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specific evolution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산 보통검물벼룩속(요각아강, 검물벼룩목, 검물벼룩과)의 분류 (Taxonomy on Genus Mesocyclops (Copepoda: Cyclopoida: Cyclopidae) from South Korea)

  • 이지민;전진모;장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1호
    • /
    • pp.93-110
    • /
    • 2005
  • 한국 담수산 검물벼룩류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보통검물벼룩(Mesocyclops)속의 5종을 분류하였다: 보통검물벼룩 (M. leuckarti) 갈고리보통 검물벼룩 (M. pehpeiensis), 꼭지보통검물벼룩 (M. dissimilis), 민가시보통검물벼룩 (M. woutersi), 털줄보통검물벼룩 (M. mariae). 이 중 뒤의 3종은 한국미기록 종이다. 이들 5종의 분류학적 미세 형질과 종내 변이성을 검토하였다. 한국산 보통검물벼룩속의 종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한국산 톱니꼬리검물벼룩 복합군(요각아강, 검물벼룩목, 검물벼룩과)의 분류 (Eucyclops serrulatus Species Group (Copepoda: Cyclopoida: Cyclopidae) from Korea)

  • 이지민;민기식;장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2호
    • /
    • pp.137-156
    • /
    • 2005
  • 한국 담수산 검물벼룩류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톱니꼬리검물벼룩(Eucyclops serrulatus) 복합군에 속하는 6종을 보고한다: 톱니꼬리검물벼룩 (E. serrulatus), 예쁜톱니꼬리검물벼룩(E. roseus), 큰가시톱니꼬리검물벼룩(E. speratus), 태평톱니꼬리검물벼룩(E. Pacificus), 대머리톱니꼬리검물벼룩(E. ohtakai), 대마톱니꼬리검물벼룩(E. tsushimensis). 한국에서는 지금까지 다수의 보고서와 논문을 통해 톱니꼬리검물벼룩(E. serrulatus) 1종으로 기록되어 있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이것이 6종의 자매종으로 구성된 복합군임을 확인하였다. 자매종간 분류학적 미세 형질을 서로 비교하였고, 종내 변이성에 대하여도 고찰하였다. 현재까지 극동아시아에서 기록된 톱니꼬리검물벼룩 복합군의 종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DNA Barcode Examination of Bryozoa (Class: Gymnolaemata) in Korean Seawater

  • Lee, Hyun-Jung;Kwan, Ye-Seul;Kong, So-Ra;Min, Bum-Sik;Seo, Ji-Eun;Won, Yong-Ji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7권2호
    • /
    • pp.159-163
    • /
    • 2011
  • DNA barcoding of Bryozoa or "moss animals" has hardly advanced and lacks reference sequences for correct species identification. To date only a small number of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sequences from 82 bryozoan species have been deposited in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GenBank and Barcode of Life Data Systems (BOLD). We here report COI data from 53 individual samples of 29 bryozoan species collected from Korean seawater.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single largest gathering of COI barcode data of bryozoans to date. The average genetic divergence was estimated as 23.3% among species of the same genus, 25% among genera of the same family, and 1.7% at intraspecific level with a few rare exceptions having a large difference, indicating a possibility of presence of cryptic species. Our data show that COI is a very appropriate marker for species identification of bryozoans, but does not provide enough phylogenetic information at higher taxonomic ranks. Greater effort involving larger taxon sampling for the barcode analyses is needed for bryozoan taxonomy.

First Report of Five Tobrilus Species (Nematoda: Triplonchida) from Korea

  • Kim, Jiyeon;Kim, Taeho;Yu, Jeong-Nam;Park, Joong-K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3호
    • /
    • pp.240-250
    • /
    • 2020
  • Member of the genus Tobrilus Andrássy, 1959, which belongs to Tobrilidae Filipjev, 1918, are known as free-living nematodes in freshwater habitat. This genus was previously unknown from Korea. Five Tobrilus species are h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Tobrilus aberrans (Schneider, 1925), Tobrilus diversipapillatus (Daday, 1905), Tobrilus gracilis (Bastian, 1865), Tobrilus longus (Leidy, 1851), and Tobrilus wesenbergi (Micoletzky, 1925).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sediments of the Nakdong River in Korea.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measurements of the specimens generally agree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s of Tobrilus species, except for some differences that can be attributed to intraspecific variation among populations(e.g., nerve ring position [% pharynx] and reproductive length). Each species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members of the genus by specific characters (e.g., cephalic setae length and position, buccal cavity and pocket shape, vulva position, degree of development of reproductive system, and tail length and shape). Here, five species in the genus Tobrilus are fully redescribed and illustrated using optical microscopy images. DNA barcode sequence information (the D2-D3 region of 28S rDNA) is also provided for molecular species identification.

