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onensis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산 및 일본산 식물체 추출물의 솔잎혹파리 유츙에 대한 살충활성 (Laarvicidal Acrivities of Extracts from Domestic and Japanese Plants aginst the Pine Needle Gall Midge (Diptera: Cecidomyiidae))

  • 김순일;안용준;이상길;김준범;변병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3-158
    • /
    • 1996
  • 국내산 41종과 79종 식물체 메탄올 추출물 및 일본산 1종 식물체 정유의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유충에 대한 살충황성을 여지접촉법과 충제침지법으로 조사한 결과 살추활성은 식물체 종류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여지접촉법으로 여지당 시료 10mg을 처리하였을 때, 국내산 미나리아재비과의 지범, 부자의 위령선 뿌리 추출물과 일본산 측백나무과의 Thujopsis dolabrata var. hondai 톱밥의 정유가 90%이사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충제침지법(5,000ppm)을이용한 생물검정에서는 T.dolabrata var. hondai 톱밥의 정유만이 강한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T.dolabrata var. Hondai 톱밥의 추출물의 솔잎 혹파리에의한 소나무림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wo new genera of black flies(Diptera: Simuliidae) of Korea

  • Kim, Sam-Kyu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11-18
    • /
    • 2020
  • Larva and pupae of Prosimulium kiotoense and larvae of Twinnia japonensis were collected and reported from Korea for the first time. The genus Prosimulium, previously unknown from Korea, contains 80 species worldwide and 8 species are known in Japan. Species are separated into 3 species groups; hirtipes species-group (47 spp.), macropyga species-group (14 spp.) and magnum species-group (19 spp.), with which P. kiotoense belongs to the hirtipes species-group. The genus Twinnia, also previously unknown from Korea, contains only 10 species worldwide. In this study, I provide detailed descriptions and photographs of larvae and pupae P. kiotoense and larvae T. japonensis. Prosimulium kiotoense is characterized by pupa with gill of 16 filaments, cocoon amorphous and entirely covers the pupal body, head and thorax densely covered with microtubercles, larva with postgenal cleft apically straight, and hypostomal teeth with median tooth prominent. On the other hand, larva of T. japonensis can be characterized by labral fan absent, gill histoblast with 16 filaments, and hypostomal teeth with median tooth distinctly shorter than other teeth. In addition to descriptions for each species, a key to Korean Prosimulium and Twinnia is provided, with reference to the Japanese species and habitat information.

한국산 노랑굴파리과(파리목)에 대하여 (Notes on Korean Chloropidae(Diptera))

  • 존와랜드;이스메이;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7
    • /
    • 1998
  • 남한지역의 노랑굴파리아과 정리결과 미기록종 22종(Aphanotrigonum occultivirga-tum, Calamoncosis duinensis, Conioscinella gallarum, Dicraeus stackelberigi, Elachiprera biculiminata, Elachiptera tuberculifera,Gampsocera sp., Meijerlla inaequalis, Psilacrum sp., Rhodesiella nitidifrons, Rhopaopterum anthracinum, Scoliophthalmus japonensis, Siphunculina sharmani, Speccafrons pallidiventris, Togeciphus katoi, Chloropsina sp., Cryptonevra diadema, Cryptonevra inqilina, Lasiosina orientallis, Meromyza\ulcornersororcula, Paeudopachychaeta so. and Steleocerellus ensifer)을 포함한 34종을 보고한다. 지금까지 보고된 종을 포함하면 한국산 노랑굴파리아과는 총 45종이 된다.

  • PDF

서울지방의 솔잎혹파리 분포조사 (The distribution of the Pine Gall-midge(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n Seoul district)

  • 고제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55-58
    • /
    • 1965
  • 본문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주요교통로를 따라 솔칠혹파리의 피해선단지를 조사한 것이다. (1) 서울지방의 술잎혹파리 피해는 광주, 양수, 서파, 봉천, 고촌 등 동북방으로 널리 전파되어 있다. (2) 솔잎혹파리의 전파를 조장하는 인자로는 성충기의 향이 가장 관계가 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3) 솔잎혹파리 피해선단지의 유충기생봉 솔잎혹파리 좀벌의 기생율은 서파의 $13.6\%$를 제외하고는 매우 높았다.

  • PDF

한국산 흑연가시 속(유선형동물 문, 철선층 목)의 2종 (Two Species of Genus Chordodes(Gordioidea, Nematomorpha) from Korea)

  • 백광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2호
    • /
    • pp.221-228
    • /
    • 1993
  • 1988년 10월부터 1992년 10월 사이에 남한의 4개 지역에서 채집된 철성충중 Chordodes속에 속하는 1신종 Chordodes koreensis, n. sp, 와 1미기록중 Chordodes japonensis Inoue, 1952를 기재한다. 본 Chordodes속은 한국에서 처음 발표되어 2종의 큐티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 기재하였다.

