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llectual competencie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3초

아동의 생활능력에 대한 부모의 지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al Perception of Children's Competencies)

  • 이지민;나종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37-945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orrelations of children's competencies perceived by fathers and mothers,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children's competencies in relations to characters of the children and that of the parents. The subjects were 225 pairs of father-mother of 7 and of 12 year old children in Daej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Children's competencies perceived by fathers and moth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2) The gender of child affected much on father-perceived esthetic and musical competencies, and on mother-perceived responsible, intellectual, esthetic, and musical competencies. Child's age also had a great effect on father- and mother-perceived esthetic competencies of child.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competencies in relations to characters of parents except in father-perceived responsible competence by fathers' age and in intellectual competencies by income, and in mother-perceived social competences by mothers' job.

  • PDF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재학생의 지식재산과 창업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 분석 : KAIST 학부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sis of KAIST Students' Perceptions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Start-ups and Educational Needs)

  • 김영민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20-2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AIST students' perceptions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start-ups and educational needs. In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and 5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and 20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Students had similar perceptions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start-up education. KAIST students had very little experience in intellectual property and start-up-related education in middle,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In particular, most students high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tellectual property and start-up education, but recognized that the importance was low in their career path. Therefore, students were also less willing to participate in intellectual property and start-up-related education in the future. Students demanded the highest education on 'patent management' in intellectual property-related competencies, and the highest demand for 'start-up idea derivation ability' in start-up-related competencies.

공공도서관 지적자본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Model of Intellectual Capital of the Public Library)

  • 장우권;박성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71-397
    • /
    • 2012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지적자본과 평가지표를 통한 도서관의 지적자본 평가모형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은 지식정보서비스 기반 지적자본과 사회자본의 창출자이다. 연구에서는 정보생태환경에 기반을 둔 도서관의 핵심역량과 지표, 지적자본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평가모형을 도서관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도서관의 내외적 환경에 대한 가치와 역량을 정량과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다.

프로젝트 리더의 핵심역량과 프로젝트 성공요인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oject Leader' Core Competencies and Project Success Factors)

  • 이설빈;노두환;정운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2호
    • /
    • pp.197-205
    • /
    • 2016
  • 본 연구는 프로젝트 리더의 핵심역량이 조직의 환경변수에 따라 프로젝트 성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그 상호 인과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리더의 핵심역량의 하위요인들인 지적능력, 관리능력, 감성능력은 프로젝트 성공요인의 하위요인들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집단 응집력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절변수인 프로젝트조직다양성 중 하위요인인 기능적 조직과 프로젝트 조직은 프로젝트 리더의 핵심역량의 하위요인들에 대한 영향에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인중심조직은 아무런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지는 않았다. 프로젝트 조직은 지적능력${\rightarrow}$조직몰입, 관리능력${\rightarrow}$조직몰입, 감성능력${\rightarrow}$조직몰입에 모두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프로젝트 리더의 핵심역량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집단응집력을 높여주는 기제로서 작용함과 프로젝트조직의 종류에 따라 조절효과가 다름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다.

  • PDF

Effects of the 4C Core Competencies on Work Ability among Dental Hygienists

  • Kim, Do-Young;Jang, Kyeung-A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20-227
    • /
    • 2019
  • Background: This descriptive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4C core competencies and work ability among dental hygienists. Methods: From November 2018 to January 2019, data were collected-from 190 dental hygienists workong in dental clinics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 province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dental hygienist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the level of the 4C core competencies and work ability of dental hygienists was calculated using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4C core competencies on work ability. Results: The mean scores for the 4C core competency levels of the dental hygienists were as follows: communication ability 3.34, critical thinking ability 3.41, creative problem-solving 3.40,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3.27. Meanwhile the mean score for work ability level was 3.65. The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work ability were communication ability and cooperative self-efficacy (p<0.001), and the sub-factors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that affect work ability were sound conferences (p<0.01), intellectual fairness (p<0.05), intellectual enthusiasm (p<0.05), and self-confidence (p<0.001). Finally, the sub-factor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at affect work ability were planning and execution (p<0.01) and performance evaluation (p<0.05).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education programs covering the cor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ists, rather than the existing theoretic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enhance 4C core competencies that affect work ability.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핵심역량 재구조화 방안 (Ways of Restructuring Key Competencies for a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8-377
    • /
    • 2013
  • 본 연구는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역량들을 재구조화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최근 세계 각국에서 미래 사회의 변화된 상황에 맞추어 학교 교육의 방향을 근본적으로 재조정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 개혁의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게 된 것이 핵심역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핵심역량 중심의 과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한 선결 요건으로 선행연구에서 다양하게 논의되어온 핵심역량 대범주를 재구조화하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됨직한 각 영역별 핵심역량 구성요소를 논의하였다. 문헌분석, 전문가 심층면담, 델파이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해 핵심역량 대범주 3가지를 (1) 인성 역량, (2) 지적 역량, (3) 사회적 역량으로 구성하고, 각 핵심역량 대범주별로 의미와 특징을 제시하였다. 각 대범주별로 어떤 핵심역량을 선정하고 가르칠 것인지는 교과 및 교사수준에서 전문성을 발휘하여 결정하도록 맡겨둘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에서 논의한 핵심역량 대범주들을 중심으로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 주목할 점을 제안하였다.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는 인성 역량을 포함하여 핵심역량의 3개 대범주들을 적극적으로 포함시켜야 하며, 핵심역량을 모든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최소 수준의 목표로 설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과학 주제와 목표 등에 따라 각 대범주별 핵심역량 구성요소와 구성요소들 간의 연계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프로젝트 매트릭스 조직의 신제품개발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A사 기술연구소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oject Manager's Competencies on the Performance of NPD Project in Project Matrix Organization: Focused on the Institute of Technology of Company A)

