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유아교육과 보육의 통합에 관한 의견 분석 : 유치원·보육시설 원장과 교사를 중심으로 (Survey o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 김은설;신나리;최혜선
    • 아동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97-208
    • /
    • 2007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directors o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centers in Korea. Participants were 800 teachers and directors working with young children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reasons, feasibility, and means of integration, as well as tasks that should be achieved prior to integr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skeptical about executing the integration in practice even though they agreed to the integration of education and care in early childhood. They reported the integration of auspices should take place prior to integration of education and care in early childhood.

  • PDF

Impact on the Collective Claim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Related to Infant Policy Integration

  • Kim, Kyung 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39-47
    • /
    • 2016
  • The state adopts the policies based on the goals pursued by the state and provides a basic policy for administrative activitie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fore,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organically in consultant with the social consent in advance. In most countries will bear the costs of child 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f paren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sumers are able to understand the will of the government to support the child care services, which they need in a variety of way. The conflict is deepening - among policy officials, front-line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policy implementation, and parents - surrounding the infan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conflict has caused the difference between this policy and claims that cannot find hardly a solution. In this study, we argue how the policy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volved in the policy to analyze the influence, to find the policy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유보통합 실행계획안에 따른 0~5세 영유아교육과정 운영 및 0~5세 영유아 교원 양성 타당성 (Feasibility of operating a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ged 0 to 5 years old and training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ged 0 to 5 years old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tegration implementation plan)

  • 박지희;김대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601-608
    • /
    • 2024
  • 유보통합이 진행중이다. 이에 따라, 0~5세 영유아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2024년 6월 유보통합 실행계획안이 발표되었다. 0~5세 영유아교육과정 운영이 제시되었다. 0~2세와 3~5세 교육과정이 내용에서 비슷하며 동일한 기준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합쳐지는 것이 자연스럽다. 교육과정을 합칠 때 교육과정의 내용, 교원 자격, 재정을 함께 고민할 필요가 있다. 0~5세 영유아교육과정이 개발됨에 따라 교원자격도 0~5세 영유아교사로 설정되어야 한다. 연구의 결론은, 먼저, 교육과정을 0~5세 영유아교육과정으로 일원화한다. 다음으로, 0~5세 영유아교육과정을 가르칠 교사들은 0~5세 영유아교사로 양성해야 한다.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에 대한 영유아학교 교사 자격 연수의 과목과 운영 모듈 (Subjects and Operational Modules of Young Children School's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 care teachers)

  • 김대욱;박지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443-452
    • /
    • 2023
  • 유보통합 이후에 현직교사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자격전환연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자격연수의 과목과 운영모듈에 대해 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보육교사 자격이 없는 유치원교사에게는 4과목 12학점이 필요하고, 보육교사 자격만 갖고 있는 교사에게는 14과목 30학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격연수기관으로 4년제 및 전문대 유아교육과와 방송통신대학교를 제안하였다. 보육교사를 소지하지 않은 유치원 교원의 경우 직무연수를 통하여 자격전환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교육부 중심 0-5세 유아학교 모델(안)의 단계별 정책 방향과 과제: 설립주체와 교사고용의 관점을 중심으로 (Step-by-step Policy Directions and Tasks of the 0-5-year-old Young Children School Model centered the Ministry of Education: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Establishment Entity and Teacher Employment)

  • 김대욱;박창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69-580
    • /
    • 2022
  • 현재, 교육부 장관이 교육부 중심으로 유보통합추진하는 것을 공식 발표하였다. 유보통합의 핵심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통합으로, 구체적인 모델(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보통합 논의 이후 유아학교를 중심으로 논의가 되어 왔고, 구체적인 사안에서 의견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부 중심으로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통합된 이후 유아학교 모델(안)의 단계별 방향을 제안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문제는 교육부 중심 0-5세 유아학교 모델(안)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보통합이 실현된 이후의 설립유형별 유아교육기관 통합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첫째, 국가책임 단계별 0-5세 유아학교 모델(안)이 요구된다. 둘째, 다양한 설립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세부적인 유아학교 모델(안)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학교 체제시 교원양성체계 개편, 방과후과정 운영 모델, 교육청 및 지자체 통합 방안 등의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유보통합에 따른 보육사업의 위기관리체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sis Management System of Child Care business by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송진숙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4호
    • /
    • pp.153-163
    • /
    • 2024
  • 본 연구는 유보통합시대를 맞이하여 저출산과 보육사업의 문제를 고찰하였고, 보육사업이 직면한 위기관리의 상황을 분석하고 위기관리체계의 해법을 모색하였다. 다차원적인 문헌연구를 토대로 연구설계를 하였으며, 보육사업 위기관리체계의 하위 변인들은 위기 예방, 위기 대응, 위기 극복, 기회 탐색 및 도출 등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보육사업체는 위기관리팀을 구성하여 위기 예방에 체계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위기의 원인은 기업 내부뿐만 아니라 대외적인 환경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보육사업체의 규모와 특성 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해야한다. 둘째, 위기상황이 발생하면 보육사업체는 적절하게 대응하며 경영상의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보육사업체의 위기대응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려면 자사에서 발생하는 사고들에 대한 유형화가 필수적이고 위기상황을 돌파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셋째, 경영환경의 변화 속에서 보육사업체가 피해를 최소화하며 위기를 극복하려면 경영자의 신속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중요하다. 넷째, 초저출산국가인 대한민국의 보육사업은 위기상황에 10년도 넘게 직면해 있지만 지속가능한 사회로 도약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내야 한다.