DNA Barcoding of Benthic Ragworms of the Genus Nectoneanthes (Polychaeta: Nereididae) Collected in Korean Waters

  • Park, Taese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7권3호
    • /
    • pp.235-241
    • /
    • 2021
  • To provide better taxonomic information of the genus Nectoneanthes, the two DNA barcode regions of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and 16S ribosomal DNA (rDNA) sequences of Nectoneanthes oxypoda and N. uchiwa were determined. In addition, the respective sequences of four nereidid species closely related to Nectoneanthes were retrieved from GenBank for comparison and to estimate intra- and inter-specific genetic distances. The aligned sequence lengths of COI and 16S rDNA were 570 bp and 419 bp long, respectively. The mean intraspecific variation in both markers was less than 1% in all species except for that in COI of H. diadroma (1.87%). The mean interspecific variation between N. oxypoda and N. uchiwa was 12.02% regarding COI and 1.85% regarding 16S rDNA. In contrast, the mean interspecific variation between species of other genera was comparably higher(i.e., genus Perinereis: 20.5% in COI and 8.3% in 16S rDNA; genus Hediste: 13.18% in COI and 2.64% in 16S rDNA), compared with that between the two Nectoneanthes species.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se Nectoneanthes species are genetically more closely related than other congeneric species of different genera. The DNA barcoding information on Nectoneanthes species generated in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further biodiversity studies on nereidid species.

딱정 장수노벌레속(갈고리노벌레목, 딱정장수노벌레과) mirabilis 종군에 속하는 1신종 1기록종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y on Canthocamptus semicirculus and C. coreensis n. sp.(Harpacticoida, Canthocarnptidae), with a Key to the C. mirabilis Species Group from South Korea)

  • 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2호
    • /
    • pp.233-244
    • /
    • 2002
  • 딱정장수노벌레 (Canthocamptus)속의 mirabilis 종군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극동아시아의 남부에 널리 분포하는 반달딱정장수노벌레 (C. semicircuius Kikuchi)와 남한의 중서부 지역의 구릉지대 계류에 분포하는 1신종. 고려딱정장수노벌레 (C. coreensis)를 보고한다 반달딱정장수노벌레의 한국산 표본에서는 암컷의 바깥꼬리털과 수컷의 제3다리 외지의 돌기형 가시와 같은 중요 형질에서 변이가 흔하게 나타났기에 종내변이에 대해 특기하였다. 고려딱정장수노벌레는 암컷에서 수컷모사변이형의 꼬리마디가 나타나지 않고 항문판의 투명막이 둥근모양을 유지한다는 점 등의 조상형 형질을 유지하는 반면. 수컷 제3다리 외지 제2마디의 바깥가시와 수컷 제4다리 외지 끝마디 바깥강모가 심하게 변형되는 등의 파생형질을 소유한다. 현재까지 기록된 5종의 한국산 딱정장수노벌레속 mirabilis 종군에 대한 종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한국산 검정망둑(Tridentiger obscurus)과 민물검정망둑(T.brevispinis)의 분류학적 고찰

  • 김종범;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3호
    • /
    • pp.359-377
    • /
    • 1995
  • 전국에서 채집된 검정망둑과 민물검정망둑의 지리적 변이를 조사한 결과 두 종은 반문형태상 뚜렷한 차이가 있었고 유전자 분석결과에서도 두 종은 3개의 유전적 표식인자 (Me-1, Gp-4, Aco)를 가지는 별개의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유전적 근연치는 S=0.813 , 유전적 차이치는 D=0.192로 종 수준 이하의 유전적 분화를 보였으며두 종의 동서하천에서 미세분포 상황 및 생식적 격리 수준을 조사한 결과, 두 종은 서식처 분리가 ENfut하여 검정망둑은 주로 염수역에, 민물검정망둑은 주로 담수역에 분포하며 이들 사이에 유\ulcorner 교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서식처 분리가 깨진 여천 방죽천 집단의 경우, 두 종간에는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며 F2 이상의 잡종개체를 포함하여 높은 비율(25.6%) 의 자연잡종이 발생되는 것으로 보다 두종은 교배전 격리기작 (prmatign isolating mechanism) 이 불완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F-statistics 분석결과 $F_{IS}$(inbredding coefficient) 값은 두 종간에 자유교배가 일어나지 않음을 보여 검정망둑과 민물검정망둑은 현재 아종에서 종으로 분화중에 있는 반종(semispecies)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학명은 T.obscurus obscurus(검정망둑)와 T.obscurus brevispinis (민물검정망둑)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하구별따개비(만각아강, 완흉상목)의 유생 발생 (Larval Development of Chirona cristatus(Cirripedia, Thoracica) Reared in the Laboratory)

