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journaling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ontent Analysis of the Student Nurse's Critical-reflectiv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간호학생의 비판적, 반영적 임상실습 경험 내용분석 - 임상실습 지식 습득 과정 -)

  • Jo, Kae-Hwa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 /
    • v.9 no.2
    • /
    • pp.310-31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at effect reflection on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had students as learners and care provider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study a group of four-year undergraduate nursing course. Content analysis was done using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Carper's four patterns of knowing.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use of the reflective process of clinical debriefing and journaling was impact on the aspect of nursing science, moral component of knowledge in nursing, personal knowing in nursing and the art of nursing. Especially, students moved from a passive to a more active mode of learning. The most significant finding was that over time, reflective processes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the client as the central focus of care. It was suggested that reflection was an important learning tool in professional education and that the skills required for reflection need to be developed in professional courses.

  • PDF

User Interface Design Research of Mobile Instant Messenger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의 UI 디자인 연구)

  • Yi, Chae-Yong;Hahn, Sang-Taek;Kang, Seok-M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21-26
    • /
    • 2007
  • 유선 인터넷에서 인스턴트 메신저는 간단한 질문/확인, 만남이나 작업 조정, 사회적인 친교 등을 위해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를 무선으로 확장하기 위하여 MSN, Yahoo, AIM, ICQ, 버디버디, 네이트온 등이 모바일용 메신저를 내놓고 있다. 특히 한국 10대의 경우 SMS를 실시간 대화에 가깝게 (짧고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무선 메신저는 큰 호응이 있으리라 예상하였다. 그러나 네이트온 모바일 메신저의 경우, 2002년 출시된 이후 별다른 인기를 끌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네이트온 사용자들의 사용행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일반 SMS 사용자들과 네이트온 사용자들의 무선 커뮤니케이션 사용행태를 1주일간의 Diary Study에 기초한 Contextual Inquiry (Intermittent)를 실시하여 사용률이 저조한 이유를 분석한 뒤, 퍼소나를 구성하여 무선 환경에 맞는 완전히 혁신적인 새로운 형태의 무선 메신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메신저에 반드시 있는 사용자 등록이나 친구 추가 기능을 없애고 휴대전화 번호 기반으로 동작하며, 상태 정보(Presence)를 없애면서 상대방 상태에 따라 IM 혹은 SMS로 적절히 변환되어 전달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이를 사용자들을 통해 다시 검증해 본 결과 사용자들이 무척 쉽게 받아들이는 것을 발견하였다.

  • PDF

Designing Metadata Journaling Structure for a Shared Disk File System (공유 디스크 파일 시스템을 위한 메타데이터 저널링 구조 설계)

  • 김신우;이용규;김경배;신범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13-116
    • /
    • 2000
  • 파일 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보다 빠른 회복이 요구된다. 기존의 파일 시스템은 fsck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회복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회복 중에 오프라인 상태를 요구하기 때문에 서비스가 중단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GFS와 같은 공유 디스크 파일 시스템에서는 저널링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태에서의 회복을 가능하게 하고 회복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한 클라이언트가 디스크의 메타데이터를 수정하는 중에 다른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블록을 사용하고자 할 때, 앞의 클라이언트가 메타데이터를 디스크 저널에 기록한 후 다시 디스크에 기록하기까지 기다린 후에 디스크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동일한 블록을 사용하더라도 불필요한 디스크 접근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에서 클라이언트로 메타데이터를 직접 넘겨줄 수 있도록 개선한다. 성능 분석 결과 이러한 개선 방안이 기존의 저널링보다 디스크 접근 횟수를 줄임으로써 트랜잭션 처리 시간을 줄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Design of Journaling File System on NAND Flash for advanced reliability (신뢰성 향상을 위한 NAND 플래시 메모리에서의 저널링 파일시스템)

  • Kim Tae-Hoon;Lee Tae-Hoon;Chung Ki-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154-156
    • /
    • 2006
  • 플래시 메모리는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사용 빈도가 높으며, 특히 소형 정보기기의 보조기억장치로 빈번히 쓰이고 있으며, 이동형 정보기기의 경우 배터리를 사용하고 이동성이 중시되기 때문에 사용 중 전력 중단이나 외부의 충격,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플래시 메모리의 효율적인 오류관리를 위해서는 파일 시스템의 사용이 필요한데, 오류 발생시에 빠른 마운팅과 복구는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JFFS(1)의 다른 NAND 플래시 파일 시스템에 적합한 구조를 설명하고, 실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NAND 플래시 메모리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저널링 방범을 제안한다.

  • PDF

log-ordered mode journaling for Ext3 filesystem (Exrt3 파일 시스템을 위한 log-ordered mode 저널링)

  • Suk Jin-Sun;Pyun Sang-Hyung;No Jae-Chun;Kim G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205-207
    • /
    • 2006
  • 안정성은 가장 중요시되는 컴퓨터의 특성이다. 안정성에 문제가 생긴 경우, 전체의 동작이 중단되어 수정 중이던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기존 데이터의 복구가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이초래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DuaIFS(8), log-structured 파일 시스템[10] 등의 다양한 저널링 파일 시스템들이 사용된다. 특히 Ext3 파일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매우 안정적으로 동작하며, 치명적인 문제도 없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저널링 파일 시스템이다. 하지만 Ext3 파일 시스템의 기본 저널링 모드인 ordered mode는 메타 데이터에 대한 기록을 남기기 위해 여분의 디스크 공간이 필요하고, 저널링을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ordered mode의 추가적인 공간과 추가적인 작업의 필요 없이 저널링을 수행하는 log-ordered mode를 제안한다.

