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lly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초

Carrageenan과 Pectin을 첨가한 오미자 젤리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Carrageenan and Pectin addition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Omija Extract Jelly)

  • 심영자;백재은;주나미;전희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62-364
    • /
    • 1995
  •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n sensory characteristics$.$and physiochemical propertics of Omija jelly in various volume of adding carrageenan and pectin. The viscosity and the turbidity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concentration Omija jelly with pectin. The sensory evaluation of Omija jelly was the best with the ratio 0.5% carrageenan.

  • PDF

오디 분말을 이용한 젤리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the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ddi Jelly using Mulberry Fruit Powder)

  • 김애정;방인수;박희용;이건순;여정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7-33
    • /
    • 2007
  • 본 연구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기호성이 높고 먹기 편하며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으로서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오디 젤리를 제조하기 위해 오디 분말을 0%, 0.5%, 1%, 1.5%, 2% 첨가하여 만든 오디 젤리의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색도, 물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디 젤리의 일반성분 함량에서 수분 함량과 조단백질 함량이 오디 분말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조지방 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높고 오디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오디 분말을 첨가한 군에서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오디 분말 2%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색도 검사에서 L값과 a값은 대조군에서 보다는 오디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조직감은 Hardness, Gumminess 및 Chewiness가 대조군보다 오디 분말을 첨가한 군에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0.05). 관능 검사에서는 오디 분말을 2% 첨가한 군에서의 색, 향미, 맛, 질감 그리고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키며 이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먹기 편한 바람직한 오디 젤리의 오디 분말 첨가량은 2%로 밝혀졌다.

복숭아 분말 첨가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Peach(Prunus persica L. Batsch) Powder)

  • 이정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8-1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젤리를 제조한 후 젤리의 물리화학적 품질특성(pH, 색도, 외관색상, 경도)과 소비자 기호도(색, 향미, 씹힘성, 맛, 전체적 기호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젤리의 pH는 증가하였다(p<0.001).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복숭아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01),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복숭아 분말 첨가 젤리의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결과는 복숭아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소비자 검사결과, 15% 첨가군이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아 젤리의 관능적 품질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복숭아 분말의 기능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젤리의 최적첨가 농도는 15%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hydrocolloid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ld-cut duck meat jelly

  • Kim, Tae-Kyung;Yong, Hae In;Jang, Hae Won;Kim, Young-Boong;Sung, Jung-Min;Kim, Hyun-Wook;Choi, Yun-Sa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2권4호
    • /
    • pp.587-594
    • /
    • 2020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various hydrocolloid (alginate, carrageenan, and konjac) treatmen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ld-cut duck meat jelly. Seven different types of cold-cut duck meat jelly were prepared: control, without hydrocolloids; T1, 0.5% alginate; T2, 0.5% carrageenan; T3, 0.5% konjac; T4, 0.25% alginate + 0.25% carrageenan; T5, 0.25% carrageen + 0.25% konjac; and T6, 0.25% alginate + 0.25% konjac. The pH and moisture content of the cold-cut duck meat jelly with hydrocolloids was higher (p < 0.05)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highest lightness value was recorded for T4 and T6 (p < 0.05), and the hardness was lower (p < 0.05) in the meat jelly with hydrocolloids than in the control, except for T2 and T5. The springiness of the meat jelly was the highest (p < 0.05) in T1 and T4. The onset, peak, and end temperatures were the lowest (p < 0.05) in the control. The highest appearance score of the meat jelly was observed in T6, and its overall acceptability was higher (p < 0.05) than that of the control, indicating that, of all the treatments, 0.25% alginate + 0.25% konjac yielded the most desirable results. Thus, the combined use of duck skin and gelatin with alginate and konjac is potentially applicable for the development of new cold-cut duck meat products.

오징어 연제품의 물성에 미치는 단백질류의 영향 (Effect of Added Proteins on Rheology of Squid Meat Paste Products)

  • 배태진;김해섭;최옥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8-145
    • /
    • 2003
  • 난백, bpp, gelatin 및 gluten을 농도별로 첨가하였을 때 페루산과 포클랜드산 오징어 모두에서 각각 4%, 5%, 3% 및 4% 첨가구가 가장 높은 jelly강도를 나타내었고, 그 이상의 첨가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때의 물성 특성 값들을 보면 절곡시험 값은 모두 B를 나타내어 두겹으로 접어 1/2정도만 균열이 생겼으며, 페루산 오징어 연제품의 경우 수분함량은 72.06~73.78%, 보수력은 88.53~91.11%사이였고, 포클랜드산 오징어 연제품의 경우 수분함량은 71.91~72.89%, 보수력은 90.21~93.25%사이였다. 그리고 가장 높은 jelly강도 값을 나타낸 경우는 bpp를 5% 첨가하였을 때이며 이때 페루산과 포클랜드산 오징어 연제품에서 각각 872$\pm$29g.cm와 982$\pm$26g.cm를 나타내었다. Gluten 4% 첨가의 경우 jelly강도의 증가폭에 비하여 탄력성과 깨짐성의 힘이 크게 나타났으며 보수력도 크게 증가되는데 반해 경도의 변화는 크지 않았으며, 이때의 절곡시험 값은 B, 수분함량은 페루산이 73.74%, 포클랜드 산이 72.89%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오징어를 이용한 연제품제조시 적절한 단백질류 첨가는 제품의 품질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디 착즙액 첨가비율에 따른 젤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Mulberry Juice)

  • 문혜경;이수원;문재남;윤세진;이슬;김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97-80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berry juice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jelly. Samples of mulberry jell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adding different mulberry juice. The four groups were divided into MJ-0 (mulberry jelly without mulberry juice), MJ-30 (mulberry jelly with 30% mulberry juice), MJ-50 (mulberry jelly with 50% mulberry juice) and MJ-70 sample (mulberry jelly with 70% mulberry juice). The moisture content in all MJ sample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ddition of mulberry juice. The highest crude ash content, brix and pH in MJ-70 sample were 0.66%, 25.00 °Brix and 4.84, respectively. No significant crude fiber changes were observed in all MJ samples. In the case of Hunter's value, 'L' values in all MJ sample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ddition of mulberry juice. Turbidity, brown degree, total phenolic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ontent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mulberry juice. Levels of Ca, K, Na, and Mg contents in all samp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minerals. Texture in all MJ samples on the whole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mulberry juice added. However, no significant texture charges were observed in all samples. The highest scores for the overall acceptance (4.52) were found in the MJ sample with 50% mulberry juice.

