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specific hybrids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6초

원형질 체융합에 의한 느타리버섯과 사철느타리버섯 체세포 잡종의 유전 분석 (Genetic Analysis of the Life Cycle in Interspecific Hybrids of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florida Following Protoplast Fusion)

  • 유영복;유창현;박용환;죤 페버디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15
    • /
    • 1986
  • 느타리버섯과 사철느타리버섯의 영양요구성 균주를 원형질체융합에 의하여 이종간융합균주를 선발하였다. 이 체세포잡종을 재배하여 자실체에서 담자포자를 분리하여 life cycle에 대한 유전분석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Arg{\times}Ribo-1,\;Arg{\times}Ribo-2,\;Gly\;Ser{\times}Ribo-1$ 그리고 $Gly\;Ser{\times}Ribo-2$ 4개의 융합조합에서 7개의 융합균주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전형질이 분리되었으며 또한 유전자 조환이 일어났다. $Arg{\times}Ribo-1$$Arg{\times}Ribo-2$에서는 4종류로 분리되었으며 $Gly\;Ser{\times}Ribo-1$, $Gly\;Ser{\times}Ribo-2$와 같이 대립유전자가 3인자 일때는 8종류로 기대되나 단지 2내지 6종류로만 분리 되었다. 2. 대림유전자의 비에 었어서 $Arg{\times}Ribo-1$$Arg{\times}Ribo-2$에서 1:1로 기대되나 Ribo의 분리수가 많은 3:1 으로 분리되었으며, $Gly\;Ser{\times}Ribo-1$$Gly\;Ser{\times}Ribo-2$에서는 1:1:1과는 아주 상이한 분리비를 나타내었다. 3. 4개의 융합조합 모두 연관에 속하지 않았으며 조환가는 $38.7{\sim}67.6%$였다. 4. 분리되는 prototrophic recombinants의 균사체에서 clamp connection이 형성되었는데 4개의 융합조합에서 모두 나타났으며 융합균주에 따라 차이가 났는데 $Arg{\times}Ribo-1$의 p5균주는 곁정된 수의 78.5%가 clamp connection을 형성하였다. 또한 이들 균주의 자실체는 정상이었으며 자실체의 색은 느타리버섯과 사철느타리버섯의 중간이었다.

  • PDF

Lilium Asiatic hybrid 'Tiny Ghost'를 모본으로 한 종간잡종 생산 (Production of Interspecific Hybrids Using Lilium Asiatic Hybrid 'Tiny Ghost' as Female Parent)

  • 서동희;황윤정;박인숙;박송경;정재동;임기병
    • 화훼연구
    • /
    • 제16권2호
    • /
    • pp.118-123
    • /
    • 2008
  • 진한 붉은색을 띤 'Tiny Ghost'를 교배모본으로 Oriental group, Longiflorum group 및 Martagon group을 부본으로 하여 효율적인 종간잡종 생산과 상품성 있는 신품종을 획득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개화당일 채취한 화분의 발아율은 Oriental hybrid인 'Sorbonne'이 64%로 가장 높았다. 주두수분법과 화주 절단수분법을 이용하여 수분한 결과, 'Aktiva'를 부본으로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주두수분법을 사용한 교배에서 자방이 생성되었다. 또한 Longiflorum group인 'Norina'와 'Gelria' 중 화분발아율이 높은 'Norina' 가 모두 수정에 실패하여 같은 group 내에서도 종간의 유전적 친화성에 따라 수정률이 달랐다. 'Aktiva'를 부본으로 한 교배에서 1개의 embryo sac을 적출하여 1개의 구를 생성하였으며, 'Sorbonne'을 부본으로 한 교배에서는 4개의 ovule을 치상하여 1개의 구를 얻었다. 'Gelria'를 부본으로 한 교배에서는 1개의 자방에서 embryo 5개, embryo sac 15개, ovule 7개를 얻었으며 그 중 18개체가 발아하여 66.7%의 발아율을 나타내었다. Martagon group인 L. hansonii를 부본으로 한 교배에서는 5개의 ovule을 얻어 그 중 40%가 발아하였다.

