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prene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1초

제주지역 주요 침엽수에서 배출되는 VOCs 배출특성 (A study on Emission Rates of VOCs from Conifers at Jeju Island)

  • 김형철;이기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27-637
    • /
    • 2010
  • Emission rate of monoterpene and isoprene was measured in five commonly growing tree species of conifers(Pinus thunbergii, Abies koreana, Cryptomeria japonica, Pinus densiflora, Chamaecyparis obtusa) at the Halla mountain sites. Dynamic flow enclosure technique was used and gas samples were collected into Tenax tube. The highest and lowest hourly emission rate was observed in Abies koreana (1.86 ${\mu}g$/gdw/hr) and Chamaecyparis obtusa (0.52 ${\mu}g$/gdw/hr), respectively. The major species of monoterpene from pine trees were ${\alpha}$-pinene, ${\beta}$-pinene, ${\beta}$-phellandrene, myrcene. Particularly, d-limonene was abundant in Abies koreana but ${\alpha}$-pinene, $d^3$-carene and sabinene was in Cryptomeria japonica. Emission rates of isoprene show less significant than those of monoterpene. And also seasonal emission rates of monoterpene were dependent 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스티렌 공중합체의 유변학적 특성 해석 (Analysis of Rheological Properties for Styrene Copolymers)

  • 한민현
    • 유변학
    • /
    • 제4권1호
    • /
    • pp.46-51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열가소성고무를 중심으로 한 스티렌 공중합체의 유변학적 특성을 Couette 보정치를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실험재료로는 SBS(Styrene-Butadiene-Styrene), SEBS(Styrene-Ethylene/Buthylene-Styrene), SIS(Styrene-Isoprene-Styrene)을 사용하였고 탄성체의 성격을 비교하기 위하여SBS(Styrene-Butadiene Rubber)와 IR(Isoprene Rubber)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Couette 보정치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열가소성 고부 (SBS, SEBS, SIS)의 보정치는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고무(IR, SBR)의 보정치는 열가소성고무에서보다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충진제를 첨가하였을 경우 충진제의 양 이 증가할수록 Couette 보정치는 감소하였다.

  • PDF

참나무 수종별 Isoprene 배출속도 비교 (A comparison study on Isoprene emission rates from various Oak trees)

  • 김조천;임용재;선우영;김기준;홍지형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4-95
    • /
    • 2003
  • 인간의 활동에 의해 생성되고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 : Volatile Organic Compounds)들의 대기화학적 역할과 그 중요성은 최근 많은 나라에서 커다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산림은 대기 중으로 유입되는 자연 VOC(NVOC)의 주요 배출원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산림과 농경지가 각각 전국토의 65%, 20%를 차지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산림이 NVOC의 주요 배출원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특히, 반응성이 강한 탄화수소의 배출원이란 점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전 세계적으로 NVOC의 배출량이 인위적인 것의 약 7배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략)

  • PDF

아스팔트용 반응성 고분자 개질제 합성 및 적용(1) (Synthesis and Applications of Reactive Polymer Modifiers for Asphalt(1))

  • 황기섭;안원술;서숭혁;하기룡
    • 폴리머
    • /
    • 제31권1호
    • /
    • pp.68-73
    • /
    • 2007
  •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유화중합법으로 반응성 고분자 개질제들을 합성하였다. Styrene, methyl methacrylate (MMA) 및 isoprene과 아스팔트의 아스팔텐 성분의 carboxyl group과 반응시키기 위하여 epoxy ring을 가진 glycidyl methacrylate(GMA)를 단량체로 사용하였다. 단량체의 조성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개질제들을 중합하고, 중합된 개질제와 아스팔트의 상용성을 검토하였다. 혼합이 잘 되는 개질제들에 대하여 시차주사열량계 (DSC)로 $T_g$를 측정하였다. 합성 후 epoxy ring의 존재 여부와 아스팔텐과의 반응성을 알아보기 위해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FTIR)를 이용하였고, 핵자기공명법(NMR)으로 개질제 분자 구조의 해석을 행하였다. 아스팔트와 혼합이 잘 이루어지는 개질제들은 $T_g$$37.5{\sim}56.5^{\circ}C$ 사이이며, isoprene의 비율이 30 wt%이었다.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BVOCs and Ozone at Taehwa Research Forest

