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ake of nutrients

검색결과 1,332건 처리시간 0.032초

가금에서 분리된 유산균의 생리적 특성 및 급여효과

  • 김상호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64-84
    • /
    • 2002
  • 본 연구는 가금맹장에서 유래된 유산균의 생균제적 가치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I에서는 가금 맹장 유산균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산란계 및 육계 맹장 유산균을 각각 12주와 11주를 분리하여 내산성, 내담즙산성, 효소분비력, 항병원성 및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PH 3부터 점차적으로 사멸하는 균주와 일정하게 유지되는 균주로 구분되었으며, PH 4에서 모든 유산균의 성장은 양호하였다. 본 실험에서 분리된 대부분의 유산균은 bile salt에 의해 성장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몇몇 균주는 저항성이 높게 나타났다. 선발된 맹장유산균과 다른 균주와 비교하였는데, 가금 맹장유래 유산균은 다른 유산균과 Bacillus에 비하여 효소분비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소별 분비능력에서 amylase와 lipase 활성은 강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cellulase와 protease의 활성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병성 조사에서 유산균 배양액은 균종에 관계없이 병원성 E. coli에 대하여 억제성이 높았으며 억제요인으로는 유기산 분비에 의한 pH 저하가 주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병원성 Salmonella에 대해서는 유산균 배양액의 억제성이 낮았다. 유산균은 페니실린 계통의 항생제에 의하여 생존율은 저하되었지만 이외의 다른 항생제는 유산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다. 본 실험에서 선발된 유산균은 각각 target animal에 급여하여 host specific effect를 구명하기 위하여 사양실험을 실행하였다. 시험II는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장내미생물, 계사내 환경, 혈청 콜레스테롤, 응모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및 육계에 대한 유산균의 적정 급여수준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육계 초생추에 육계ㆍ산란계의 맹장에서 유래한 Lactobacillus crispatus avibrol(LCB), L. reuteri avibro2(LRB) L. crispatus avihen1(LCH), L. vaginalis avihen2(LVH) 각각을 사료 g당 $10^4$/cfu 및 $10^{7}$ cfu의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유산균의 급여에 의한 육계의 체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증체량은 50~100g이 높았다.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모든 유산균 급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이용율에서 건물소화율은 유산균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백질, Ca 이용율도 유산균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산균 급여구에서 조지방, 조회분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인의 이용율은 처리구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유산균 종류별 영양소 이용율은 LCH 급여구가 모든 일반성분 및 Ca, p의 이용율이 가장 높았다(P〈0.05). 회장내 유산균 수는 시험 전기간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P〈0.05), 맹장에서는 5주령에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Yeast는 회장에서 1주령까지는 장내에 완전히 정착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맹장 및 3주령 이후의 회장에서는 대부분의 유산균 급여구에서 Yeast의 수가 증가하였다(P〈0.05).

  • PDF

일부 도시지역 여대생들의 신체상과 섭식 장애 및 영양 섭취 양상 (Body Image, Eating Problems and Dietary Intake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Urban Area of Korea)

  • 박혜순;이현옥;승정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505-514
    • /
    • 1997
  • Concern about body weight among young females is too much, so distorted body image and restrained eating are serious problems among Korean young females. A society preoccupied with thinness give a psychological burden to women, this burden may have adverse effects on heal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We tried this study to investigate body image, eating problems, and dietary intake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urban areas of Korea. We satisfactorily surveyed using their body weight, desired weight dieting, binge eating, and night eating by self-questionnaires with 500 female college students. We evaluated their dietary intakes by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to assess their usual intakes. After removing incomplete data, we analyzed 469 data by SAS 6.10. The 469 women aged 21.1 years. Their mean height, weight, and BMI were 161.4cm, 52.5kg, and 20.2kg/$m^2$ respectively. Though the frequency of obesity was only 2.6$\%$, the frequency of dissatisfaction with their body weight was 84.7$\%$. Female college students desired their hight, weight, and BMI to be 165.8cm, 48.2kg, and 17.5kg/$m^2$,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binge eating and night eating were 20.7$\%$and 6.8$\%$. The odds ratios for binge eating and night eating were 10.9(95$\%$ CI : 2.6-15.1) and 6.0(95% CI : 1.8-14.8) in the group satisfied with their body weight compared with the dissatisfied group. The odds ratios for binge eating and night eating were 2.6(95% CI : 1.6-4.4) and 2.4(95% CI : 1.1-5.4) in the dieting group compared with the non-dieting group. The mean caloric intake was 1, 840kacl and percent intakes of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wee 57.2$\%$, 16.3$\%$, and 24.0$\%$, respectively. The dieting group showed deficient intakes of protein and calcium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non-dieting group showed deficient intakes of protein and calcium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non-dieting group. Almost all women college students in urban area had dissatisfaction with their body shape, and desired severe undrerweight. The frequency of binge eating and night eating increased according to dissatisfaction with body weight, diet, and distortion of body image. Dieting has adverse effect on the intakes of essential nutrients. Educations is needed to correct distorted body image, and bad eating habits in young females, and marked preoccupation with thinness among women should then be reduced. (Korean J Community Nutrition2(4) : 505-514, 1997)

