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oluble dietary fiber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2초

생육단계별 배 과피에서 분리한 식이섬유원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Sources from Peel of Asian Pear Fruit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장선;이범수;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05-911
    • /
    • 2005
  • 상품성이 낮은 배 그리고 가공 부산물의 하나인 과피의 기능성식품 소재로써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생육단계별 풍수, 신고, 추황배의 과피로부터 식이섬유원을 분리하여 이들의 성분을 분석하고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3 품종의 3 생육단계에서 과피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원의 총식이섬유 함량은 74.00-88.38%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고 그 중 92-94%가 불용성 성분이었다. 분리된 식이섬유원에 잔존하는 총페놀성물질의 함량은 1.64-4.46mg/g이었고 신고와 추황배에서는 과실의 성숙도에 따라 잔존하는 총페놀성물질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평균입자의 크기는 $255-381{\mu}m$이었고 동일한 품종내에서 성숙된 과실일수록 분리된 식이섬유원의 입자는 증대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과에서 분리한 식이섬유윈의 밀도가 유의적으로 작았다. 보수력은 3.11-6.03g water/g solid이었고 신고와 추황배에서는 유과, 미숙과, 성숙과의 순으로 점차 증가하였으며 oil 흡착력은 1.98-2.57g oil/g sample로 보수력보다 낮은 값을 보였고 보수력이 낮은 유파의 식이섬유원이 oil 흡착력은 컸다. 식이섬유원의 입자의 크기는 밀도, 보수력, oil 흡착력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성분은 Cellulose와 uronic acid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 과피에서 분리한 식이섬유원은 총 식이섬유 함량이 높고 생리활성 물질인 페놀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미숙과, 성숙과 식이섬유원은 비교적 높은 보수력을 갖고 있어 새로운 식이섬유원 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otal Dietary Fiber and Mineral Absorption

  • Gordon, Dennis-T.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6호
    • /
    • pp.429-449
    • /
    • 1992
  • The consumption of foods rich in TDF should not be associated with impaired mineral absorp-tion and long-term mineral status. In surveys of populations consuming high amounts of TDF e.g Third World populations and vegetarinas gross deficiencies in mineral nutrition have not been noted. If mineral status is low among these groups it is most likely caused by the inadequacy or imbalance of the diet and not by the TDF. The key word is interaction which should be inte-rpreted in dietary imbalances that produce nut-rient deficiencies. There are no strong data to support the concept that TDF inhibits mineral absorption through a binding chelation mechanism. Limited data sug-gest that positively charged groups on polymers such as chitosan and cholestyramine will decrease iron absorption in humans and animals. Because TDF does not contain positively charged groups future research should be directed at the possible role of protein consumed along with TDF and the combination of effects on mineral nutrition Phytic acid is acknowledged as a potent chela-tor of zinc. However its association with zinc and its propensity to lower Zn bioavaiability may enhance the absorption of other elements notably copper and iron.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s among nutrients including TDF will gain addi-tional attention in the scientific community. Soluble and insoluble dietary fiber function di-fferently in the intestine. Insoluble fibers accele-rate movement through the intestine. Soluble die-tary fibers appear to regulated blood concentra-tions of glucose and cholesterol albeit by some unknown mechanism. In creased viscosity produ-ced by the SDF in the intestine may provide an explanation of how this class of polymers affects plasma glucose cholesterol and other nutrients. Employing a double-perfusion technique in the rat we demonstrated that viscosity produced by SDF will delay transfer of zinc into the circulatory system. This delayed absorp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decreased utilization. A great deal of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to prove the importance of luminaly viscosity produced by SDF on slowing nutrient absorption or regulating bllod nutrient homeostasis. Increased intake of TDF in the total human diet appears desirable. A dietary intake of 35g/day should not be consider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mineral absorption. It is important to educate people that an intake of more than 35g TDF/day may cause an imbalance in the diet that can adve-rsely affect mineral utilization. Acknowledgments. Appreciation is given to Dr. George V. Vahouny(deceased) who was intense a great competitor in and out of science and who gave the author inspiration Portions of this work were supported by the University of Missouri Ag-ricultural Station and by a grant from the Univer-rch Support Grant RR 07053 from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ontribution of the Missouri Agriculatural Experiments Station Journal Series No. 10747.

