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vention

검색결과 12,761건 처리시간 0.038초

의료용 N95 마스크 착용방법에 대한 교육 전·후 밀착계수 비교 (Comparison of Fit Factor for Healthcare Workers Before and After Training with the N95 Mask)

  • 김현욱;백정은;서혜경;이종은;명준표;이승주;이진호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28-535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ces of fit factors before and after training on the N95 mask. The results will be utilized to suggest the need of providing effective training on respirator use. Methods: A total of 49 study subjects were tested, comprised of nurses from a general hospital and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from a medical school.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face length and face width were compared with the NIOSH(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anel. Fit factors(FF) were measured with TSI Portacount Pro+8038 before and after on-site training regarding the proper use of respirators. The FF pass/fail criterion was set at 100. Results: Two subjects(4.1 %) passed the fit test before training on use of the N95. However, 36(73.5%) of the 49 passed the test after training. Overall the FF(GM(GSD)) was 13.4(3.2) before training, but improved to 106.6(2.1) after training,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e efficacy of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 on-site training proved to be better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educational method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e effect of on-site training of the N95 respirator among health care workers(HCW). Therefore, providing effective training on the use of N95 for HCWs before their work assignments will greatly reduce exposure to harmful agents. It is recommended that fit testing be mandated to check for adequate protection being provided by the given respirators.

DACUM 기법에 의한 병원 임상영양사의 직무기술서 개발 (Development of Job Description of Clinical Dietitians in Hospitals by the DACUM Method)

  • 차진아;김강은;김은미;박미선;박유경;백희준;이송미;최수경;서정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9권3호
    • /
    • pp.265-286
    • /
    • 2013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tandardiz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working in hospitals. A developing curriculum (DACUM) method was used for the job analysis of clinical dietitians. Based on DACUM analysis with 14 members, including clinical dietitians and professors majoring in clinical nutrition and job analysis, information on the duties, tasks, and task elements of clinical dietitians was determined. To verify the job descriptions derived from DACUM analysis, a total of 46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with over 500 beds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The final developed job description for clinical dietitians included 7 duties, 27 tasks, and 93 task elements. The duties consisted of nutritional assessment, nutrition diagnosis, nutrition intervention, nutrition monitoring evaluation, consultation cooperation, nutrition research, and self-development. The mean scores of perceived importance, performance, and difficulty on the clinical dietitian's task elements (out of a maximum score of 5.0) were 4.5, 3.7, and 3.5,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tems (P<0.001).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grid of clinical dietitian's tasks showed that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collaboration" (E2) and "activity of quality improvement" (F1) received relatively low scores for performance despite their high importance scores; thus the performance of these tasks require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nclusion, the job descriptions of clinical dietitians developed from this study are useful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 hospitals.

체중조절 경험이 있는 여대생의 자기표현성, 자아존중감, 우울과 이상섭식태도 간의 관련성 (Relations of Self-assertiveness, Self-esteem, Depression and Abnormal Eating Attitude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Weight Control Experience)

  • 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207-221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중조절 경험이 있는 여대생의 자기표현성, 자아존중감, 우울과 이상섭식태도의 정도 및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충청도, 전라도 소재의 4년제 대학 3곳에 재학 중인 여대생 중 체중 조절경험이 있는 170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이상섭식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우울(${\beta}$=0.20, p=.029)이 식사에 대한 자기 통제와 대식증적 증상에, 자아존중감(${\beta}$=-0.22 p=.019)과 우울(${\beta}$=0.18, p=.043)이 음식에 대한 집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beta}$=-0.35, p<.001)이 날씬함에 대한 집착정도에, 자기표현성(${\beta}$=0.22, p=.008)과 우울(${\beta}$=0.20, p=.034)이 다이어트에 대한 집착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여대생의 건강한 체중 조절 및 이상섭식태도를 줄이기 위해, 자기표현성과 자아존중감 향상 및 우울조절과 같은 심리적, 정신적 요인의 치료적 간호가 필요하다.