  • PDF

남녀 초등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 및 Glycemic Index, Glycemic Load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trient Intakes,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according to Obesity Index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배윤정;최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4-18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utrients intakes, glycemic index (GI), glycemic load (GL) according to obesity index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229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ys=108, girls=121) who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sisting of an underweight group (obesity index<-10%, n=58), a normal weight group (10%${\leq}$ obesity index<10%, n=130) and an overweight group (obesity index${\geq}$10%, n=41) by their obesity index. The nutrient and food intakes data obtained by a 3-day food record were analyzed. Daily dietary GI and GL values were calculated from the 3-day food record.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11.9 years. The mean daily energy intake was 2,186.8 kcal in the underweight group, 2,123.5 kcal in the normal weight group, and 2,174.2 kcal in the overweight group. The intakes of calcium and animal calcium per 1,000 kcal in the overweigh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underweight and normal weight groups (p<0.01, p<0.05), and fruit, egg and milk intakes in the overweight 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underweight group (p<0.05, p<0.05, p<0.05). The mean daily dietary GI of the underweight,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groups were 67.7, 68.4 and 69.5, respectively (p<0.05). The mean daily dietary GL of the underweight,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groups were 212.8, 208.1 and 213.3, respectively. The major food source of dietary GI and GL in the three groups was rice. Other major food sources of dietary GI were croquettes, hand-rolled noddle soups, instant noddles, milk, and rice cake. Dietary GI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eight, obesity or body mass index, when adjusted for energy, carbohydrate, and dietary fiber. However, GL adjusted to energy, carbohydrate and dietary fiber tended to correlate with obesity index (r=0.126, p=0.059).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GI and GL have possibility affecting obesity-related indicator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학교급식 잔반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광주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 (Perception and Attitudes to Leftover Food at School Food Servic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 김미숙;전은례;황금희;정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37-147
    • /
    • 2011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6학년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급식 및 급식 잔반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잔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급식의 만족도는 그저 그렇다, 급식의 좋은 점은 도시락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서 편하다, 급식비와 급식의 질은 현재 모두 적당하다고 한 경우 가장 높았다. 급식의 싫은 점은 식당 배식원의 불친절, 급식의 보완 요망 음식으로는 과일 및 음료, 급식의 잔반 종류로는 김치를 포함한 나물류, 급식의 잔반 원인은 싫어하는 음식이어서, 급식의 잔반 횟수는 주 1~2회, 급식의 음식 섭취 순서는 먹어본 경험이 있는 음식을 먼저 먹는다, 급식의 편식 여부는 편식을 한다, 편식의 종류로는 콩류 및 잡곡류의 경우 가장 높았다. 둘째, 급식 잔반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있어 음식물 잔반 여부는 거의 남기지 않는다, 잔반 감소 방법은 음식을 맛있게 요리해서, 잔반 교육 여부는 받은 적이 있다, 잔반 감소교육 방법으로는 학교수업 시 담임선생님의 지도를 통해서, 잔반 처리 방법은 가축 사료 등으로 재활용, 잔반 감소 필요성의 인식은 환경을 오염시켜 우리에게 피해를 주기 때문,실천 가능한 잔반 감소 방법은 잔반 없는 날 운영이 가장높게 나타났다. 셋째, 총 식품 섭취량은 잔반 교육 실시반의 경우 517.46 g로 미실시반의 경우 474.75 g보다 높았고, 영양소 섭취량도 잔반 교육 실시반이 미실시반보다 각 영양소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미취학 아동의 생화학적 분석에 의한 철분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ron Nutritional Status with Biochemical Parameters in Preschool Children)

