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onbyeo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개똥쑥 분말을 첨가한 전병의 특성 (Properties of jeonbyeong prepared with Artemisia annua L. powder)

  • 문은우;박헌조;박정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44-649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Artemisia annua L. powder in jeonbyeong. Contents of crude ash increased as the amount of Artemisia annua L. powder increased, whereas crude fat contents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contents of Artemisia annua L. powder, total amino acid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Hunter's L value increased as contents of Artemisia annua L. powder increased, whereas total free sugar contents decreased. Addition of Artemisia annua L. powder to jeonbyeong increased dietary fiber contents. The sensory score of jeonbyeong containing 100 g of Artemisia annua L. powder was the highest of all jeonbyeong te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addition of Artemisia annua L. powder could improve the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onbyeong.

죽순분말을 첨가한 전병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Jeonbyeong containing bamboo sprout powder)

  • 문은우;박헌조;박정숙;나환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2-327
    • /
    • 2015
  • 죽순분말을 첨가한 전병을 제조하여 첨가 수준별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죽순분말 첨가 전병의 일반성분 중 조단백질, 식이섬유와 회분의 경우 죽순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조지방은 감소하였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죽순분말을 첨가할수록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색도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죽순 분말 첨가량이 높아지면서 증가하였고, 무첨가구 시료와 타 시료간의 색차값을 비교한 ${\Delta}E$ 값의 변화는 죽순 분말 100 g 첨가구가 4.58로 나타나 죽순 분말 첨가가 전병 고유의 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죽순 분말을 첨가하면서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에 따른 시료별 선호도 결과 죽순 300 g 첨가 시료가 색(color), 향미(flavor), 맛(taste), 식감(chewiness) 모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전반적 기호도와 다양한 관능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전병에 첨가하는 죽순분말의 적정비율은 300 g 수준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죽 분말을 첨가한 전병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nbyeong added Cedrela sinensis Powder)

  • 양승은;진소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9-290
    • /
    • 2013
  • 참죽나물은 맛과 향 및 붉은 색이 조화를 이루는 귀한 산채 중의 하나로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만 이른 봄에 참죽나무 순을 데쳐서 나물로 먹었던 전통식품 중의 하나이다(Kim et al. 2012). 본 연구는 전통 산채인 참죽나무 잎을 분말화한 후 첨가량을 달리하여 전병반죽에 첨가하여 total phenolic content,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참죽 전병의 품질특성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반죽의 수분 및 pH, 전병의 비중, 수분, 색도, 경도,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참죽나무 잎의 저장성과 가공방법을 연구하고 전병에 첨가하여 기호 및 영양학적 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참죽 전병의 total phenolic content는 참죽 분말 12%를 첨가한 첨가군이 $161.1{\pm}0.09$ mg GAE/100 g로 가장 높았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1000{\mu}g/m{\ell}$ 수준에서 12% 첨가군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반면 반죽의 pH와 수분함량은 참죽 분말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전병의 수분함량 또한 감소하였다. 전병의 색도는 L값과 b값은 참죽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고, a값은 높아지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경도는 시료 첨가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에서는 9% 첨가군이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아 참죽 분말은 뛰어난 항산화능을 보이고 있으며 가공식품의 기능성 재료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표고버섯 가루를 첨가한 전병의 특성 (Properties of Jeonbyeong Containing Letinus edodes Powder)

  • 박정숙;나환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7-344
    • /
    • 2007
  • 표고버섯 분말을 첨가한 전병을 제조하여 첨가 수준별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병 반죽의 물성 특성 중 흡수율은 표고버섯 분말 첨가량이 많아지면서 증가하였으며, 반죽도달시간과 최고점도는 첨가량에 따라 낮아졌다. 또한 extensogram을 통한 반죽의 energy값은 첨가량과 부의 결과를 보였으며 신장도도 감소하였다. 표고버섯 분말 첨가 전병의 일반성분은 대조구에 비해 수분, 조단백질과 회분의 경우 증가하였고, 탄수화물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20% 첨가구의 경우 약간 눅눅한 상태로 전병이 제조되어 전병 제조 시 표고버섯 분말 첨가량은 20%를 넘지 않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색도를 분석한 결과 L값과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값은 10% 이상 첨가구에서 다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10% 이상 첨가시 기존 대조구와 현저한 색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Rheometer를 이용한 물성 측정 결과 경도(hardness)는 15%까지 증가하다 20% 첨가구에서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20% 시료의 조직이 눅눅한 상태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최대 하중값과 파단점도 경도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시료별 관능검사 결과는 색(color), 향(flavor), 맛(taste)과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 등 모든 항목에서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15% 이상 첨가 할 때 기호도가 조금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병 제조 할 때 최적의 표고버섯 분말 첨가량은 10% 수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조리교육생의 약선 음식 이용 특성 및 교육 참여 의사 -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Current State of Usage and Education Participation Intention for Yaksun Food among Culinary Students - Focu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 송연미;조미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03-516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usage and education participation intention for Yaksun foo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thods: Th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300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culinary education program at Seou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Education from September 5, 2014 to September 20, 2014, and 264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Awareness regarding Yaksun food was low, bu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Yaksun food class was high. The information searching route for Yaksun food was mainly television, radio or internet. Memil-jeonbyeong ssam was the most eaten menu item and Nokdu-Samgye tang was the most popular menu item.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Yaksun food, vegetable dishes, steamed dishes, rice dishes and roasted dishes were preferred in this order. The most preferred educational institution for Yaksun food was the cultural center, and the most preferred educational period for Yaksun food was less than three months. The most important point in the Yaksun food class was practical application in real life. Also, the current state of usage for Yaksun food and the intent to participate in an education program for Yaksun food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the current state of usage for Yaksun food, the information searching route for Yaksun food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occupation, cooking career and lives and Yaksun cuisine type preference according to gender, occupation, income and households. Also, with respect to education program participation intention for Yaksun food, educational institution preference for Yaksun food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occupation, cooking career, income and liv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for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Yaksun food,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target custo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ir needs. Furthermore, it show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menus for Yaksun f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