뇌성마비 유형 중 편마비 아동을 위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 홍소영;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22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뇌성마비 유형 중 편마비 아동에게 적용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의 프로토콜(protocol)과 중재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검색용어는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Cerebral Palsy", "Hemiplegia"를 사용하였고,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처음 제시된 2001년부터 2011년 5월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 Medline, Ovid를 이용하여 검색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0개의 연구가 분석되었고, 뇌성마비 편마비 아동에게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 치료를 적용한 결과 상지운동 기능 및 움직임의 질이 향상되었고, 일상생활에서 환측의 상지 사용 빈도가 증가하였음을 나타내었다. 결론 : 분석논문의 수가 적어 다양한 질적 수준의 연구를 포함한 제한점은 있지만, 아동의 특성에 맞도록 제한시간과 제한방법을 조절하고 다양한 치료 활동을 적용한다면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뇌성마비 편마비 아동의 기능회복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지구온난화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to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Skills - Focus on Global Warming -)

  • 이효녕;권용주;오희진;이현동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784-797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위해 지구온난화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 정도를 파악하였다. 현직 교사와 전문가들에게 타당성을 검증 받은 지구온난화 교육프로그램을 학생 27명에게 투입하였으며 시스템 사고 수준이 낮은 학생 3명과 수준이 높은 학생 3명, 총 6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활동 전 후로 단어 간 관계분석, 인과지도 그리기, 그림 그리기를 적용하여 시스템 사고 수준 변화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스템 사고 수준이 낮은 그룹은 활동 후 지구온난화에 대한 시스템 사고 정도가 향상된 모습을 보였으나 오개념이 유지되는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시스템 사고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었던 개념들은 활동 후 더 뚜렷해지고 체계적인 시스템 사고를 하고 있었다. 학생들에게 지구시스템과 연결된 지식이나 지구 환경 개념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시스템 사고를 함양시키고 과학교육과정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이러한 교육프로그램들이 많이 개발되어야 하며 또한 실제 학교 현장에서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자료들이 잘 보급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페키니즈견에서 발생한 연속적 폐염전의 전정맥마취하 자가 절단식 선형 복강경 스테플러를 이용한 치료 (Treatment of Spontaneous Serial Lung Lobe Torsion Using Self-Cutting Linear Endoscopic Stapler in a Pekingese Dog under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 박지영;이영원;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0-495
    • /
    • 2013
  • 9년령의 중성화 수컷, 6.9kg의 케피니즈견이1주일간 지속된 호흡곤란, 침울, 황색 구토와 복부 팽만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폐야의 밀도 항진은 CT 촬영에서 우폐중엽의 허탈을 동반한 우폐전엽의 염전으로 진단되었다. 진단으로부터 4일째, 프로포폴과 레미펜타닐을 이용한 전정맥 마취하에 우4늑간 개흉술을 실시하였을 때 우폐중엽과 우폐전엽은 함께 시계방향으로 꼬여있었다. 자가 절단식 선형 복강경 스테플러(ENDOPATHETS-FLEX-45)를 우폐전엽과 우폐중엽의 폐문부에 적용하였고, 폐엽절제 후 복합증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증례는 우폐전엽의 염전을 따라 연속적으로 우중엽의 염전이 진행된 경우로, 소동물에서 흔하지 않은 폐염전은 진단 후 즉각적 수술 처치가 필요함을 지시하며, 덧붙여 개에서 폐엽 절제시 자가 절단식 스테플러의 적용과 전정맥 마취의 유용성을 나타낸다.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하지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sk Oriented Circuit Training on the Function of Lower Extremity and Quality of Life in Hemiplegic Patients)