  • PDF

A Digital Forensic Method for File Creation using Journal File of NTFS File System (NTFS 파일 시스템의 저널 파일을 이용한 파일 생성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방법)

  • Kim, Tae Han;Cho, Gyu Sa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v.6 no.2
    • /
    • pp.107-118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 digital forensic method to a file creation transaction using a journal file($LogFile) on NTFS File System. The journal file contains lots of information which can help recovering the file system when system failure happens, so knowledge of the structure is very helpful for a forensic analysis. The structure of the journal file, however, is not officially opened. We find out the journal file structure with analyzing the structure of log records by using reverse engineering. We show the digital forensic procedure extracting information from the log records of a sample file created on a NTFS volume. The related log records are as follows: bitmap and segment allocation information of MFT entry, index entry allocation information, resident value update information($FILE_NAME, $STANDARD_INFORMATION, and INDEX_ALLOCATION attribute etc.).

Design & Implementation of an Efficient Garbage Collector for JFFS2 (JFFS2를 위한 효율적인 Garbage Collector의 설계 및 구현)

  • 정하용;김진수;한환수;최기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523-525
    • /
    • 2004
  • 플래시 메모리는 저전력 소비, 빠른 읽기 속도, 비휘발성 등 좋은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다. 하지만 반대로 플래시메모리는 치명적인 약점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덮어쓰기가 불가능 하다는 것과 삭제속도가 극단적으로 느리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치명적인 약점을 극복하기 위한 효율적인 파일시스템과 Carbage Collector(GC)의 설계는 플래시 메모리 연구의 핵심적인 부분이 되어 왔고 JFFS2(Journaling Flash File System version 2)는 그러한 연구의 결과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기존에 JFFS2에서 사용된 GC와 비교해 좀 더 효율적 인 GC를 제안한다. 성능향상을 위해서 사용된 두 가지 핵심적인 알고리즘은 Cost Age Times (CAT 방법과 Dynamic dAta Clustering (DAC) 방법이며, 결과적으로 지역성(Locality)이 높은 데이터의 쓰기에서 최고 3배 정도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 PDF

Performance Test of Journaling File System for DVR System (DVR시스템을 위한 저널링 파일시스템의 성능평가)

  • 권우일;윤미현;이동준;장재혁;양승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397-399
    • /
    • 2002
  • 최근 무인 감시 시스템 분야에서 리눅스 기반 DVR(Digital Video Recording)시스템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DVR시스템은 기존의 아날로그 비디오영상 기록을 대체하여, 카메라에서 입력받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MPEG또는 MJPEG)된 영상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방법으로 작동하는 주기적으로 빈번한 하드디스크의 쓰기 작업을 수행한다. 또 기록되는 내용의 특성상 높은 신뢰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저장장치의 신뢰도가 중요하며, 만일의 사태에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 고장에도 저장된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 저널링 파일시스템은 이러한 요구사항에 적합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최근 사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4가지 저널링 파일시스템의 상대적인 읽기, 쓰기 및 복구 성능을 비교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 신뢰도의 DVR시스템에 요구되는 적절한 저널링 파일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Differential Journaling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NAND Storage Systems with SCM (NAND 스토리지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SCM을 활용한 변화량 기반 저널링 기법)

  • Kim, Junghoon;Min, Changwoo;Eom, Young 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77-78
    • /
    • 2013
  • 최근 비휘발성, 바이트 단위 접근이 가능한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 관련 시스템 소프트웨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CM의 성능 및 용량, 가격 측면을 고려하여, NAND 스토리지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한 변화량 기반 저널링 기법을 제안한다. 본 기법은 기존 데이터 대비 바뀐 부분이 임계치보다 작을 경우, 해당 부분을 기록하는 저널 영역으로써 SCM을 활용한다.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NAND 페이지 쓰기 횟수를 크게 감소시킴으로써, I/O 성능 및 NAND 스토리지 수명 향상을 가져온다.

A Study on Metadata Management Based Modified Htree for Smart Device File Management

  • Min, Youn-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4 no.4
    • /
    • pp.148-153
    • /
    • 2022
  • In keepi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oT-based environments are being implemented everywhere, and as a result,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various types of sensed data are utilized efficiently. In particular, the number of multimedia application cases using smart devices is increasing, and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large amounts of data are used as fast and convenient as small amounts of data. Given the increasing size of files used in smart devices, the study designed a modified Htree based on journaling meta data management in Ext4-based smart devices and analyzed performance through experiments of various methods. Performance evaluation analysis using IOZone and Hdread shows that the data size of 100Mbyte compared to the data input / output of existing htree is 10% or more, and that of the super large capacity file of 500Mbyte or more is 5% or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