  • PDF

단기간의 식이섬유 첨가물의 섭취가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의 당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ort-Term Feeding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on Glucose Metabolism in Subjec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 이연경;이혜성;김보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46-854
    • /
    • 1996
  •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식이섬유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병원에서 처방된 식사에 더하여 일일 5g의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콩가루 비스켓(15명, 대조군), 20g을 포함하는 비지 비스켓(9명 , 불용성 고식이섬유군) 또는 25g을 포함하는 다시마 비스켓(10명, 수용성 고식이섬유군)을 2주 동안 첨가 섭취시킨 후 당질대사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기간 중 당뇨병 환자들의 일일 열량 섭취량은 세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하루 실제로 섭취한 평균 총 식이섬유량은 대조군이 $19.1\pm4.3g(13.8\pm8.0g/1000kca1),$ 비지 비스켓군이 $32.5\pm4.1g(19.7\pm3.8g/1000kcal),$ 다시마 비스켓군이 $38.1\pm5.5g(24.5\pm4.5g/1000kcal)이었다.$ 비지 비스켓과 다시마 비스켓의 2주간 섭취 후 공복시 고혈당의 하강폭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컸으며 (p<0.05), 경구 포도당 부하 후의 내당능도 뚜렷하게 개선되었다(p<0.05). 경구 포도당 부하검사 및 글루카곤 자극검사를 통해 관찰한 바 혈청 인슐린과 C-peptide 수준 및 혈장 글루카곤의 농도는 2주간의 고식이섬유 첨가물의 섭취에 의해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당화혈색소 수준은 2주간의 식이 섬유 첨가물 섭취 후에 다소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변화로는 판정되지 않았고 일일 요당의 배설량은 세군 모두에서 비스켓 섭취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2주 동안의 식이섬유 첨가 섭취가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의 당질대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므로 비지와 다시마 첨가물이 당뇨병의 식사요법에서 유용한 고식이섬유 식품 첨가물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감귤과육 및 과피의 식이섬유와 플라보노이드 검색 및 정량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s and Flavonoids in Pulp and Peel of Korean Tangerine (Citrus aurantium var.))

  • 은종방;정영민;우건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71-377
    • /
    • 1996
  • 감귤류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는 항알러지성, 항염성, 항바이러스성, 항암성 등의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감귤 유래 식이섬유도 다양한 생리조절 기능때문에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되어 왔다. 한국산 조생종 감귤의 과육과 과피에 나린진과 헤스페리딘이라는 두종류의 플라보이드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육부의 나린진과 헤스폐리던 함량은 각각 100g 당 2.95 mg, 6.53 mg이었으며, 과피에서는 과육부보다 함량이 높아 10.77mg, 38.90mg으로 나타났다. 과육부의 가용성 식이섬유, 불용성 식이섬유, 총식이섬유량은 신선물 기준으로 1.90%, 0.37%, 2.27%이었으며, 과피에는 각각 1.09%, 4.77%, 5.86%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펙틴 함량은 과육에 1.53%, 과피에 0.94%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edicinal food로 활용하기 위한 산사(山査)에 관한 연구(1) -활용 형태에 따른 영양학적 특성 및 식품으로의 활용방안 모색- (Study of Crataegi Fructus for Medicinal Foods Applications -Nutrition Composition and Scheme for Foods-)