  • 차현규;오덕원;지상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99-305
    • /
    • 2014
  • 본 연구는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하지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에는 총 25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들이 참여하였고, 무작위로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군 13명, 트레드밀 훈련군 12명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두 군 모두 8주 동안 주 5회, 30분 트레드밀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군은 30분 동안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을 추가로 실시하여 슬관절 근력, 균형 능력, 10m 보행 능력, 그리고 뇌졸중 영향 척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군이 트레드밀 훈련군에 비해 슬관절 신전근과 굴곡근, 그리고 균형 능력, 뇌졸중 영향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것은 순환식 과제 지향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하지 기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좀 더 많은 환자에게 다양한 과제를 적용하여 일반화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급성기 뇌경색 발생 환자의 1년 후 삶의 질 관련요인 (A Study on Factors in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Infarction One Year after Diagnosis)

  • 신승옥;류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74-282
    • /
    • 2014
  • 본 연구는 급성기 뇌경색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치료관련 특성 및 뇌졸중 평가척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 대학병원에서 7일 이내 발생한 뇌경색으로 진단받고 퇴원한 환자이며 1년 후까지 생존한 576명을 대상으로 전화인터뷰를 통한 삶의 질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평균연령은 $65.8{\pm}12.4$세로 남성이 62.0%이었으며, 삶의 질 평균은 $0.77{\pm}0.29$점이었다. 뇌졸중 환자의 성별, 연령, 고혈압, 심방세동, 뇌졸중 과거력, 흡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위해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여성이 남성에 비해 삶의 질이 낮았고, 뇌졸중 과거력이 있거나 연령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다. 뇌졸중 평가 척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뇌졸중으로 입원중과 퇴원이후에는 환자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의 중재가 이루어져야 하며 재발방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복합 운동 훈련이 인간 골격근의 형태학적 변화와 유산소 대사관련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endurance and weight training on muscle morphology and 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human skeletal muscle)

  • 이길우;이종삼;이장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67-376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남자 14명을 대상자로 단기간의 지구성 훈련과 지구성 운동에 웨이트 운동을 병행한 복합훈련이 골격근 섬유의 형태 및 골격근 내 산화적 효소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지구성 트레이닝 집단은 최대심박수의 70~80% 에서 40분간 자유형으로 수영을 6주간 실시하였으며 복합 트레이닝 집단은 동일한 수영을 실시한 후 웨이트 트레이닝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근섬유 횡단면적에 있어 복합훈련 집단과 지구성 훈련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훈련기간에 따라 복합훈련 집단에서 지구성 훈련 집단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세혈관 수에 있어서도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훈련기간에 따라 복합훈련 집단에서 지구성 훈련 집단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산소성 대사 효소 중 CS, ${\beta}$-HAD 그리고 CPT의 활성도는 훈련형태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복합훈련 집단에서 지구성 훈련 집단에서 보다 더 큰 증가의 폭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산소성 훈련만을 실시할 때 보다 유 무산소 운동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훈련의 수행이 근섬유의 에너지 대사 관련 효소들의 활성도 증가와 근 세포 모세혈관의 발달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간호학과 학생들의 손씻기 교육 후 태도 유형에 관한 주관성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ity about Nursing Student's Attitude after Hand Washing Education)

  • 김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621-630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손씻기와 관련된 교재, PPT 자료 그리고 실습을 통해 교육한 후 대상자들의 손씻기에 대한 태도유형을 파악하여 간호교육 및 간호실습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방법은 Q방법론을 적용하였고, 2012년 10월 8일부터 10월 15일까지 간호학과 2학년 20명을 P표본으로 하여, 대상자들에게 Q표본을 9점 Q표본 분포도상에 강제분포하도록 하고 수집된 자료는 PC QUANL program에 의한 주인자 분석법으로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손씻기 태도에 대한 유형은 3가지로 분류되었다. 3가지 유형은 아이겐값 1.0이상인 것으로 하였고, 유형별 변량은 40.41%, 10.14%, 그리고 6.11%로 전체 누적변량은 56.6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제 1유형은 손씻기 횟수 증가형, 제 2유형은 손씻기 교육 필요성 인식형, 제 3유형은 손씻기 후 건조형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손씻기 교육 후 태도에 대한 유형분류 의미는 간호교육과 간호실습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개별화된 중재 전략도 다르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