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empferol-3-o-[2'',6''-di-o-(trans-p-coumaroyl)]-${\beta}$-D-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6초

노각나무 잎에서 분리된 플라보노이드에 의한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 생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Flavonoids Isolated from the Leaves of Stewartia koreana on Nitric-oxide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 이승수;방면호;박세호;정대균;양선아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09-516
    • /
    • 2018
  •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quercetin (1), quercitrin (2), hyperin (3), quercetin-3-O-(6"-O-galloyl)-${\beta}$-D-galactopyranoside (4), kaempferol-3-o-[2",6"-di-o-(trans-p-coumaroyl)]-${\beta}$-D-glucopyranoside (5)의 5종의 플라보노이드를 분리하였으며, 이들 5종 성분의 염증 반응에 대한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LPS를 처리한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NO) 생성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들 5종 성분 중 compound 4, 5는 노각나무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것으로 항염증 활성에 대한 보고도 없다. 분광분석법으로 확인된 노각나무 잎 유래 성분들은 LPS 처리한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유의적으로 저해하였으며, 특히 kaempferol-3-o-[2",6"-di-o-(transp-coumaroyl)]-${\beta}$-D-glucopyranoside (5)는 가장 강한 억제효과(17.17%, 5.0%, 3.92%, 6.32% and 63.35% inhibition of compound 1, 2, 3, 4 and 5 at $10{\mu}g/ml$)를 나타냈다. 또한, 이러한 NO 생성 억제효과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단백질 발현 억제를 통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새로 분리된 플라보놀인 kaempferol-3-o-[2",6"-di-o-(trans-p-coumaroyl)]-${\beta}$-D-glucopyranoside (5)는 노각나무 잎의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물질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