  • Kim, Dan-Bi;Lee, Sang-Deok;Lee, Seung-Ha;Kim, Rhok-Ho;Lee, Yeong-Jae;Chae, Hee-M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53-161
    • /
    • 2018
  • Ozone absorbs ultraviolet light which is harmful to life. However, the recent increase of ambient ozone level due to climate change is becoming the cause of stimulating human eyes, affecting respiratory system, and damaging crops. In this paper, a study was conducted at the Taehwa Research Forest (TRF)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air chemistry based on the measurement of BVOCs emitted from forests and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of BVOCs with ozone gene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levels of isoprene and MVK (Methyl Vinyl Keton)+MACR (Methacrolein) were high in summer, but level of monoterpene was high in spring. Ozone level was high from the middle of May to the middle of June, which was before the rainy season. Comparis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ozone and isoprene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at the TRF showing limited NOx showed that the $R^2$ was correlated with a low value of about 0.4. However, when the isoprene was actively produced from 6:00 AM to 6:00 PM,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R^2$ was about 0.9, while monoterpene started to increase in the afternoon, and decreased level of ozone at nigh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Forests have two characteristics: not only the formation of ozone but also the decomposition of ozone.

제주지역 BVOCs의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1)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BVOCs Emission in Jeju Island (1))

  • 이기호;김형철;허철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2057-2069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BVOCs emissions with the emission factors which reflected the native conditions of forests in Jeju Island. This study made effective use of the previous data for the weather data and the emission rate of each organic volatile component measured at 10 species of conifers and broad leaved trees. The CORINAIR method and the grid system of $1km{\times}1km$ for whole area of Jeju Island were adopted in calculating the BVOCs emission emitted from forest. The vegetation information for Jeju Island was referred to GIS and a government report. By the results of BVOCs emission for Jeju Island, the 85% of monoterpene emission was emitted from conifers and the others was from broad leaved trees. Most of monoterpene emission was attributed to Pinus thunbergii and Cryptomeria japonica. The broad leaved trees greatly contributed to the isoprene emission and Quercus serrata played a dominant role in emission of isoprene. The total amount of BVOCs emission was estimated as $3612ton\;yr^{-1}$ in Jeju Island. The 51.1% of total emission was contributed to conifers, the 44.9% to broad leaved trees, and the 4.0% to grassland. Of total emission of BVOCs, monoterpene accounted for 32.3%, isoprene for 28.0%, and OVOCs for 39.7%. The BVOCs emission estimated by this study was less than that estimated by other previous study. This means that it is important to survey the emission rate at native conditions and gather the detailed information for various species of vegetation on target region.

제올라이트 A를 이용하여 이소프렌에서 아세틸렌 제거를 위한 선택적 흡착공정 개발 (Development of Selective Adsorption Process with Various Pore Size A-type Zeolite on Removal of Acetylenes for Isoprene Purification)

  • 전경진;안병성;유계상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48-552
    • /
    • 2010
  • 본 연구는 이소프렌에서 아세틸렌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효과적인 흡착제의 개발이다. 흡착제로 기공의 크기가 $4{\AA}$에서 $5{\AA}$인 제올라이트를 이용하여 아세틸렌을 흡착하여 제거하는데 기공의 크기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제올라이트 A의 기공크기는 Na와 Ca의 조성을 변화하여 조절하였다. 특히 아세틸렌의 주성분인 2-methyl-1-butyne-3-yen (IPA)와 2-butyne의 동역학적 지름의 차이 때문에 흡착제의 기공 크기는 흡착효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공의 크기가 $5{\AA}$인 흡착제는 2-butyne의 높은 흡착력을 보였으나 IPA에는 낮은 흡착력을 보였다. 흡착등온선의 경우 개선된 Langmuir 모델이 2-butyne 흡착에 대해서 가장 좋은 fitting을 보였다. 이외에도 최적의 재생 조건을 찾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300^{\circ}C$에서 12 h 동안 재생하였을 때 매우 효과적이었다.

Ethylene Vinyl Acetate / Styrene Vinyl Isoprene Styrene Triblock Copolymer 블렌드의 발포특성 (Foaming Characteristics of Ethylene Vinyl Acetate/Styrene Vinyl Isoprene Styrene Triblock Copolymer Blend)

  • 허재영;김진태;윤정식;유종선;김원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2호
    • /
    • pp.106-114
    • /
    • 2000
  • 상온에서의 충격 흡수특성과 compression set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와 styrene vinyl isoprene styrene triblock copolymer (SVIS)를 블렌드하여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발포제 및 EVA/SVIS 블렌드비가 발포배율 및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VIS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블렌드의 점도는 증가하였고 가교 속도는 감소하였으며, 발포배율은 감소하여 비중은 증가하였다. 발포제 함량 증가, 즉 발포배율 증가에 따른 반발탄성은 변화가 없는 반면에, SVIS 함량 증가에 따라 발포체의 상온에서의 tan ${\delta}$ 값은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반발 탄성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EVA/SVIS 블렌드 발포체에서 SVIS 함량 증가에 따라 가교밀도와 비중이 증가하므로 compression set 값도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