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onica type

검색결과 659건 처리시간 0.031초

파로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Lake Paro)

  • 최재석;장영수;이광열;김진국;권오길
    • 환경생물
    • /
    • 제22권1호
    • /
    • pp.111-119
    • /
    • 2004
  • 2002년 12월부터 2003년 9월까지 파로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류는 총 12과 45종이었다. 한국고유종은 H. mylodon, A. yanatsutae, C. herzi 등 15종 (33.33%)이었다. 우점종은 Z. platypus (72.41%), 아우점종은 H. labeo (9.75%)였고 우세종은 O. uncirostris amurensis (5.98%), Z. temmincki (2.42%), R. brunneus (2.01%), H. olidus (0.88%) 등이었다. 채집된 어종들의 생체량은 Z. platypus 82,863.15g, H. labeo 32,942.63 g, O. uncirostris amurensis 27,482.39 g, C. carpio 6,502.87 g, A. japonica 3,022.15 g,S. scherzeri 2,711.05g의 순으로 나타났다. 파로호에서 확인된 도입종은 A.japonica, H. eigenmanni, H. olidus, O. masou masou, C. urotaenius, R. giurinus, C. carpio (Israeli type), C. cuvieri, M. salmoides, L. macrochirus의 10종이었다. 이 중 C. carpio (Israeli type), C. cuvieri, M. salmoides, L. macrochirus는 국외종이며 A. japonica, H. eigenmanni, H. olidus, O. masou masou, C. urotaenius, R. giurinus는 국내 다른 하천으로부터 도입된 종이다.

EFFECTS OF SPIRAMINE ALKALOIDS ON THE PLATELET AGGREGATION

  • jiang, Hao-Xia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66-71
    • /
    • 1998
  • Spiraea japonica L. F., a plant species belongs to the Spiraea genus of Rosaceae family, has seven varieties. There are all varieties distributed in Yunnan province of China, and S. japonica var. acuminata and S. japonica var. fortunei were used as the folk medicines to treat malaria and inflammation etc.. Since 1960s, Japanese and Russian scholars obtained C$\_$20/-diterpenoid alkaloids from S. japonica L.F., also Chinese scholars got a series of Hetisine-type C$\_$20/-diterpenoid alkaloids from S. japonica var. fortunei in 1985. Since then, we started the chemical and pharmaceutical studies of this complex. Here we wish to report the bioactive effects of spiramine alkaloids and their derivatives on the platelet aggregation induced by AA, PAF, or ADP.

  • PDF

저장에 따른 생태형별 현미의 발아율과 지질 성분의 변화 (Changes of Seed Germination Rate and Lipid Components in Different Brown Rices during Ageing)

  • 곽지은;이점식;윤미라;김인환;이정희;김미정;이춘기;김보경;김욱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33-940
    • /
    • 2015
  • 토콜즈(tocols) 이성질체 조성이 서로 다른 자포니카와 통일형 품종을 이용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지질 관련 품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자포니카와 통일형 품종의 현미를 $35^{\circ}C$, 습도 80%에서 8주간 저장하며, 2주 간격으로 품질 변화를 분석한 결과, 자포니카 품종들의 발아율은 저장 초기 98.0%에서 저장 8주 후 22.4%까지 감소한 데 반해, 통일형 품종들은 저장 초기 93.3%에서 8주 후 59.7%로 감소해 통일형 품종의 발아율 감소율이 2배 이상 낮았고, 쌀의 저장 중의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지방산가 또한 통일형 품종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발아율 및 지방산가는 쌀의 저장 중 품질 저하를 판단하는 주요 기준이며, 본 실험을 통해 통일형 벼 품종이 자포니카 품종에 비해 저장에 따른 품질 저하 속도가 늦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통일형 벼는 토코페롤 대비 토코트리에놀 함량이 높고, 특히 지질 안정성 및 지질의 산화 억제 효과가 뛰어난 ${\gamma}$-토코트리에놀의 함량이 높은 지질 특징을 지니고 있어, 벼 저장 중의 지질 산패 지연에 관여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벼의 저장성과 관련된 명확한 성분 구명을 위해서는 자포니카와 통일형의 토콜즈(tocols) 조성 혼합물을 이용한 저장 실험이 추가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에서 육성된 벼 품종들의 이삭형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Panicle Traits for 178 Rice Varieties Bred in Korea)

