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related well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상관우물들이 분포하는 화산섬 집수역에 대한 지하수 양수능의 평가 I. 수질(水質)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The Evaluation of Groundwater Pumping Capacity at a Catchment Area with Interrelated Wells in Volcanic Island: I. Without Consideration of Water Quality)

  • 이선훈;마치다 이사오;이모토 유카리
    • 환경영향평가
    • /
    • 제12권3호
    • /
    • pp.189-198
    • /
    • 2003
  • 본 연구는 수지해석(數値解析)을 이용하여 상관우물들의 분포를 갖는 집수역에서 수질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의 지하수양수능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지역은 일본(日本)의 미야께지마(삼탁도)이며, 미야께지마는 최근에 이르기까지 화산분화(火山噴火)가 계속되고 있는 화산섬으로 수문지질학적(水文地質學的)으로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갖고 있다. 각각의 우물들에 대한 양수능은 개별(個別)양수에 의해서 구해진 IMY(i,t)로써 추정되었으며, 전(全) 연구지역의 양수능은 개별(個別)양수에 의해서 구해진SSMY(i,t)로써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미야께지마와 같은 화산섬에서 용수(用水)공급을 위한 계획의 수립에 있어서 확실한 공급원의 확보에 이용될 수 있다. 동시양수의 경우, 우물 5와 6에서의 양수는 타이로이께(대로지(大路池))부근에 존재하던 지하수가 연구지역의 내부에 까지 침투하는 것에 대한 장해(障害)우물로써 작용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질적(質的), 양적(量的) 측면에서 용수공급을 위한 지하수의 최적(最適)관리방법으로써 동시양수를 제안한다.

상관우물들이 분포하는 화산섬 집수역에 대한 지하수 양수능의 평가 II. 수질(水質)을 고려한 경우 (The Evaluation of Groundwater Pumping Capacity at a Catchment Area with Interrelated Wells in Volcanic Island: II. With Consideration of Water Quality)

  • 이선훈;마치다 이사오;이모토 유카리
    • 환경영향평가
    • /
    • 제12권3호
    • /
    • pp.199-209
    • /
    • 2003
  • 비오염양분(非汚染郞分)에로의 오염물질(汚染物質)의 확산(擴散)을 방지(防止)하기위한 격수방법(格水方法)이 하나의 연립방정식(連立方程式)으로 구해졌다. 입식(立式)에 있어서 기본개념(基本槪念)은 오염부분과 비오염부분의 사이에 주변보다 높은 수위를 가지는 고수위(高水位)부분을 형성하는 것이며, 이 부분의 형성은 항해(降害)우물의 유효이용으로 이루어졌다. 양수된 지하수의 수질(水質)은 우물 5와 6의 수위(水位)에 따라서 결정되었다 우물 5와 6의 수위변화에 따른 양수속도(楊水速度)와 수질의 결정은 용수(用水)의 수요(需要) 및 함유된 오염물질의 제거(除去)능력과 그에 따른 실용(實用)을 고려함에 의해서 주어질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지(旣知)의 오염원(汚染源)으로부터의 오염물질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 뿐만아니라. 용수공급을 위한 계획의 수립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을 이용한 무심천 유역의 수문과정 해석 (Analysis of Hydrological Processes for Musim River Basin by Using Integrated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Model)

  • 김남원;정일문;이정우;원유승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5호
    • /
    • pp.419-430
    • /
    • 2007
  • 지표수와 지하수의 통합모델링은 지속가능한 수자원과 수질개선에 대한 점증하는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준분포형 유역유출모형인 SWAT과 완전분포형 지하수 모형인 MODFLOW의 통합모형을 무심천 유역에 작용하여 유역단위의 수문과정을 재생하였다. 모의결과 2001-2004년의 관측수문곡선과 모의유량수문곡선간의 적합이 잘 나타나는 한편 계산된 지하수위 분포와 관측지하수위와의 보정결과도 양호하게 나타났다. 통합모형은 서로 다른 기간의 강수평균이 하천유출, 침루, 함양, 지하수 유출의 동적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도 활용되었다. 나아가, 윌별강수와 각 수문성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함양량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분석하기 위한 종합적인 모의를 수행한 결과, 수문성분 상호간에 높은 상관성을 보이며 소유역경사, 토지이용, 토양종류 같은 유역특성의 비균질성이 함양량의 공간변화에 주요 원인인 것으로 확인됐다. 통합모형은 시공간적으로 변모하는 유역단위의 지표수와 지표하 수문과정을 전반적으로 잘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