Interspecific hybridization in seahorses: artificially produced hybrid offspring of Hippocampus kuda and Hippocampus reidi

  • Han, Sang-Yun;Rho, Sum;Noh, Gyeong Eon;Kim, Jin-K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5호
    • /
    • pp.11.1-11.8
    • /
    • 2018
  • Interspecific hybridiz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between the common seahorse Hippocampus kuda (male) and the slender seahorse H. reidi (female) during artificial rearing to develop a new aquarium fish with unique polyandrous mating. Molecular analysis via mitochondrial DNA (mtDNA) cytochrome b and nuclear DNA (ncDNA) ribosomal protein S7 gene supported the hybridization between the two species, and the hybrid also show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oth species. Juveniles of H. kuda have dense melanophores on the whole body or only on the trunk and tail, whereas juveniles of H. reidi have thin melanophores on the whole body or present in stripes only along their prominent trunk and tail rings. However, all the hybrid juveniles had dense melanophores only on the tail, with the striped trunk rings, thus showing an intermediate pattern, and these patterns were limited to the fairly early stage of development (1-10 days old). In contrast, the two eye spines in the hybrid were apparent after 9 days old, which were not inherited from H. kuda (one eye spine), but from H. reidi (two eye spines). According to LOESS (local regression) analysis, the growth rate increased between 20 and 25 days, and the hybrids grew faster than H. kuda when they entered the explosive second phase of growth between 25 and 45 days for all the seahorses. This study highlights the hybridization between H. kuda and H. reidi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d taxonomic information of young seahorses.

흰나리(Lilium formosanum Wallace) 식별을 위한 CAPS 마커의 개발 (Development of CAPS marker for identifying a Formosan lily (Lilium formosanum))

  • 정성진;이가연;윤아라;장지영;김진국;이긍주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2호
    • /
    • pp.101-106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lily species native to Korea from formosan lily (Lilium formosanum) belonging to Longiflorum section. Due to flowering time, flower color and orientation, long shelf life and resistant to diseases, the native lily species can be valuable genetic resources for interspecific hybrids. One of the chloroplast genes, matK, was used to clone and sequence to explore any base changes. The matK was successfully amplified into 1,539 bp (94% of the gene) and phylogenetic tree demonstrated 6 clades for those 11 lily species used in this study. There were one or two base substitutions among 10 lilies native to Korea, while formosan lily native to Taiwan exhibited 6 base substitutions in matK gene, rendering it genetically distant. A restriction enzyme NruI recognized one of the six base changes, and digested the matK gene of 10 native lily species only, but not in formosan lily. The confirmed cleavage characteristic of the target region in matK gene was designed into a CAPS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s) marker which will be available to estimate compatibility of interspecific hybridization and to trace the pedigree when those native lilies are crossed with the formosan lily.

기내 수분과 배양에 의한 화본과 사료작물 종속간 수정과 배의 발육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in Pollination and Culture for Interspecific and Intergeneric Crossing of Forage Crops)

  • 이호진;한지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55-461
    • /
    • 1987
  • Festuca속의 토올페스큐와 메도우페스큐, 그리고 Lolium속의 이탈리안라이그라스들 간에 종속간 잡종을 얻기 위하여 기내수분과 기내배양을 실시하였다. 이들 작물들의 자방과 화분을 채취하여 소독을 하고 주두수분, 주두제거 수분, 배주수분의 3가지 방법으로 기내수분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배발육상태를 MS, N6 , White's의 배지종류와 IAA Kinetln, BA의 생장조절물질의 처리로서 비교하였다. 1. 토올페스큐, 메도우페스큐,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상호 조합간 기내수분에서 44~92%의 수정율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주두수분은 평균 67.8% 주두제거 수분은 평균 89%의 수정율을 보였으나 배주수분은 평균 61 %로 낮았다. 2. 화본과 수정배주에서 배발육을 촉진하는데는 White's 배지가 가장 효율적이었고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처리는 IAA(10mg/$\ell$)와 Kinetin(0.2 mg/$\ell$)의 혼합처리가 무처리보다 효과적이었으나 발아율은 극히 저조하였다 3. 기내배양으로 성숙 배주의 배부조직에서 유관책의 형성과 시원체조직의 분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배주 내부에 후막세포들의 형성이 관찰되었다.