  • 박현수;김기영;모영준;정진일;강현중;김보경;신문식;고재권;김선형;이부영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9-180
    • /
    • 2010
  • 국내에서 육성된 178개 품종을 이용하여 12개 이삭형질에 대한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일형이 자포니카형보다 이삭길이는 길었고 이삭목은 두꺼웠다. 또한 수당립수, 총지경수, 2차 지경수, 2차 지경 총립수, 2차 지경 평균립수 및 1차 지경당 2차 지경수 각각에서 많았다. 반면에 자포니카형이 통일형보다 이삭추출은 양호하였고 1차 지경 평균립수도 약간 많았다. 12개 이삭형질 값을 가지고 평균 연결법을 이용하여 178개 품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4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Group I은 자포니카형 133품종, Group II는 자포니카형 24품종, 통일형 6품종, Group III은 자포니카 1품종, 통일형 11품종, Group IV에는 농안벼가 포함되었다. 12개 이삭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삭목 두께는 이삭길이, 2차 지경 총립수 및 수당립수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당립수는 총지경수, 2차 지경 총립수, 2차 지경수, 1차 지경당 2차 지경수, 2차 지경 평균립수와 정의 상관을 보였다. 총지경수는 2차 지경수, 수당립수, 2차 지경 총립수, 1차 지경당 2차 지경수와 정의 상관을 보였다.

금은화의 type I interferon 억제효과 및 기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hibitory Effect and Mechanism of Lonicera Japonica on Type I Interferon)

  • 강용구;유익한;김송백;최창민;서윤정;조한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32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Lonicera japonica(LJ) could inhibit LPS-induced type I IFN production. Methods: To evaluate inhibitory effect of LJ on type I IFN, we examined type I IFN, IRF-1, 7 and IL-10 production on LPS-induced macrophages using real time RT-PCR. Next, we observed the interaction of type I IFN, IRF-1, 7 and IL-10 using IL-10 neutralizing antibody. Finally we examined the activation of STAT-1, 3 using western blot. Results: LJ inhibited Type I IFN expression of mRNA and increased IL-10 expression of mRNA. Also LJ inhibited the level of IRF-1, 7 mRNA and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IRF-3. Further more, LJ reduced the activation of STAT-1, 3 which are involved in continuous secretion of immune cytokines. Blockade of IL-10 action caus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type I IFN and IRF-1, 7 than LPS-induced LJ pretreatment. Conclusions: LJ inhibits LPS-induced production of type I IFN by IL-10. This study may provide a clinical basis for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LJ.

저온에 의한 수도의 Discoloration 발생에 관한 연구-온도에 의한 가용성단백질구성 변화에 관하여- (Studies on the leaf discoloration caused by low temperature-Change of soluble protein components by temperature -)

  • 박경배;전중효행;원전이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
    • /
    • 1978
  • 단백질구성 변화를 여러가지 온도조건에서 Japonica형인 진흥, Indica$\times$Japonica교잡품종인 통일, 밀양 2003, 영남조생, 유신등을 공시하여 'Growth Cabinet'를 사용하여 검토 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저온하에서 엽록소함양감소는 Japonica형 품종보다 Indica형 품종에서 심하였다. 2. 단백질구성비(저분자가용성단백질에 대한 고분자가용성단백질의 비)는 고온하에서 높았고, 저온하에서 낮았다. 3. 품종간 단백질구성비는 저온하에서 Japonica형 품종보다 Indica형 품종이 낮았다. 4. 엽신의 엽록소함양과 가용성단백질구성비와는 정의 유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Spikelets and Vascular Bundles in Panicle of Japonica Rice Cultivar, 'Iksan 435'

  • Park, Hong-Kyu;Kang, Si-Yong;Choi, Weon-Young;Kim, Sang-Su;Cho, Soo-Yeon;Choi, Won-Y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7-121
    • /
    • 1999
  • Spikelet and vascular bundle development in rice panicles is considered to be the important elements in determining the genotype's yield capacity and translocation ability of assimilates into grains, respective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varietal differences of the spikelet and vascular bundle formations among three rice cultivars; Iksan 435 (japonica), Dongjinbyeo (japonica) and Namcheonbyeo (Tongl-type). Iksan 435 had more primary rachis branches (PRBs), secondary rachis branches (SRBs) and spikelets per panicle than Dongjinbyeo, but less than Namcheonbyeo. Among three cultivars, Namcheonbyeo showed the highest spikelet number per panicle which were differentiated SRBs mainly on PRBs of lower rachis nodes. And Namchenbyeo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large vascular bundle (LVB) as well as small vascular bundle (SVB) and it displayed the largest diameter of LVB. Between the two japonica cultivars, the numbers of LVBs end SVB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Iksan 435 than those in Dongjinbyeo. The PRBs to LVBs ratio of Namcheonbyeo was twice as large as those of Dongjinbyeo and Iksan 43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ewly bred cultivar, Iksan 435, has improved yield capacit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especially rachis branches and spikelets formation as well as 1,000 grain weight, compared to other former japonicas.

