Streptomyces species, and exhibited the rifampinresistant genotype, Asn$(AAC)^$44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16S rRNA and rpoB gene analyses

Antioxidant effect of Aspalatone on KA-induced neurodegeneration in rat. (카인산 유발 신경세포 변성 모델에 대한 Aspalatone의 항산화 작용.)

  • Kim, Jin;Nam, Sung-Won;Gu, Chang-Hwi;Kim, Hyung-C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5.04a
    • /
    • pp.95-95
    • /
    • 1995
  • 뇌신경 변성 / 퇴행과 관련된 중요한 병인론 중의 하나는 변성 과정에서 형성된 유리기(free radical)로 인한 항산화계의 평형 소실로 알려져 있다. Aspalatone (APT)의 예상되는 항산화 효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Kainic acid (KA) 유발 뇌변성 모델을 적용하였다. KA 모델은 변연계의 간질성 경련과 신경세포 변성에 대하여 재현성 있는 병변 모델을 제공해 주며, 이와 같은 신경세포의 병독 기전에 산소 유리기가 관여함이 강력히 시사되고 있기 때문이다. KA 투여로 인하여 지속적이고도 전형적인 간질성 경련이 관찰되고 1일 이내에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APT으로 인하여 그 간질성 경련 행위와 비율이 억제되고 KA 유발 치사율도 억제되었다. 최종 KA 투여 3일 후에 얻어진 흰쥐 해마 및 대뇌 피질에서 항산화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및 과산화지질의 지표인 Malondialdehyde (MDA)를 검정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KA는 뇌조직의 SOD-1을 유도하였으나, Cat.와 GSH-PX의 활성은 현저히 유도되지 않았고, 반면에 MDA 치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즉, Cat., GSH-PX와 같은 $H_2O$$_2$중화제가 동반 유도하지 않는 SOD의 유도는 세포내 축적되는 $H_2O$$_2$로 인하여 Fenton/Haber-Weiss 반응을 가속화하여 과산화지질화를 촉진함을 시사한다. APT 병용 투여로 SOD는 현저히 유도되지 않았으나 특히 Cat.가 현저히 유도되어지고 MDA는 억제되었다. 이와 같은 생화학적인 결과는 다음의 형태학적인 소견과 일치한다. Fos 관련 항원 (FRA)와 SOD-1을 면역세포화학 (Immunocytochemistry)적 방법으로 이중 표식 (double-labelling) 하였다. FRA는 KA로 인한 신경세포의 자극에 대한 지표로 응용하였고, SOD-1은 퇴행성 뇌질환에서 산화적 손상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KA 투여로 해마의 dentate gyrus (DG) 내에 강한 면역환성 (immunoreactivity)이 나타났고 pyramidal cell layer (PCL)와 glia에 SOD-1이 강하게 염색되었다. APT 병용 투여로 상당수의 경련이 일어나지 않은 흰쥐는 해마의 DG에 FRA가 경미하게 염색되었고, PCL에 SOD-1도 경미하게 나타났으나, 경련이 나타난 쥐에서는 KA만을 투여한 흰쥐와 구별되지 않았다. 이상의 APT의 항산화 효과는 KA로 인한 뇌세포 변성 개선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되나, 보다 명확한 APT의 기전을 검색하고 직접 임상에 응응하기 위하여는 보다 다양한 실험 조건이 보완되어야 찰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cupuncture Stimulation to HT8 Enhances Cell Proliferation in Hippocampus on an Epilepsy Mouse Model (마우스 간질 동물모델에서 소부혈 자침이 해마 치상회의 신경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

  • Kim, Seung-Tae;Park, Hae-Jeong;Hong, Mee-Sook;Kim, Seung-Nam;Doo, Ah-Reum;Yin, Chang-Shik;Lee, Hye-Jung;Chung, Joo-Ho;Park, Hi-Joon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27 no.2
    • /
    • pp.49-56
    • /
    • 2010
  • 목적 : 뇌의 신경세포 증식은 해마 치상회와 뇌실하영역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다. Kainic acid(KA)를 이용한 간질 동물모델을 연구하던 중 침이 해마 치상회의 신경세포증식을 촉진하는 현상을 발견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 수컷 ICR계 생쥐를 Saline(n=8), KA(n=8), KA+Acu(n=8)의 세 군으로 나누고, 모든 생쥐들에게 KA 주입 3일 전부터 1일 1회씩 5'-bromodeoxyuridine(BrdU)을 3일간 주입하였다. Saline군에는 멸균된 생리식염수를 뇌실 내에 주입하였고, KA군 및 KA+Acu군에는 $0.1{\mu}g$의 KA를 뇌실 내에 주입하였으며, KA+Acu군에 속한 쥐들에게는 KA 주입 2일전, 1일전, 주입 직후에 양쪽 소부(少府)(HT8)에 자침하였다. KA 주입 3시간 후 쥐의 뇌를 적출하고 해마 치상회부위의 BrdU 및 neuropeptide Y (NPY)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결과 : 소부(少府) 자침이 KA의 독성으로 인한 신경세포의 파괴를 줄여주었으며, BrdU 양성 세포 및 NPY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KA 주입시 세포증식이 일어나긴 하나, 3시간 안에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결론 : 소부(少府) 자침이 해마 치상회의 신경세포증식을 촉진하며, 이는 KA의 효과가 아닌 KA 투여 전 소부(少府) 자침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