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success factors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3초

채용시장 직무와 역량 간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a Platform to resolve the Mismatch between Job and Competence in Recruitment Market)

  • 김종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2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cruiting platform resolving the mismatch between corporate job and job finder's competence in recruitment market. For this, we investigated technological trends and limitation on recruit platform.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nds and directions related to recruiting platform evolution and identified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recruiting platform. Two development strategies include employment of online resume and construction of database assessing job finder's competence. We also proposed target system architecture incorporating job database, competency assessment form, capability oriented resume. To analyze user requirement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core job capability evaluation model were analyzed. Next, we designed integrated database, user interfaces, and dynamic functionalities using the forms developed in earlier stage. Finally, we assessed the fidelity of form item, integrity of database, and the usability of interfac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Employee Stres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 Comparison between High-technology and Traditional Industry in Taiwan

  • YANG, Shu Ya;CHEN, Shui Chuan;LEE, Liza;LIU, Ying Si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605-618
    • /
    • 2021
  • The use of human resources determines the success of enterprises. This study applies the questionnaire design metho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noting that few studies have comparatively examined these variables between industries, especially between high-tech and traditional industries. The proposed assessment model in this study can facilitate decision-makers' ability to make the optimal business decisions through their personnel systems, thereby improving employee satisfaction and increasing job performance. This study found that in the traditional and high-tech industries, some demographic variable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but the demographic variables that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differences in these job's variables are differences between industries. This study acknowledges that job stress and performance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and traditional industries will have more stress factors than high-tech industries. In addition, support for traditional industries exist in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ut not in high-tech industries. Job stress for performance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in two industries. This study re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found some differences in this relationship and the respective industrial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capital to foster employee creativity in nanotechnology companies: the mediating role of JS and CSR

  • Yuchun Li;Meilin Li;Xiangtong Kong;Arefeh Baniasadi;Ahmed Hasan Shaker;H. Elhosiny Ali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277-283
    • /
    • 2023
  •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creativity among the employees of nanotechnology companies. Further, this survey aim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PS), job satisfaction (JS)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s sources to foster creativity. Participants included 375 employees of nanotechnology companies in China. Sequential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creativity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sychological capital, job satisfaction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urthermore, not only psychological capital, job satisfaction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creativity but also explained 67.35% variance of it. It seems that having more psychological resources, more well-being and good feelings concerning performance in the workspace and the efforts of companies to improve employee welfare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ncreasing employee creativity. Our findings can help companies, especially nontechnology companies, in focusing on factors fostering the creativity of employees, because creativity enhances and promotes the performance and success of companies.

Key success factors for implementing modular integrated construction projects - A literature mining approach

  • Wuni, Ibrahim Yahaya;Shen, Geoffrey Qipi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343-352
    • /
    • 2020
  • Modular integrated construction (MiC) is an innovative construction method where components of a building are manufactured in an offsite factory, trucked to the job site in sections, set in place with cranes, and assembled together to form a whole building. Where circumstances merit, favorable conditions exist and implemented effectively; MiC improves project performance. However, several key factors need to converge during implementation to realize the full benefits of MiC. Thus,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which are critical to the success of MiC projects is imperative. Drawing on a systematic review of 47 empirical studies, this research identified 25 key success factors (KSFs) for MiC projects. Of these, the five topmost cited KSFs for MiC projects include effective working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project participants; standardization, optimization, automation and benchmarking of best practices; effective supply chain management; early design freeze and completion; and efficient procurement method and contracting. The study further proposed a conceptual model of the KSFs, highlighting the interdependences of people, processes, and technology-related KSFs for the effective accomplishment of MiC projects. The set of KSFs is practically relevant as they constitute a checklist of items for management to address and deal with during the planning and execution of MiC projects. They also provide a useful basis for future empirical studies tailored towards measuring the performance and success of MiC projects. MiC project participants and stakeholders will find this research useful in reducing failure risks and achieving more desired performance outcomes. One potential impact of the study is that it may inform, guide, and improv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iC projec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the rigor of the analysis and relative importance ranking of the KSFs were limited due to the absence of data.

  • PDF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생성공 개념에 관한 탐색적 연구: CQR-M 분석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cept of Student Success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 류소형;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1호
    • /
    • pp.33-65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생성공의 개념을 조사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학생들의 자유로운 생각을 듣기위해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해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고 99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응답결과는 CQR-M(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성공의 의미', '학생성공을 위한 대학 환경 요인', '학생성공에 필요한 심리적 요인' 등 3개의 영역에서 25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영역인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생성공의 의미'에서는 '학업성취·취업 역량 증진·다양한 경험 쌓기·만족스러운 취업·원하는 진로 설정·관계형성 능력 증진·나만의 목표 설정과 달성·자기 개발·만족스러운 대학생활'의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영역인 '학생성공을 위한 대학 환경 요인'에서는 '진로개발 지원·직무역량 향상 시스템·대학생활 참여지원·인적 네트워크 형성 기회·학습역량 증진 시스템·경제적 지원 확대·학생 편의를 위한 환경'으로 7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세 번째 영역인 '학생성공에 필요한 심리적 요인'에서는 '학습능력·자기효능감·대인관계 유능성·자기인식 및 개선·직무역량·자기조절 능력·풍부한 경험·진로인식·자존감'의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각 영역별 빈도와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PDF

