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ward current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18초

Effects of Ginsenoside Metabolites on GABAA Receptor-Mediated Ion Currents

  • Lee, Byung-Hwan;Choi, Sun-Hye;Shin, Tae-Joon;Hwang, Sung-Hee;Kang, Ji-Yeon;Kim, Hyeon-Joong;Kim, Byung-Ju;Nah, Seung-Yeo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6권1호
    • /
    • pp.55-60
    • /
    • 2012
  • In a previous report, we demonstrated that ginsenoside Rc, one of major ginsenosides from Panax ginseng, enhances ${\gamma}$-aminobutyric acid (GABA) $receptor_A$ ($GABA_A$)-mediated ion channel current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ginsenoside metabolites on $GABA_A$ receptor channel activit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insenoside metabolites on human recombinant $GABA_A$ receptor (${\alpha}_1{\beta}_1{\gamma}_{2s}$) channel activity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using a two-electrode voltage clamp technique. M4, a metabolite of protopanaxatriol ginsenosides, more potently inhibited the GABA-induced inward peak current ($I_{GABA}$) than protopanaxadiol (PPD), a metabolite of PPD ginsenosides. The effect of M4 and PPD on $I_{GABA}$ was both concentration-dependent and reversible. The half-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values of M4 and PPD were 17.1${\pm}$2.2 and 23.1${\pm}$8.6 ${\mu}M$, respectively. The inhibition of $I_{GABA}$ by M4 and PPD was voltage-independent and non-competitiv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gulation of $GABA_A$ receptor channel activity by ginsenoside metabolites differs from that of ginsenosides.

The Inhibitory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Saponins on 5- HT3A Receptor Channel Activity Are Coupled to Anti-Nausea and Anti-Vomiting Action

  • Kim Jong-Hoon;Lee Byung-Hwan;Jeong Sang Min;Nah Seung-Yeo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37-43
    • /
    • 2005
  • We performed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to know whether the inhibitory effects of ginsenosides on $5-HT_{3A}$ receptor channel acctivity are coupled to anti-nausea and anti-vomiting action. In vitro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mpound K (CK) and M4, which are ginsenoside metabolites, on human $5-HT_{3A}$ receptor channel activity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using two-electrode voltage clamp technique. Treatment of CK or M4 themselves had no effect in both oocytes injected with $H_2O\;and\;5-HT_{3A}$ receptor cRNA. In oocytes injected with $5- HT_{3A}$ receptor cRNA, M4 treatment inhibited more potently 5-HT-induced inward peak current $(I_{5-HT})$ than CK with dose-dependent and reversible manner. The half-inhibitory concentrations $(IC_{50})$ of CK and M4 were $36.9\;\pm\;10.1\;and\;7.3\;\pm\;2.2\;{\mu}M$, respectively. The inhibition of $I_{5-HT}$ by M4 was non-competitive and voltage-independ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4 might regulate $5-HT_{3A}$ receptors. In vivo experiments, injection of cisplatin (7.5 mg/kg, i.v.) induced both nausea and vomiting with 1 h latency. These episodes reached to peak after 2 h and persisted for 4 h. Pre-treatment of GTS (500 mg/kg, p.o.) significantly reduced cisplatin-induced nausea and vomiting by $51\;\pm\;8.4\;and\;48.8\;\pm\;6.4\%$ during 4 h compared to GIS­untreated group,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that in vitro inhibition of $5-HT_{3A}$ receptor channel activity by ginsenosides might be coupled to in vivo anti-emetic activity.

햄스터 난자에서 존재하는 Chloride 통로 (Identification of Chloride Channels in Hamster Eggs)