  • 윤인환;김주현;이희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295-303
    • /
    • 2015
  • 본 연구는 프로젝트 매트릭스 조직의 신제품개발 프로젝트에서 해당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량을 지적, 관리, 감성 역량으로 분류한 후, 각 역량이 사전/사후 측면에서 기획 성과와 완료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프로젝트 매트릭스 조직 내 프로젝트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역량과 성과 간의 관계를 PLS(partial least square)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확인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프로젝트 관리자의 지적 역량은 기획 성과와 완료 성과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관리 역량과 감성 역량은 두 성과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노력은 프로젝트 관리의 역량과 성과에 관한 연구에서 매트릭스 조직을 대상으로 구체화된 역량과 성과를 분석한 차별화된 시도이며, 본 연구결과는 최근 재조명을 받고 있는 프로젝트 매트릭스 조직 내 신제품개발 프로젝트 관리자의 선발과 교육 시 프로젝트 성과에 중요한 역량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생활능력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 Rearing-Behavior and the Competencies of Young Children)

  • 노현미;박인전
    • 아동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1-24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behavior and the competencies of their children and to suggest ways in which fathers can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hildren. The subjects were the fathers and mothers of 649 six- to seven-year-old children attending schools located in T city.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limit setting"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child rearing behavior by fathers. On the other hand fathers' "reasoning guidance" was correlated with children's personalities and intellectual competencies.

  • PDF

미래사회를 대비한 청소년의 생애학습역량지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Youth Lifelong Learning Competency Indicators for Future Society)

  • 성은모;진성희;김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45-458
    • /
    • 2016
  • 이 연구는 21세기 변화하는 미래사회를 준비하기 위해 국내 청소년들이 갖추어야 할 생애학습역량의 개념과 이를 구성하는 구성요인들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 생애학습역량을 개념화 하였으며, 이를 구성하는 하위 역량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생애학습역량의 구성체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패널 및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패널 대상 생애학습역량지수의 타당성 조사는 청소년 관련 전문가 총 28명으로 구성하여 2차에 걸쳐 진행하였다. 전문가 패널 대상 타당성 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된 생애학습역량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당성 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 중고등학생 719명이었다. 연구결과 총 3개 역량에 9개의 하위역량이 개발되었는데 청소년 생애학습역량은 사고력(통합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감성적 사고력), 지적도구활용(언어능력, 수리과학능력, 정보통신활용능력), 학습적응성(변화수용력, 지적호기심, 학습주도성) 등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지수의 구성체제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또한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생애학습역량과의 차별성, 생애학습역량을 바라보는 관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HP를 활용한 프로젝트 팀 구성원의 개인역량 상대적 중요도 연구 (A Study on Relative Importance of Project team members Competencies Using AHP)

  • 김영대;이진아;오민정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16-22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a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factors of Competencies of project team member. It aims to present the differential competency factors from a differentiated perspective by applying the Leadership Development Questionnaire, which is the competency dimension required for manager, to team member. (1) Background: The diverse needs of customers and companies, and the uncertainty, complexity, ambiguity, and volatility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compan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eaten the survival of company. In this respect, companies should implement the project management approach and strive to increase the capabilities of each team member. (2) Methods: AHP method was used to prioritize which factors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ce level and the gap of relative importance level between project manager group and team members group. (3) Results: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upper class, weights were derived in the order of managerial competence, intellectual competence, and emotional competence. The sub-factor that respondents prioritize was communication as the 1st priority, and it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strategic perspective, achieving, critical analysis and judgement, and vision and imagination.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ranking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achieving and vision and imagination attributes between the PM group and TM group,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4)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recognition that team members are required to have the same competencies as the project manager. And based on the priorities of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team members, companies are expected to cultivate professional and competent team members, and expand the roles and authority of team members so that they can actively carry out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