  • PDF

핵전이에 의한 Aspergillus oryzae var. oryzae와 Penicillium chrysogenum의 잡종형성 및 Alkaline Protease생성 (The Hybrid Formation between Aspergillus oryzae var. oryzae and Penicillium chrysogenum by Nuclear Transfer and the Production of Alkaline Protease.)

  • 양영기;강희경;임채영;문명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0-296
    • /
    • 1998
  • Alkaline protease 생산력이 우수한 야생형인 A. oryzae val. oryzae의 핵을 순수 분리하여 영양요구성 변이주인 P. chrysogenum(T$yr^{-}$)의 원형질체에 전달하는 핵전이를 이용하여 종간잡종을 형성시킨 후 이들 형질전환체으로 부터 alkaline protease 고생산 균주를 획득하였다. 핵전이를 위한 원형질체 형성 및 재생 조건에서는 Novozym 234의 농도 1%, 삼투안정제는 0.6 M KCl, 효 소의 처리 시간은 180분 그리고 최적 pH는 5.8로 나타났다. 핵전이에 의한 형질전환의 빈도는 1.3~3.8$\times$$10^{-4}$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며, 유전적 안정성, conidia의 크기, DNA함량의 측정 그리고 핵염색의 결과 형질전환체의 핵형은 aneuploid로 추정되었다. 형질전환체의 alkaline protease 활성은 모균주와 비교하여 1.1~2.2배 증가하였다.다.

  • PDF

GM 콩의 도입유전자 이동에 미치는 화분 매개충의 영향 (Influence of insect pollinators on gene transfer from GM to non-GM soybeans)

  • 이범규;김준형;손수인;권순종;박기웅;정영수;이시명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3호
    • /
    • pp.159-165
    • /
    • 2015
  • The cultivation area and use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have been increased continuously over the world and concerns about the potential risks of GM crops are also increasing. One of the major concern in risk assessment is the possible development of hybrids through interspecific and intergeneric crosses with related spec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llinator have an influence on insect-mediated gene transfer from GM soybeans. Hybrid was induced from GM soybeans by honeybee and western flower thrips, and non-GM soybeans were used as pollen receptor. The analysis for gene-flow was conducted by herbicide selection, immunostrip test, and PCR analysis.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hybrids were detected on the distance 15, 75, 105 cm from pollen source in western flower thrips treatment. In honeybee treatment, one hybrid was detected in the farthest distance (300 cm). These results suggested honeybee and western flower thrips have a possibility they can transfer the introduced gene from GM soybeans to non-GM soybeans.

Drosophila simulans와 D. mauritiana 사이 종간잡종의 성즐과 생식궁 형성에 미치는 X 염색체의 효과 (Effects of the X Chromosome on the Formation of Sex Comb and Genital Aech in the Hybrids between Drosophila simulans and D. Mauritiana)