  • PDF

Winter foraging of endangered Red-crowned and White-naped crones in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DMZ)

  • Lee, Sang-Don;Jablonski, P.;Higuchi, H.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 /
    • pp.176-177
    • /
    • 2007
  • We determined how presence of heterospecific individuals in the vicinity of a focal individual affects the behavior of two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of cranes on their wintering grounds at Cheolwon in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DMZ). The Red-crowned crane, Grus japonensis, is larger than the White-naped crane, Grus vipio, and it dominates the White-naped crane in aggressive interactions. We showed that the dominant species increases foraging activity in the presence of the subordinate species presumably because of scrounging of the food from the subordinate. Because interspecific interactions may affect avian endangerments this behavioral finding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managing winter refuges for the two engendered crane species.

  • PDF

솔잎혹파리 피해임지의 수세변동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ree Vigor of Damaged Forest by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이찬용;채희문;김종국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34-41
    • /
    • 2000
  • 솔잎혹파리 피해임지의 특성에 따른 수세변동을 구명하였다. 솔잎혹파리 피해도("심", "중", "경")별로 구분하여 수세를 조사한 결과 피해가 심한 지역의 수목은 수세가 현저하게 약화되었으며, 수목의 임분밀도("밀", "중", "소")별로 구분한 경우는 피해도와 관계없이 임분밀도가 낮은 임분에서 수목의 수세가 강하게 나타났다. 수목의 외형적 인자중 수관폭과, 흉고직경이 작은 개체에 비하여 큰 개체의 수세가 모든 임분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각 임분에서 전기저항치와 수관면적과의 관계는 피해도 "심" 임분에서는 수관면적이 $13.4m^2$ "중" 임분에서는 $10.9m^2$, "경" 임분에서는 $7.9m^2$로 피해가 심할수록 수관면적이 넓어야 임목이 생존할 가능성이 높은 전기저항치($15k{\Omega}$ 이하)가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a pr 1-like Gene of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F-101 Isolated from Thecodiplosis japonensis

  • Shin Sang Chul;Roh Jong Yul;Shim Hee Jin;Kim Soon Kee;Kim Chul Su;Park Il Kwon;Jeon Mun Jang;Je Yeon 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0권2호
    • /
    • pp.131-136
    • /
    • 2005
  • Beauveria bassiana F-101, which has high toxicity toward Acantholyda parki as well as Thecodiplosis japonensis, was an isolate to develop an alternative control system against the major forest pests. Up to now, in B. bassiana, only one pr1 gene has been isolated and characterized. Therefore, we here reported the identification of a pr1-like gene, which would be a factor of toxicity from B. bassiana F-101. The oligonucleotides for the amplification of the pr1-like gene, were chosen based on the conserved regions of the subtilisin family enzymes, pr1 genes of B. bassiana and Metarhizium anisopliae, and proteinase K of Tritirachium album. The cloned PCR fragment had 1111 bp including 52 bp intron. The deduced Pr1-like peptide showed a low identity with Pr1s of entomopathogenic fungi such as B. bassiana Pr1 (BbPr1) and M. anisopliae Pr1 (MaPr1) as well as the proteinase K of T. album (TaPrK). Instead, the deduced peptide had a substantially high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65\%)$ with the serine proteases of Magnaporthe grisea (MgSPM1) and Podospora anserina (PaPspA). These results, therefore, appear to suggest that the putative Pr1-like peptide of B. bassiana F-101 belongs to the subtilisin-like serine protease family and may be a novel gene.

방사성 추적자에 의한 솔잎혹파리 방제용 살충제 phosphamidon의 소나무 수간이동 구명 : II. 소나무 체내에서의 대사 (Elucidation of the translocation of phosphamidon used for the control of pine leaf gall midges (Thecodipi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n the trunks of pine trees by means of a radiotracer. Part II. Metabolism in pine trees)

  • 이재구;이형래;경기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469-475
    • /
    • 1993
  •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방제용으로 소나무의 수간에 주입된 침투성 살충제 phosphamidon(2-chloro-2-diethylcarbamoyl-1-methylvinyl dimethyl phosphate)의 대사를 구명하기 위하여 $[vinyl,\;carbonyl-^{14}C]phosphamidon$을 약 10년생 소나무의 수간에 주사하고 그 솔잎 추출액을 autoradiography한 결과 phosphamidon은 소나무 체내에서 신속히 분해됨을 알 수 있었다. 솔잎의 phosphate buffer 추출액 중에서 phosphamidon은 주대사산물인 ${\alpha}-chloroacetoacetic$ acid diethylamide를 비롯하여 ${\alpha}-chloroacetoacetic$ acid ethylamide, 3-hydroxy-N,N-diethylbutanamide, acetoacetamide, 그리고 trimethyl phosphate 등의 대사산물을 생성하였으며, 이 대사작용은 소나무 체내에서도 유사하리라 추정된다. 또한 주 대사경로는 구조식중 P-O-vinyl 결합의 가수분해와 관련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