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mittently aerated bioreacto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간헐포기공정과 막결합 간헐포기공정의 오염물질 제거특성 비교 (Comparison of Pollutants Removal between the Intermittently Aerated Bioreactor(IABR) and Intermittently Aerated Membrane Bioreactor(IAMBR))

  • 최창규;이광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B호
    • /
    • pp.119-12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헐포기공정(IABR)과 막결합 간헐포기공정(IAMBR)의 오염물질 제거능력과 영양염류 제거 mechanism을 비교 검토하여 막침적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질산화율 및 탈질율을 산정하였으며, 질소물질수지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서 IAMBR과 IABR의 경우 유기물 제거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영양염류 제거능력은 IAMBR이 IABR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무산소 상태에서 반응조 내의 질산성 질소 농도가 IAMBR이 낮게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높은 탈질화 반응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되며, 질소물질수지의 결과에서도 IAMBR에서 탈질된 질소성분이 40.9%로 IABR의 10.7%보다 4배 이상 높은 탈질능력을 보였다. 따라서, 높은 MLSS 농도의 유지와 간헐적 유입 유출 방식의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는 막이 월등한 질소제거능력의 차를 보임으로써 간헐포기공정에 대한 막결합의 타당성이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간헐포기MBR공정에서의 하수처리성능과 미생물의 군집구조해석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Domestic Wastewater in the Intermittently Aerated Membrane Bioreactor)

  • 임병란;안규홍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79-685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or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treatment performance of domestic wastewater in lab-scale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operated with anoxic-oxic cycles. Respiratory quinone profiles were applied as tools for identifying different bacterial populations. The cycle time program of bioreactor was control under anoxic/oxic of 60/90 minutes with an hydraulic retention time of 8.4 hrs. The average $COD_{Cr}$ removal efficiency of domestic wastewater was as high as 93%. The results showed complete nitrification of $NH_4^+$-N generated during oxic period and up to 50% of the total nitrogen could be denitrified. The dominant quinone types of suspended microorganisms in bioreactor were ubiquinone (UQ)-8, -10, followed by menaquinone (MK)-6, and MK-7 for anoxic period, but those for oxic period were UQ-8, MK-6, followed by UQ-10 and MK-7. The microbial diversities of bioreactor at anoxic and oxic periods, calculated based on the composition of all quinones were 10.4 and 12.2-11.8,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treating domestic wastewater was slightly affected by intermittent aeration.

간헐포기식 부직포 여과막 생물반응조에서 체류시간 및 주기시간이 하수처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draulic Retention Time and Cycle Time on the Sewage Treatment of Intermittently Aerated Nonwoven Fabric Filter Bioreactor)

  • 김택수;배민수;조광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7-2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간헐적으로 포기되는 부직포 여과막 생물반응조에 하수를 연속적으로 주입하면서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12, 10 및 8시간으로 감소시키면서 17개월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각 HRT에서 질소 제거효율이 가장 좋은 포기/비포기 시간비를 찾기 위하여 포기/비포기 시간비 1에서 주기시간을 3, 2, 및 1시간으로 변화시키며 질소 제거효율을 비교한 후, 질소 제거효율이 가장 좋았던 2시간의 주기시간에서 포기/비포기 시간비를 다시 50분/70분, 40분/80분 그리고 30분/90분으로 변화시키면서 질소 제거효율을 비교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처리수의 SS농도는 항상 1.2 mg/L 미만으로 유지되었으며, BOD 제거효율은 95% 이상을 나타내었다. 모든 HRT에서 최대 질소 제거효율을 나타낸 포기/비포기 시간비는 40분/80분이었으며, HRT 10시간에서 질소 제거효율이 90.1%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ORP가 반응조 내의 질산화 및 탈질 정도를 잘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하수의 고도처리를 위한 저비용 저에너지의 대체 막을 조합한 생물반응기의 개발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using Bioreactor Combined with Alternative Membrane)

  • 김동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30
    • /
    • 2005
  • In order to decrease the high costs of membrane process, we have tried to develop two alternatives to membrane; a cartridge type filter and a metal membrane were tested for the high permeation flux with low cost and low energy. This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ree points; 1) operation with high permeation flux by using of a cartridge type filter and a metal membrane, 2) removals of the filterable organic materials (FOC) by pretreatments for the membrane fouling control, and 3)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by SMBR process with intermittent aeration and high MLSS. An Intermittently aerated membrane bioreactor using a submerged micro filter (cartridge type) was applied in laboratory scale for the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To minimize membrane fouling, intermittent aeration was applied inside of the filter with $3.0kg_f/cm^2$. The experiments was conducted for 6 months with three different HRTs (8, 10, 12 hr) and high MLSS of 6,000 and 10,000mg/L. The filtration process could be operated up to 50 days with permeation flux of 500LMH. Regardless of the operating conditions, more than 95% of COD, BOD and SS were removed. Fast and complete nitrification was accomplished, and denitrification was appeared to be the rate-limiting step. More than 75% T-N could be removed due to the endogenous denitrification. T-P removal efficiency was increased to 80% under the condition of MLSS 10,000mg/L.

교대로 간헐 포기되는 부직포 여과막 생물반응조에서 C/N비가 유기물 및 질소 제거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N Ratio on Removal of Organic Matter and Nitrogen in Alternately Intermittently Aerated Nonwoven Fabric Filter Bioreactor)

  • 안윤찬;배민수;이종호;조윤경;조광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99-50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2기의 부직포 여과막 생물반응조를 60분/60분의 포기/비포기 시간비에서 교대로 포기시키고 폐수를 주입시키면서 C/N비(COD/TKN)를 10에서 2까지 점감시켜 유입수의 C/N비가 유기물 및 질소 제거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폐수는 I시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침출수를 COD가 약 2,500 mg/L 정도 되도록 20배 희석시킨 것으로, C/N비는 염화암모늄($NH_4Cl$)을 첨가하여 조정하였다. 실험결과, $10{\sim}3$의 C/N비에서는 유출수의 COD 및 BOD 농도가 각각 $40{\sim}54\;mg/L$$1{\sim}4\;mg/L$로 나타났으며, 처리수의 SS농도는 항상 2.0 mg/L 미만으로 유지되었다. $10{\sim}5$의 C/N비에서는 96%의 총질소 제거효율를 보였으나 3 및 2.8의 C/N비에서는 총질소 제거효율이 각각 83% 및 81%로 낮아졌다. 2 및 2.6의 C/N비에서는 암모니아 독성에 의하여 처리수의 수질이 악화되었다. C/N비가 5에서 2.6으로 낮아질수록 질산화 미생물 분율이 10%에서 20%로 증가하였다. 알칼리도 소비량은 $10{\sim}5$의 C/N비에서는 $3.12{\sim}3.49\;g$ alkalinity/g T-N removed로 이론적인 값 3.57 g alkalinity/g T-N removed보다 낮았으나, 3 및 2.8의 C/N비에서는 4.63 및 4.87 g alkalinity/g T-N removed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