  • 최영현;유미애;이원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16-220
    • /
    • 1996
  • Drosophila simulans와 D. mauritiana는 동일 subgroup에 속하는 동포종으로, 전자는 전세계 분포종이며, 후자는 Mauritius 섬에만 서식하는 지역종이다. D. simulans의 성즐(sex comb)은 약 9.83개의 치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D, mauritiana의 성즐 치열수는 약 12.90개 정도이다. D. simulans의 생식궁(genital arch)은 큰 반월형이며, D. mauritiana는 가는 막대형이다. 두 종간 성즐의 치열수와 생식궁의 형태적 차이에 미치는 X 염색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유전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X 염색체상 돌연변이 유전자들을 가지는 D. simulans 계통과 정상의 D. mauritiana 사이의 잡종 {TEX}$F_{1}${/TEX}을 부모계통과 역교배를 실시하여 얻은 자손들을 대상으로 상기 두가지 형질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F1의 성즐 치열수는 평균 11.79개 정도였으며, 외부생식기의 일반적인 형태는 D. simulans와 D. mauritiana의 중간형이었다. 성즐의 치열수와 외부생식기의 주요 특징분석에서 X 염색체 효과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Nicotiana tabacum과 N. glutinosa간 원형질체융합 식물체에 있어서 엽록체 DNA의 제한효소단편의 유형 (Endonuclease Restriction Patterns of Chloroplast DNA in Somatic Hybrids Obtained by Protoplast Fusion of Nicotiana tabacum and N. glutinosa)

  • 김준철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1호
    • /
    • pp.37-43
    • /
    • 1991
  • Nicotiana ($NR^{-}/SR^{+}$)과 N. glutinosa간 전기적 (0.5 MHz의 AC와 2 ms 동안 1 kV DC) 원형질체 융합에서 선발은 1.2mg/ml의 streptomycin이 첨가된 $MSNO_3$ 배지를 통하여 가능하였으며, 이 융합세포의 분열이 지속되어 형성된 녹색 세포괴를 얻었다. 이 녹색 세포괴에서 재분화된 4개의 식물 계통들은 꽃과 잎에서 모식물체의 특징을 보였으며, 엽조직의 peroxidase 동위효소 유형 분석에서도 양쪽 모식물체의 특성을 갖고 있었다. XhoI의 제한효소 절단에 의해 융합식물체 계통의 엽록체 DNA의 분석에서도 융합체 식물계통들은 N. tabacum과 N. glutinosa에서 공통되는 단편과 모식물체 유래 단편을 보였고, 이 융합식물계통들 중 한 계통은 9개의 공통 단편에 N. tabacum의 1개 단편, N. glutinosa의 2개 단편이 추가되어 있는 유형을 보여 N. tabacum과 N. glutinosa의 엽록체 게놈을 모두 소유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Cultiv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icorice F1 (Glycyrrhiza glabra × G. uralensis) Lines

  • Lee, Sang-Hoon;Kim, Yeon Bok;Lee, Jeong-Min;Lee, Jeong-Hoon;Park, Chung-Berm;Bang, Jae-Wook;Choi, Hae-Woon;Hur, Yoonkang;Park, Chun-Geo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2호
    • /
    • pp.276-286
    • /
    • 2017
  • Licorice, a traditional Korean medicinal plant, is recognized for its main active ingredient, glycyrrhizin. The level of glycyrrhizin in Chinese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is lower than the reference level (2.5%) set by the Korean Pharmacopoeia, reducing its value as a medicinal herb. In this study, we aimed to overcome this problem by generating an interspecific licorice hybrid by crossing European licorice (G. glabra) with Chinese licorice, resulting in the production of 32 $F_1$ lines. A comparison of genetic traits revealed variations in glycyrrhizin content among lines, ranging from 1.5 to 5.6%, with a mean value of 3.2%; these values are higher than that of the parental plants. Additionally, 25 lines (78.1%) had a glycyrrhizin content greater than 2.5%, which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set by the Korean Pharmacopoeia. Four of these lines had glycyrrhizin levels higher than the WHO recommended level of 4.0%. A comparison of phenotyp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leaves of the hybrids possessed all of the characteristics of European and Chinese licorice; however, the stems of most hybrids had characteristics of European licorice. Finally, we determined the genetic distances of 34 samples of Glycyrrhiza plants (parents, 32 $F_1$ lines)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the $F_1$ lines showed a close genetic distance. We plan to develop to a cultivar using five of these lines (glycyrrhizin content <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