  • 유경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7호
    • /
    • pp.533-54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ron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Ulsan,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95 children aged 3 to 6 years by investigating the anthropometric indices and assessing the dietary intakes and biochemical analysis. A questionnaire for dietary intakes using 24-hr recall method were carried out by the mothers of the 95 subjects. And also a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status of iron and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05.4 $\pm$ 7.0 cm, 18.7 $\pm$ 3.2 kg in boys, 103.8 $\pm$ 6.7 cm, 17.6 $\pm$ 2.7 kg in girls. These were lower than the body growth standard values of Korean pediatric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between boys and girls. For the daily nutrient intake, energy was 1201.5 $\pm$ 280.9 kcal (79.3$\%$RDA), protein was 63.8 $\pm$ 28.2 g (219.4$\%$RDA), iron was 11.9 $\pm$ 4.5 mg (133.2$\%$RDA). The iron nutritional status by hematological assay found that Hct was 34.7 $\pm$ 2.0 ($\%$), Hb was 12.0 $\pm$ 0.8 g/dl, RBC was 4.3 $\pm$ 0.3 ($10^6/{\mu}l$), MCV was 80.5 $\pm$ 3.0 fL, MCH was 27.8 $\pm$ 1.1 pg and MCHC was 34.6 $\pm$ 0.6 g/dl. The biochemical measurement of serum iron was 75.6 $\pm$ 30.3 ${\mu}g$/dl, TIBC was 320.3 $\pm$ 34.1 ${\mu}g$/dl, serum ferritin was 30.0 $\pm$ 14.8 ${\mu}g$/dl, Zinc-Protophor-phyrin (ZPP) was 32.7 $\pm$ 8.0 ${\mu}g$/dl, and ZPP/Heme was 71.1 $\pm$ 19.5 ($\mu$mole/mol heme). The prevalence with Hct, Hb, TS and serum ferritin less than cut-off value was $8.4\%,\;9.5\%,\;12.6\%$ and $4.4\%$ respectively. But the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estimated with ZPP and ZPP/Heme criteria were $25.3\%$ and $27.4\%$, and were higher than in case of any other indices. The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anemia ((low Hb (< 11.0 g/dl) and low serum ferritin (< 10 ${\mu}g$/L) or low TS (3-4 yews: < $12\%$, 5-6 years: < $14\%$)) was found in only one 3 year old girl. The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except Hct and Hb was the highest in 3 year group, but the prevalence by Hct and Hb was the highest in 5 year group. Iron deficiency and iron deficiency anemia do not seem to be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in preschool children in Ulsan.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 데이터베이스 구축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 database 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 윤미옥;이현숙;김기랑;심재은;황지윤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5호
    • /
    • pp.504-518
    • /
    • 2017
  • 본 연구는 가공식품의 섭취량이 증가하는 현실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통한 정확한 영양소 섭취량 산출을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자료 중 최근 5년간 (2010~2014) 등장한 가공식품 4,858건에 대한 영양성분 DB를 구축하고, 이를 제6기 1차 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2013년) 자료에 적용하여 영양소 14종의 섭취량을 산출하여 구축한 DB에 대한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가공식품의 영양성분 DB 구축을 위해 국내 국가기관에 신고된 가공식품 목록 8,785건, 반조리 식품 자료배합비, 국내 국립기관에서 발간된 식품성분표 1종, 제조사 및 인터넷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모아 가공식품에 대한 수준별 DB를 구축하였다. 매칭 식품과 유사 식품 DB를 모두 적용 후 가공식품 섭취량은 505.8 g (30.8%)로 추정되었으며 총섭취량에 대한 기여율은 각각 에너지 29.5%, 탄수화물 27.0%, 단백질 36.7%, 지방 26.5%, 식이섬유 16.1%로 나타났다. 또한 DB 적용 후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구축된 DB의 유용성을 보여준다고 사료된다. 나트륨의 경우 가공식품으로 부터의 섭취량이 DB 적용 전 후 2,527.6 mg에서 3,006.2 mg으로 증가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의 영양소 섭취량 추정에 필요한 에너지 및 영양소 14종에 대한 국내 분석값 자료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DB 구축을 위한 계산값이나 대체값의 원칙을 세우고 문서화하여 가공식품 DB 구축을 위한 틀을 만들어 향후 DB 구축, 유지, 확대 등 식품영양 DB의 체계적 관리의 기초를 제공하였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가공식품을 통한 영양소 섭취량 추정을 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가공식품 DB 구축과 관리가 필요하다.

