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maxillary spac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유성견 급속정중이개시 정중구개봉합부위의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 (A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CHANCES IN INTERMAXILLARY SUTURE DURING THE RAPID MAXILLARY EXPANSION OF YOUNG ADULT DOGS)

  • 이두희;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3-162
    • /
    • 1996
  • 정중구개봉합의 급속확장은 상악골의 악궁의 폭을 증가시키고, 전방이동을 용이하게하므로 전후방적인 악골의 부조화나 상악치열궁 협착 등을 치료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정중구개봉합의 급속이개시 봉합부위에서 나타나는 골개조 과정 및 교원섬유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시행되었다. 생후 6-8개월된 유성견 4마리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여 인상을 채득한 후 주조된 급속정중이개장치에 Hyrax screw를 납착하여 장착시키고 1회에 $90^{\circ}$씩, 1일 2회전시켜 10일간 지속하였다. X-ray상에서 봉합의 이개를 확인한 후 이개직후, 15일, 30일 그리고 60일간의 보정기간을 거쳐 희생시키고 정중구개봉합부를 절취하여 봉합부위의 변화를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중구개봉합 확장 직후 양 봉합골단의 일부에서는 신생골 형성이 관찰되었으며, 양 골단 사이의 교원 섬유속이 중앙에서 늘어나 골간거리가 확장되었다. 2. 정중구개봉합 확장 15일 후, 봉합면에서는 많은 파골세포를 가진 골흡수면이 증가되었고 양 골단 사이에 서는 교원섬유속의 주행방향이 불규칙하고, 조섬유세포 수가 줄어든 반면 많은 염증세포가 침윤되어 있었다. 3. 정중구개봉합 확장 30일 후 양 봉합골단에서 많은 조골세포를 가진 신생골이 성장하여 해면골이 형성되었으며, 양골단 사이에서는 교원섬유속이 풍부해지고 조섬유세포 수가 증가되었다. 4. 정중구개봉합 확장 60일 후, 양봉합골단은 해면골이 치밀골로 대치되어 골간거리가 좁아졌지만 계속적인 골개조현상이 관찰되었고, 교원섬유속이 재생된 봉합면에 매입되었으며, 연결 중앙부에서는 서로 교차되고 있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급속정중이개시 정중구개봉합 부위의 유주성 세포의 침윤상태가 유도되는 염증반응이 일어난 후 골개조현상이 일어났으며, 골개조 현상은 급속확장 2 개월 후에도 계속 진행되고 있었다.

  • PDF

악안면 두개골격의 수직${\cdot}$수평적 부조화에 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VERTICAL AND ANTEROPOSTERIOR DYSPLASIA OF THE CRANIOFACIAL SKELETON)

  • 배근욱;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5-188
    • /
    • 1988
  •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scribe the vortical and anteroposterior facial dysplasia, and to identify morphologic differences associated with various facial patterns. Anteroposterior dysplasia was classified by traditional Angle's malocclusion classification and according to vertic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SN-MP angle, facial pattern was subclassified to 3 vertical groups in each malocclusion group. Each vertical group composed of 20 samples and total 180 samples aged from 9 to 14 yea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keletal differences that lead to disportionate lower facial height in vortical and anteroposterior facial dysplasia were closely related to mandibular morphology. 2. Hyperdivergent group, compared with hypodivergent group, demonstrated decrease of SNA and SNB and linguoversion of maxillary and mandibular central incisors in all malocclusion groups. 3. Irrespective of rotation of the jaws, Wits appraisal was a useful measurement in evaluation of relative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maxilla and mandible. 4. As SN-MP angle increased, anterior facial height, especially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 and intermaxillary space also tended to increase. 5.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N-MP angle and PTFH/ATFH demonstrated the highest value in all malocclusion groups.

  • PDF

심한 마모를 가진 환자에서 전자 서베잉을 이용한 금관 및 국소의치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severely worn dentition using Monolithic surveyed restoration and electronic surveying in RPD metal framework fabrication: A case report)

  • 최영하;김형섭;권긍록;배아란;노관태;백장현;홍성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43-249
    • /
    • 2018
  • 과도한 치아 마모를 가진 환자들을 치료를 시작할 때 수직교합고경의 상실과 수복을 위한 공간의 적절성으로 분류하게 된다. 본 증례의 환자는 80세의 여성으로 구치부 교합지지가 상실되어 대합치가 정출하면서 교합평면의 붕괴가 일어나고 잔존 치아의 마모 증가가 동반되어 보철을 위한 약간의 악간 공간의 상실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우 최소한의 수직교합고경의 증가를 부여하고 안정화기간을 거쳐 안정된 교합접촉을 제공한다면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수직고경의 증가를 동반하여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과 상악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을 하였고 이러한 치료과정을 통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개방교합자의 설근과 구륜근 활성도에 관한 연구 (AN ELECTROMYOGRAGHIC STUDY OF MUSCULAR ACTIVITIES OF TONGUE AND LIP MUSCLES IN ANTERIOR OPEN-BITE)

  • 최연석;이기수;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3-246
    • /
    • 199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muscular activities of the tongue and lip muscles between anterior open-bite and normal occlusion during various function. Thirty eight subjects of 12.1-39.6 year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 Eighteen subjects were anterior open-bites and tweenty subjects were normal occlusions. During rest position, maximum effort of lip sealing, command swallow of saliva and sucking & swallowing of juice, the electromyographic datas of the genioglossus, superior longitudinal muscle of tongue, upper and lower orbicularis oris were recorded and integrated with Medelec MS 25 electromyographic machin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on all subjects for the analysis of tongue posture and size. All data were recor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 1. During the rest position, muscular activity of tongue was higher than that of lip muscle in open-bite, but no difference in normal occlusion group. 2. During the swallowing of juice, the activity of orbicularis oris was higher than that of genioglossus in open-bite. But the normal occusion was showed higher activity of tongue during the swallowing of juice. 3. The open-bite, compared to the normal occlusion, had higher value of tongue muscle activity during the rest position. 4. Compared to normal occlusion group, the open-bite had higher value of lip muscle activity during the sucking and swallowing of juice. 5. During the command swallow of saliva, the normal occlusion was showed harmonious swallowing pattern, but the open-bite showed much variation and disharmony in muscular contraction sequence, tended to absent of lip muscle activity. 6. At the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compared to the normal occlusion, the open-bite was showed lower tongue posture. But no difference was found in intermaxillary space. It is suggested that the open-bite, compared to the normal occlusion, had higher muscular activity of tongue during the rest position and various functions, showed lower tongue posture on the lateral cephalogram. In the development of anterior open-bite malocclusion, these factors may be an etiologic factor.

  • PDF

3급 부정교합 환자의 교합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보철 수복 (Prosthetic rehabilitation in a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 with increas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 최하은;송한솔 ;고경호 ;허윤혁 ;박찬진 ;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3호
    • /
    • pp.133-145
    • /
    • 2023
  • 하악전돌 양상을 보이는 3급 부정교합은 골격성 3급과 치아변위에 의한 가성 3급으로 나눌 수 있다. 골격성 부정교합은 수복공간 확보 및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기 위해 적절한 수직 및 수평 악간관계를 설정하면 양호한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하악 전돌과 전치부 마모 및 교합수직고경의 감소를 보이는 환자에서 임플란트와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하여 완전구강회복을 시행하였다. 모형 분석과 디지털 진단을 시행 후 수직고경을 거상한 임시수복물을 제작하여 구치부 지지를 확보하고 안정적인 중심교합을 평가하였고, 이를 반영한 최종보철물로 양호한 기능과 심미를 회복할 수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