  • PDF

일반계와 통일계 현미의 겨층구조와 수분 흡수 속도 (Bran Structure and Water Uptake Rate of Japonica and Tongil-type Brown Rices)

  • 이수정;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2호
    • /
    • pp.94-99
    • /
    • 1994
  • 일반계(13품종)와 통일계(12품종) 현미의 겨층구조와 수분 흡수 속도를 조사하고 각 특성들간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일반계 현미의 길이는 통일계보다 유의적으로 짧았으나, 폭과 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호분층과 과피의 두께는 일반계와 통일계 모두 등부가 배부보다 두꺼웠으며, 호분층 수는 일반계가 통일계보다 많았으나 배부 또는 등부의 호분층과 과피의 두께는 일반계와 통일계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60^{\circ}C$ 에서의 수분 흡수 속도는 일반계가 폭이 컸으나 통일계와 유의성은 없었으며, 겨층의 구조와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 PDF

국내산 자포니카와 인디카 품종 찹쌀전분의 호화특성과 분자구조 (Gelatinization Properties and Molecular Structure of Waxy Rice Starches Isolated from Korean Japonica and Indica Cultivars)

  • 오송민;노준희;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16-725
    • /
    • 2014
  • Gelatinization properties and the molecular structure of Korean waxy rice starchesisolated from two japonica types, Sinseonchal, and Dongjinchal, as well as an indica type, Hangangchal 1 were investigated. Sinseonchal is preferred cultivar for making Korean traditional rice cakes and cookies. Sinseonchal starch was the highest in crude protein, amylopectin, damaged starch contents, and water binding capacity among the cultivars tested.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72.75^{\circ}C$), peak (360.54 RVU), breakdown (162.21 RVU) and setback (30.83 RVU) viscosities of Sinseonchal had the highest values (p<0.05). Onset and peak temperatures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were also the highest in Sinseonchal. The molecular weight of Sinseonchal amylopectin was 5.46 107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but its peak height and area were the lowest among them. The amylopectin peak by HPSEC showed a shoulder in the lower molecular weight portion and its relative area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Sinseonchal > Dongjinchal > Hangangchal 1. On the branch chain length distribution of amylopectin, the proportion of DP13-24 and DP25-36 showed reverse trends, with higher japonica type amylopectin in DP13-24.

보급연대가 다른 벼 품종들의 건물생산 및 수량 관련 형질 비교 연구 (Comparison of Traits Related to Dry Matter Production and Grain Yield among Rice Cultivars Released in Different Years)

  • 범용;이규종;이변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83-189
    • /
    • 2006
  • 건물 생산 및 수량 관련 특성들을 비교 검토하고자, 시대별로 보급 면적이 넓었던 Japonica 6품종과 통일형 3품종에 대하여 건물 생산 특성인 광소멸계수(K), 광이용효율(RUE), 누적엽면적지수(LAD) 등과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를 조사하였고, 각 특성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벼 군락의 K는 70년대 이전에 보급된 품종은 0.5이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나, 그 이후에 나온 Japonica 품종과 통일형 품종은 0.5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출수전 RUE는 japonica 품종 중에서는 팔달벼가 가장 낮았고, 조동지와 낙동벼가 높았으며, 통일형 품종 중에서는 밀양23호가 유의하게 낮았으나 품종육성연대에 따른 일정한 변화경향은 없었다. 한편 등숙기 RUE는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LAD는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는데, 최근에 육성된 품종일수록 LAD가 큰 경향이었다. 출수기까지의 LAD는 출수기 건물중과 유의한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출수 후 LAD 및 전 생육기간의 LAD는 등숙기 건물생산량 및 수확기 건물중과 각각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다. 출수기 및 수확기 건물중은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통일계 품종의 경우는 최근에 육성된 품종일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수량은 자포니카 품종의 경우 1900년대 이전 품종인 조동지만이 유의하게 수량이 낮았으며, 그 이후에 육성된 japonica 품종 간에는 수량의 차이는 없었다. 통일형 품종은 최근에 육성된 품종일수록 수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수량은 단위면적당 영화수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통일계 품종은 최근에 육성된 품종일수록 단위면적당 영화수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japonica 품종의 경우 육성보급 연대에 따른 건물생산 특성인 K, RUE 및 LAD의 일정한 변화 경향이 없었으나, 통일계 품종의 경우는 최근에 육성된 품종일수록 수량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영화수 증대에 따른 sink size 증대와 더불어 LAD증대에 따른 건물생산성 증대에 기인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