대봉감 퓨레의 첨가량에 따른 감 젤리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Jelly Added with Different Levels of Daebong Persimmon Puree)

  • 민지현;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4-58
    • /
    • 2016
  • 대봉감 퓨레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감 젤리는 대봉감 퓨레를 더 첨가할수록 조단백질, 조지방, 비타민 C, 식이섬유 및 베타카로틴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색도 결과 대봉감 퓨레를 더 첨가할수록 명도 값이 감소하였으며, 적색도 값은 퓨레 5% 및 7% 중량부를 첨가한 시료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조직감 결과 대봉감 퓨레를 더 첨가할수록 경도와 씹힘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관능검사 결과 외관, 색, 맛, 향, 씹힘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퓨레 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대봉감 퓨레를 더 첨가할수록 영양학적으로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색도, 조직감 및 관능검사의 결과 대봉감 퓨레를 첨가한 감 젤리의 개발은 퓨레 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Chitosan 첨가가 메밀묵의 저장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tosan on Shelf-life and Quality of Buckwheat Starch Jelly)

  • 이명희;노홍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65-869
    • /
    • 2001
  • 메밀묵의 부패에 관련된 주요 미생물을 분리 동정하고, chitosan을 농도별(0, 0.5, 1.0, 1.5, 2.0%)로 첨가하여 메밀묵의 저장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묵의 부패에 관여하는 주요균은 Serratia liquefaciens와 Staphylococcus lentus로 간주되었다. 메밀묵을 18$^{\circ}C$에서 6일간 저장시 chitosan의 첨가량이 1.5% 이상일 때는 균의 성장이 상당히 억제되었으며, 수분활성도 chitosan의 첨가량이 1.0% 이상일 때 변화가 적었다. 색상은 대조구와 chitosan 처리구 모두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적 평가에서는 1.0% chitosan 처리구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chitosan 농도가 1.5% 이상에서는 기호도가 떨어졌다. 따라서 메밀묵 제조시 chitosan을 1.0% chitosan 처리구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chitosan 농도가 1.5% 이상에서는 기호도가 떨어졌다. 따라서 메밀묵 제조시 chitosan을 1.0% 첨가함으로써 대조구에 비하여 관능적 품질 향상뿐만 아니라 저장성도 1~2일정도 연장시킬수 있으리라 여겨졌다.

  • PDF

식초음료를 첨가한 파우치형 곤약젤리의 제조 및 품질 특성 (Pouch-type Konjac jelly manufactur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containing vinegar drinks)

  • 김청혜;김연정;김지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613-61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식초음료가 함유된 젤리의 품질특성에 관하여 식초음료 함량, 구연산삼나트륨 함량, 겔화제 함량에 따라 3단계에 나눠 제조공정에 따른 살균전후의 이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식초 음료의 함량을 달리한 젤리는 식초음료의 함량이 높을수록 pH는 급격히 낮아졌고 살균 후는 살균 전 보다 경도(hardness)가 현저히 낮아져 제형이 유지되지 않았다. 이는 pH와 높은 산도의 영향으로 보여 진다. 산도조절제인 구연산삼나트륨의 함량을 달리한 실험 결과 pH는 구연산삼나트륨의 첨가 함량의 증가는 살균전후 모두 구연산삼나트륨의 함량과 젤리의 경도(hardness)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살균 공정 후 젤리는 살균보다 경도(hardness)는 낮아져 pH와 살균 가열 조건이 겔화의 품질 주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겔화제의 함량을 달리한 젤리의 경도(hardness)는 살균전후 모두 겔화제 첨가 함량의 증가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식초음료의 스파우트 젤리임을 고려할 때 제품 관능 속성에 부합될 수 있도록 pH 3.5-3.7, 글루코만난과 카라기난의 혼합겔의 함량은 0.4-0.5%가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로얄제리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의 치료 및 예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yal Jelly on Therapy and Prevention of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한준표;우주연;백경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267-1272
    • /
    • 1998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and therapeutic of royal jelly on diabetes, the levels of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s as well as the number of blood cells were determined in streptozotocin(STZ) diabetic rats. Rats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The RJ group was administered royal jelly and the STZ group was treated with streptozotocin to induce diabetes. To determine the preventive effect, diabetes was induced after administration of royal jelly for 2 weeks in group RS1/RS2. In group SR1/SR2 diabetic rats were administered royal jelly for 2 week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 After 3 weeks, the body weight was reduced in STZ and SR1 groups and food intake was increased in the STZ, RS1 and SR1 groups. The blood glucose level was similar to the control group in the RJ, RS1 and RS2 groups and there was no effect in the other groups. The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level were lower in the SR1 group as compared to STZ, and the total cholesterol level was higher in the STZ group. The index of atherogenesis was lower in the RJ and SR1 group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 number of red blood cells and hemoglobin was higher in the RJ and SR1 groups and the number of white blood cells was higher in the RJ and SR2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