통합보육시설의 시설 및 설비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facility standards of integrated child care facility)

  • 김영은;박현수;이건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36-143
    • /
    • 2006
  • This research proposes the importance of physical environment if integr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a successful integration of children's education, we processed fundamental research on requirements of facility and equipments, looking at related standards and code on handicapped person's convenience facility. Also, this research alms at providing first step to establish evaluation method and quality assurance standards of integrated child care facility, regarding space planning of handicapped children. By examining home and abroad material and analyzing handicapped children's convenience facility standards, this research pursues improving the basis of planning criteria. As present criteria of relevant regulations appears not to handle detailed facility standards, and the handicapped people's facility is for childhood education, it is necessary first to differentiate indispensable equipments from optional one, then categorize them into more specific needs.

유치원 초임교사의 교육계획안 개발에서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협력 모형 구안 (Developing a Collaborative Mode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t First Career Period)

  • 황윤세;강현석
    • 아동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33-251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about educational planning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 constructed by kindergarten teachers at early career stages and then developed a collaborative model of educational planning. Subjects were 6 teachers at early career stages. Using the ethnographic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Research outcomes were : (1) teachers specifically worked on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teaching job', 'age of children that the teacher cares for',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nd 'variety of actual teaching situations.' (2) A model for collaborative educational planning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eachers' knowledge, educational planning for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learning of community.

  • PDF

이원화된 유아교사(유치원.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교사효능감 및 일원화에 대한 인식 : 교사의 대학전공과 근무기관에 따른 비교 (Teachers' Professionalism, Teaching Efficacy, and Their Perceptions about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in the Current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Training System : A Comparison Across Subjects by College Major Degree and Work Place)

  • 김선영;서소정
    • 아동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5-23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indergarten teachers and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in terms of their professionalism, teaching efficacy and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ose differences which were revealed were found between the subjects by their college major degree and place of employment. The 598 teachers who serv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comple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s and t-tes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subgroups by college major degree in teaching efficacy and perceptions regarding the integration system. In addition, the subjects from child care centers had higher levels of teaching efficacy than their counterparts in other work environments, even though they had majored in the same subj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 유아교육 현장의 원격교육 제한사항과 이에 따른 유아 원격교육 솔루션 개발 제안 (Restrictions on Dista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Era of with Corona, and Proposal for Early Childhood Distance Education Solution Development)

  • 이흔연;홍필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51-259
    • /
    • 2021
  • 유아교육은 지식의 전달보다는 지도자에 의하여 유아의 감각을 키우는 과정이라는 특징으로 인하여, 위드 코로나 시대에서도 유아 원격교육은 일대일 비대면 교육 보다는, 유아교육 꾸러미 등 배포된 자료나 TV등의 매체를 통하여 학부모가 직접 돌보는 방식으로 원격교육이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선행연구 고찰 및 학부모 집중 인터뷰를 통하여, 교육 콘텐츠의 확대 및 접근성 확대, 유아 원격교육의 기본지식 이해, 실시간 원격교육을 통한 유아의 사회성 증대 필요 등의 원격교육 요구사항을 파악하였고, 현재 제공중인 원격교육 관련 솔루션이 유아교육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다양성, 용이성, 실시간 소통, 통합이라는 유아 원격교육 솔루션의 기본방향(VERI)을 제시하고, 유아, 학부모, 교사가 함께 콘텐츠를 공유하고, 실시간 및 비실시간 소통을 할 수 있는 Web/App 솔루션 개발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원격교육 솔루션은 단지 가이드라인과 자료만 제시하고 있는 현재 상황을 유아-학부모-교사가 함께 소통하고, 콘텐츠를 공유하게 되어, 위드 코로나 시대의 유아 원격교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