두유박 첨가 먹이원 급이에 따른 갈색거저리 유충의 영양성 증진 효과 (Improving the Nutritional Value of Tenebrio molitor Larvae by Feeding Them a Soymilk Residue-added Food Source)

  • 김소윤;박민지;송정훈;지상민;장규동;김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1-198
    • /
    • 2024
  • 두유박 첨가 먹이원 급이 유충의 영양학적 우수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밀기울로 사육한 갈색거저리 유충의 영양성분과 유해물질을 비교분석하였다. 건조중량 기준 조단백질 함량은 10% 두유박 첨가 급이군 (SR)에서 54.0%로 밀기울 급이 대조군(WB) 43.5%보다 1.2배 더 많았다. 식이섬유 또한 SR에서 4.9%로 2.5%보다 1.9배 더 많은 경향을 나타냈다. 불포화지방산 중 리놀레산 함량은 SR (32.9%)에서 WB (29.0%)보다 1.1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량무기질 중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낸 칼륨은 WB (1,074.5 mg/100 g)에서 SR (1,014.0 mg/100 g) 보다 1.1배 더 많았다. 미량무기질 중 아연은 SR (14.5 mg/100 g)에서 WB (11.9 mg/100 g)에 비해 1.2배 더 많은 함량을 나타냈다. WB와 SR의 유해물질 분석 결과, 중금속 중 납, 카드뮴, 무기비소는 식용곤충 중금속 기준에 적합하였고, 식중독균인 대장균, 살모넬라균은 모든 군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위의 영양성분 및 유해물질 분석 결과로 볼 때, 10% 두유박 첨가 급이 갈색거저리 유충은 풍부한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안전성 또한 입증되었으므로 식품 및 사료 원료로 이용하기에 좋은 소재로 판단된다.

Effect of Replacing Cereal Grain in Concentrate With Wheat Bran on the Performance of Lactating Bos indicus×Bos taurus Cows Fed Green Fodder ad libitum in the Northern Plains of India

  • Sahoo, A.;Chaudhary, L.C.;Agarwal, Neeta;Kamra, D.N.;Dutt, T.;Pathak, N.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2호
    • /
    • pp.1699-1707
    • /
    • 2000
  • Thirty-one multiparous Bos indicus${\times}$Bos taurus cows were offered concentrate supplements based on (1) 2 kg wheat bran; (2) 4 kg wheat bran; and (3) concentrate (30 maize: 67 wheat bran) at 0.5 kg per 1.0 kg milk produced, in a one year study in India. All supplements also contained 2 parts of a mineral mixture and 1 part salt. Cows were allocated to treatments at calving on parity (2nd and 3rd calf) with 13, 8 and 10 cows respectively in treatments 1, 2 and 3. They were individually fed for whole lactation, the basal diet being ad libitum berseem clover plus 2 kg wheat straw in the cool season/winter (period 1) and chopped maize in summer (period 2). Diets with berseem offered TDN and CP contents of 67.6, 18.2; 65.5, 16.8; and 67.5, 16.8 percent; and with maize fodder 62.6, 12.0; 62.6, 12.5; and 63.3, 12.5 percent for treatments 1, 2 and 3, respectively. Total dry matter (DM) intakes (1) 9.9 kg, (2) 10.9 kg and (3) 11.1 kg DM/day and intake of nutrients (TDN, CP) increased with level of supplementation (p<0.01), but effects of treatment on animal performance were not significant. Cow milk yields averaged (1) 7.9 kg, (2) 8.1 kg and (3) 8.8 kg milk/day (p>0.05) for lactation lengths of 252, 270 and 220 days (p>0.05) and cows gained +7.3; +8.1; and +12.0 kg respectively over their lactation (p>0.05). Wheat bran was used effectively as the sole energy component in concentrates for lactating dairy cows. Its use could potentially reduce feed costs and demands for cereal grain. Reduced concentrate levels may be considered if green forages of high nutrient content are fed ad libitum. Associated economic advantages or disadvantages require further evaluation.