  • Lee, Chu;Shim, Jeong-Min;Jeong, Mi-Kyung;Kim, Chang-Hy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1호
    • /
    • pp.35-48
    • /
    • 2002
  • 유생의 형태발생이 미발표된 별따개비속의 하구별따개비는 조간대의 암석 기저부에 부탁하거나 가리비의 껍질에 부착하여 생활하는 따개비이다. 유생을 실험실에서 최초로 사육하여 유생발생단계를 형태적으로 도시 및 기재하였다. 노플리우스에서 어린 성체 직전까지 유생사육 기간은 20$\pm$0.5$^{\circ}C$에서 3주일이 소요되었다. 각 유생단계별로 유생의 크기 및 강모식을 설명하고 하구별따개비 유생의 유생기별 전장, 갑폭, 촉각 내지에 위치한 4적의 강모형태, 상순, 4-6기의 노플리우스 두순극의 형태 및 제 1촉각, 제 2촉각, 대악의 강모식이 본 따개비유생의 동정에 유용함을 설명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형태학적 특징 뿐만 아니라 복부돌기에 있는 미세가슴가시의 형태와 미세가시수도 따개비유생의 종내 및 종간 동정에 매우 유용함을 구명하였다.

한국 고유 담수어종 참갈겨니(Zacco koreanus) 개체군의 계통지리학 및 집단유전학 연구 (Phylogeographic and population genetic study of a Korean endemic freshwater fish species, Zacco koreanus)

  • 김유림;장지은;최희규;이혁제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650-657
    • /
    • 2020
  • 본 연구는 동해유입하천(강릉 연곡천, 양양 남대천), 한강수계(섬강, 속사천), 낙동강수계(길안천)에 서식하는 참갈겨니(Zacco koreanus) 개체군을 대상으로 채집된 110개체로부터 미토콘드리아 DNA COI 유전자(mitochondrial DNA cytochrome oxidase I)를 분자마커로 이용하여 계통지리학적 분석을 수행하고, 추가적으로 강릉 연곡천 상·중·하류 개체군을 대상으로 집단유전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계통지리학 분석 결과, 동해유입하천과 한강수계의 참갈겨니 개체군은 동일한 단일계통을 나타내었고, 낙동강수계의 개체군은 상이한 계통으로 분기됨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수계 계통과의 유전적 거리 수치 범위가 평균 4.0%(3.7~4.2%)로서 동일종 이상 수준을 보여 잠재종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참갈겨니가 서식하는 수계에 따른 형태학적 차이는 연구된 바 있으나 DNA 염기서열의 변이를 이용한 분자유전학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낙동강수계 참갈겨니 개체군의 계통분류학적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집단유전체학 및 생태학적 분석을 통하여 관찰된 낙동강수계 계통이 다른 종, 잠재종 혹은 단순히 큰 수준의 종내 변이를 나타내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강릉 연곡천 상·중·하류에 서식하는 개체군의 집단유전학 분석을 통해 중류의 개체군이 상대적으로 높은 다양성을 나타냈으며 상·중·하류 개체군 간의 유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상·중·하류 개체군 간 유전자 확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하천의 개체군 간 연결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생태학적 시간 스케일의 연구에 더 적합한 분자마커를 이용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traspecific diversity and phylogeography of bony lip barb, Osteochilus vittatus, in Sundaland, as revealed by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mtCOI)

  • Imron Imron;Fajar Anggraeni;Wahyu Pamungkas;Huria Marnis;Yogi Himawan;Dessy Nurul Astuti;Flandrianto Sih Palimirmo;Otong Zenal Arifin;Jojo Subagja;Daniel Frikli Mokodongan;Rahmat Hidayat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145-158
    • /
    • 2024
  •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habitat landscape, and historical events are believed to have shaped the patterns of genetic variation in many taxa. The bony lip barb, Osteohilus vittatus, represent a potamodromous fish that complete all life cycle in freshwater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Southeast Asia. It usually lives in small rivers and other freshwater habitats, and movement between habitats for either food or reproduction has been typical. These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may promote gene flow, leading to less structured populations. However, many freshwater habitats are fragmented, which restricts gene flow. We investigate how this interplay has shaped patterns of genetic variation and phylogeographic structure within this species in the Sundaland, a biodiversity hotspot with a complex geological history, using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mtCOI) as a genetic marker. Forty-six mtCOI sequences of 506 bp long were collected from ten localities, eight geographically isolated and two connected. The sequences were used for population genetic and phylogeographic analyses. Our results showed a low genetic diversity within populations but high between populations. There was a deep phylogeographic structure among geographically isolated populations but a lack of such structure in the connected habitats. Among geographically isolated populations, sequence divergence was revealed, ranging from 1.8% between Java and Sumatra populations to 12.2% between Malaysia and Vietnam. An indication of structuring was also observed among localities that are geographically closer but without connectivity. We conclude that despite high dispersal capacity, the joint effects of historical events, long-term geographic isolation associated with sea level oscillation during the Pleistocene, and restricted gene flow related to lack of habitat connectivity have shaped the phylogeographic structure within the O. vittatus over the Sunda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