기술 창업자와 창업 조력자 간 창업 성공요인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erception Gap between Technology Based Entrepreneurs and Startup Facilitators about Success Factors for Startup)

  • 심용호;길운규;김서균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2호
    • /
    • pp.43-57
    • /
    • 2015
  • 현 정부는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창조경제 정책을 제시하고, 창조경제 실현의 핵심을 기술창업으로 천명하여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기술창업 지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기술 창업자와 창업 조력자가 생각하는 창업 성공요인의 인식차이를 분석하여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 창업자와 창업 조력자가 인식하는 창업 성공요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해 분석된 창업 성공요인을 크게 1) 창업자의 특성, 2) 창업 전략, 3) 조직의 특성, 4) 창업 환경으로 분류하여 기술창업 기업의 CEO와 출연(연)에서 중소 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있는 연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바탕으로 ANP 방법론을 활용하여 두 집단 간 창업 성공요인에 대한 우선순위와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창업 성공을 위해 기술 창업자는 '조직의 인력구성 및 전문성'을, 창업 조력자는 '자금조달 전략'을 가장 중요한 변수로 선택하였다. 두 집단 모두 창업 전략의 중요성을 높이 평가하였고, 창업 환경은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로 평가했다는 공통점을 가졌다. 반면 창업자의 특성과 조직의 특성에 대해 두 집단이 평가하는 상대적 중요도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는 창업 성공요인의 우선순위에 대한 기술 창업자와 창업 조력자 간 정성적인 인식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고, 향후 관련 정책 수립 시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정보시스템 성공요인이 카지노정보시스템의 보안신뢰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Success Factors of Information System on Trust of Security of Casino Information System and Job Satisfaction)

  • 이대근;김용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81-98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카지노 이용자를 위한 카지노 정보시스템의 성과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들이 조직 신뢰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카지노 정보시스템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정보 품질은 보안 신뢰에 유의수준에서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 만족에는 유의수준에서 채택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스템 품질은 보안신뢰에 유의수준에서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 만족에는 유의수준에서 채택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품질은 보안 신뢰와 직무 만족에 유의수준에서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안신뢰는 직무만족에 유의수준에서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정보 품질, 시스템 품질, 서비스 품질이 보안 신뢰와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이 되었다.

정보시스템 성공요인이 카지노정보시스템의 보안신뢰와 직무만족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Success Factors of Information System on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Security Reliability of Casino Information System and Job Satisfaction)

  • 이대근;황찬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181-198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카지노 이용자를 위한 카지노 정보시스템의 성과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들이 조직 신뢰와 직무만족을 통하여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카지노 정보시스템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정보 품질은 보안 신뢰와 직무 만족에 유의 수준에서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스템 품질은 보안신뢰와 직무 만족에 유의 수준에서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품질은 보안 신뢰와 직무 만족에 유의 수준에서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안신뢰는 직무만족에 유의 수준에서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안 신뢰와 직무 만족은 경영성과에 유의 수준에서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 방향은 본 연구의 각 변수들을 확장하여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하며, 카지노 정보시스템의 경영 성과를 다 방향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과 탈세 방지를 위한 시스템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휴대인터넷(WiBro) 서비스의 주요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of Wireless Broadband Service)

  • 윤종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33-245
    • /
    • 2009
  • 2006년부터 무선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휴대인터넷(WiBro) 상용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휴대인터넷 서비스 가입자 수 및 서비스 이용율은 다소 저조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향후 WiBro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관점에서 국내의 무선인터넷 사용자들이 어떠한 요인들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러한 WiBro 서비스 주요성공요인에 대한 인식도가 응답자들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탐색적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무선인터넷 사용자의 특성과 WiBro 서비스 주요성공요인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연구명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무선인터넷 사용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사용자 유형, WBro 서비스 주요성공요인 등의 연구변수를 정의함으로써, 국내의 무선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의 직업과 거주지를 중심으로 분류한 집단들간에 일부 WiBro 서비스 주요성공요인에 대한 인식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존재하며, 응답자의 직업과 일부 WiBro 서비스 주요성공요인간의 관련성에 있어서 사용자 유형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WiBro 관련 연구들에서 이용될 수 있는 연구명제들을 제시할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Employment Predictive Factors of Young University Graduates

  • Jun-Su Kim;Woo-Hong C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241-24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대학 졸업자 취업 성공 요인 분석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결정 요인 비교를 통해 대학의 취업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9년도 '대졸자 직업이동경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 25.0 통계패키지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수도권 대졸자는 개인 특성 중 연령, 부모 자산, 어학연수 경험이 취업 성공(+) 요인이었고, 대학 특성은 2~3년제 대졸자가 4년제나 교육대 대졸자보다 취업 성공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수도권 대졸자는 개인 특성 중 연령, 부모 자산이 취업 성공(+) 요인이었고, 2~3년제 대졸자가 4년제 대졸자보다 취업 성공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