Miniature Schnauzer에 있어서 현미 급여와 영양소 소화율 및 배설 분 특성 (Nutrient Digestibilities and Fecal Characteristics of Diets Including Brown Rice for Miniature Schnauzer)

  • 김경훈;장주송;오영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5호
    • /
    • pp.429-434
    • /
    • 2011
  • 본 연구는 반려견 사료 내 주요 탄수화물원인 밀가루(원물기준 약 51%)를 현미로 15%, 30% 대체 급여하였을 때, 사료의 소화율 및 배설 분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슈나우져(Miniature Schnauzer) 강아지(8~9개월령, 시험개시 평균체중 $5.0{\pm}0.3$ kg) 6마리를 이용 반복 $3{\times}3$ 라틴방각법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미 대체에 의해 조단백질을 제외한 건물, 유기물, 산분해 지방, 에너지 소화율이 linear (P<0.01)하게 증가하였다. 사료의 가소화에너지 및 대사에너지 농도(kcal/kg DM)도 현미 대체 비율이 증가하면서 linear 하게 증가(각각 P=0.001, P=0.006)하였다. 생분 배설량과 건조 분량도 모두 linear (P<0.001, P=0.004)하게 감소하였고, 특히 현미 30%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생분 배설량이 약 21% 감소하였다. 분 score 또한 linear (P<0.05) 또는 quadratic (P<0.01) 개선 효과가 있었지만, 분 암모니아 농도는 현미구에서 높은 경향(P=0.07)을 보였다. 분 암모니아 증가는 linear하게 감소(P=0.001)한 short-chain fatty acid 농도와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의 결과, 현미 급여가 반려견의 영양소 소화율과 배설 분의 특성을 개선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Phytase 수준별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인의 배설과 흡수 및 회장과 분에서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atry Phytase on Performance, Excretion and Retention of P, and Ileal and Feces Digestibility in Broilers)

  • 황보종;안정현;정완태;오상집;이현정;김원;이선업;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7-215
    • /
    • 2007
  • 본 시험은 파이타제의 수준별 첨가(0, 300, 600 FTU/kg)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장내 미생물 성상 및 영양소 이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 동물로서 1일령 Ross종 육계$(44.5{\pm}2.0\;g)$ 216수를 선별하여 육계전기($0{\sim}2$주) 및 육계 후기($2{\sim}5$주)의 5주 동안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파이타제의 첨가 수준에 따라 P0(대조구), P1(300 FTU/kg), P2(600 FTU/kg)의 3처리구로 나누고, 처리당 6반복, 반복당 12수씩 216수를 체중별로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사양 시험이 끝난 후 체중이 유사한 5주령 육계$(1.7{\pm}0.2\;kg)$를 처리구당 9수씩 선별하였으며, 처리구는 파이타제의 첨가 수준에 따른 3처리구와 회장과 분의 소화율에 따른 2처리구로 나누어 $3{\times}2$의 총 6처리구, 처리당 9수씩 54수를 공시하여 소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증체량과 사료 효율은 P0 처리구에 비해 P1과 P2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사료 섭취량은 처리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P>0.05). 인의 배설량과 흡수량은 파이타제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배설량이 크게 감소하였다(P<0.05). 영양소와 아미노산의 소화율은 회장 소화율이 분 소화율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P>0.05), 파이타제 첨가구(P1, P2)에서 대조구(P0)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그러나 고형물과 조단백질의 소화율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파이타제의 첨가는 육계의 생산성이나 인의 흡수량과 배설량 및 영양소와 아미노산 소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