  • 김양미;김종수;홍성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1-112
    • /
    • 2004
  • 본 연구는 포유류인 $Cl^-$통로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Cl^-$통로는 비흥분성 세포에서 용적변화와 pH 조절, 이온운반계 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활발한 세포분화가 이루어지는 난자의 생존과 기능에 필수적 $Cl^-$통로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단일통로 전류를 기록하는 patch clamp 기법을 이용하였다. 세포외(pipette) 용액을 140 mM NaCl로 하고 세포내(bath) 용액을 70 mM, 140 mM, 280 mM NaCl로 바꾸어 주었을 때, 역전압($E_{rev}$) 은 $Cl^-$평형전압을 반영하는 -9.8${\pm}$0.5mV, 0mV, 11.5${\pm}$0.2mV로 변화하였다(n=4). 이런 결과는 이론치와 약간의 편차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항 Goldman-Hodgkin-Katz(GHK) 식을 이용한 결과 $Cl^-$에 대한 $Na^+$의 투과성 ($P_{Na}$/$P_{Cl}$/)은 0.25로 추측할 수 있었다. Inside out patch mode에서 Pipette 용액과 bath 용액에 imperment인 NMDG-Cl로 구성하였을 경우 단일 통로가 기록되었다.(n=22). 막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전도도(conductance)가 같이 증가하였으며 전류-전압 관계는 outward rectification을 보였다. 이런 특성을 나타내는 단일통로로 전류는 선택적 $Cl^-$통로 차단제인 IAA-94(indanyloxyacetic acid 94)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차단되었으며 가역적으로 회복되었다. IAA의 $IC_{50}$은 32.6$\mu\textrm{M}$이었다. DIDS(4,4'-diisothiocyan ostillben-2-2'disulfonic acid)에 의해서는 전류크기가 감소 되는 빠른 억제기전을 나타내는 차단효과를 보였으며 시간경과에 따라 seblevel로 감소되는 subconductance block 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햄스터 난자에서 chloride 통로가 존재하여, 물질이동과 pH 조절기능을 나타내는 외향성 전류-전압관계를 보이는 $Cl^-$ 통로의 성상으로 미루어 볼 때 난자의 pH 조절과 용적조절과 같은 생리적 환경 조성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3차원 수치모의 실험을 통한 진해·마산만의 계절별 해수순환과 염하구 특성 (Seasonal Circulation and Estuarine Characteristics in the Jinhae and Masan Bay from Three-Dimensional Numerical Experiments)

  • 김지하;최병주;최재성;하호경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9권2호
    • /
    • pp.77-100
    • /
    • 2024
  • 진해·마산만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해수순환, 조석, 조류, 적조, 수질, 빈산소 환경을 주제로 많이 연구되었으나 주로 단기간 동안 일어나는 해양현상에 대해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만 전체적인 해수순환을 일으키는 물리적 기작을 자세히 살펴본 연구는 부족했다. 오염 물질의 이동과 확산 같은 현상은 주로 계절별로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진해·마산만 해역의 해수순환이 계절적으로 어떻게 변동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차원 해양 순환 모델을 이용하여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진해·마산만의 해수순환을 수치모의하고, 여름철과 겨울철 해수순환을 표층, 중층, 저층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조석, 바람, 담수 유입에 대한 민감도 실험을 수행하여 각 요인들이 해수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진해·마산만의 해수순환은 가덕수도 저층에서 대한해협의 해수가 유입되고, 표층에서 진해·마산만의 해수가 유출되는 대류성 염하구 순환이 일어난다. 가덕수도를 통해 교환되는 해수의 순환은 크게 진해만 동부해역과 진해만 서부해역으로 나누어져 일어난다. 각 해역의 수로 방향을 기준으로 해수 수송량을 계산하였을 때, 진해만 동부해역의 남북방향 해수 교환 수송량은 진해만 서부해역에서 일어나는 동서방향 해수 교환량보다 겨울철에는 2.3배, 여름철에는 1.4배 크다. 진해만 서부해역은 계절별로 작용하는 힘들의 균형이 변화하여 해수순환 특성이 계절에 따라 크게 다르다. 겨울철에는 북서풍이 만드는 전단응력과 해수면 기울기의 영향으로 표층 해류가 남쪽으로, 저층 해류는 북쪽으로 흐르는 남북방향 대류성 순환이 강화된다. 반면, 남서풍이 부는 여름철에는 바람 응력에 의해 표층 해수가 동쪽으로 유출되고, 또한 남동쪽 해수면이 높아 북쪽 방향 순압성 압력경도력이 커져 동쪽 방향 유속이 강화된다. 저층에서는 밀도 구배가 커져 경압성 압력경도력이 남쪽으로 크게 작용하여 지형류 균형에 의해 가덕수도의 해수가 서쪽으로 강하게 유입하는 동서방향 대류성 순환이 겨울철보다 26% 강화된다. 진해만 서부의 대류성 순환은 겨울과 여름 모두 조류와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진해만 동부해역과 마산만에서는 모든 계절에 표층에서는 해수가 외해로 유출되고, 저층에서는 해수가 만 안쪽으로 유입되는 전형적인 염하구 순환을 보였다. 겨울철에는 바람과 담수유입이, 여름철에는 조류의 영향이 남북방향 염하구 순환 규모에 크게 기여하였다. 진해만 동부해역에는 지형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조석 잔차류도 뚜렷하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진해·마산만의 계절별 해수순환 특성은 이 해역의 오염물질 확산, 여름철 빈산소수괴의 형성 기작 파악, 적조 생물의 유입과 유출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