  • 전정우;박성진;한종현;박성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220-1224
    • /
    • 2005
  • Crataegi Fructus has often been cited in medical literature for its medicinal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rataegi Fructus application as an edible medicinal (nutritional supplement) food resource. In this study, Crataegi Fructus, which has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and folks remedy, was investigated to characteristics of nutritional composition(protein, lipid, ash, fiber, free sugar and minerals). The approximate composition of low Crataegi Fructus was crude protein, 0.26%, crude lipid, 0.30% and crude ash, 0.66%. And total dietary fiber 5.60%(insoluble 4.66%, soluble 0.94%), contents of glucose and fructose were 5.02mg% and 6.21 mg%, Nutritional composition of fermented liquid was crude protein 0.24%, crude lipid, 0.03%, crude ash, 0.53% and total dietary fiber, 0.24%. And glucose, fructose contents were 14.77mg% and 7.30mg%. The other hand, nutrition contents in water extract of Crataegi Fructu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low Crataegi fructus and fermented liquid.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Crataegi Fructus and fermented liquid have sufficient values to use as a food stuff for medicinal food and nutritional supplement.

땅두릅 김치의 저장기간에 따른 화학적 특성 - 비타민C, 환원당, 총 클로로필, 식이섬유, 총 수용성고형분 -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ored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Kimchi - Vitamin C, Reducing Sugar, Total Chlorophyll, Dietary Fiber, Total Soluble Solid -)

  • 한귀정;신동선;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30-33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발효식품인 김치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땅두릅에 적용하여 땅두릅 김치를 제조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땅두릅 김치는 절임 시 0.3% CaCl$_2$ 용액을 첨가 및 양념을 달리하여 화학적 특성을 조사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총 비타민 C의 변화는 저장초기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숙성 적기에는 급격히 증가하여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며 숙성 후기에는 다시 완만하게 감소하여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CaCl$_2$ 용액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의 변화는 제조 당일 8.4${\sim}$9.3 mg/g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이 증가하여 숙성이 진행 되면서 감소하였으나 비교적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CaCl$_2$ 용액 처리구 및 양념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클로로필도 환원당의 경우와 비슷한 경향으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이섬유는 전반적으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수용성 식이섬유는 증가하는 반면 불용성 식이섬유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식이섬유는 다소 증가하거나 일정수준을 유지하였다. 또한 총 수용성 고형분 함량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직의 변화가 더디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땅두릅 김치는 화학적으로 우수함이 확인 되었으며 절임 시 조직연화 방지를 위해 0.3% CaCl$_2$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화학적으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저장식품으로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장기간에 따른 땅두릅 잎김치의 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 i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Leaf-Kimchi during Storage Periods)

  • 신동선;김명희;한귀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9-16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땅두릅잎을 이용하여 양념을 달리한 LA(간장), LB(간장+고춧가루), LC(간장+고춧가루+젓갈)의 잎김치를 제조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총 비타민 C, 환원당, 식이섬유, 총 클로로필, 총 수용성 고형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땅두릅 잎김치의 화학적 특성에서 총 비타민 C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실험군이 감소하였으며 비교적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환원당의 경우 저장 초기부터 완만하게 감소하다가 저장 5개월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이후부터 저장 6개월까지 다소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식이섬유는 전반적으로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용성 식이섬유는 증가하고 불용성 식이섬유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식이섬유는 다소 증가하거나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총 클로로필은 저장 1개월에는 다소 감소하다가 저장 3개월에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처리구 LB가 가장 높은 클로로필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대조구인 LA가 가장 낮은 잔존율를 보였다. 총 수용성 고형분 함량은 저장 초기 LA, LB, LC가 각각 10.3, 10.1, 10.4%이었으며 저장 1개월에는 11.7, 11.3, 12.1%로 다소 증가하였고 저장 3개월에는 12.8, 12.2, 13.0%이었으나 저장 6개월에는 12.0, 11.0, 12.5%로 총 수용성 함량이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땅두릅 잎김치는 양념 및 가공방법을 더 다양화한다면 땅두릅잎은 식품의 적용을 증대시켜 아울러 소비를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곡립의 압출성형 및 효소처리에 의한 수용화 (Solubilization of Whole Grains by Extrusion and Enzyme Treatment)

  • 신해헌;이선희;박보선;임태수;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49-855
    • /
    • 2003
  • 전곡립(Whole grains)의 압출공정에 따른 수용화 현상과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곡립으로는 현재 산업적으로 분말곡류 제품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현미, 현미찹쌀, 보리 및 율무의 4종을 사용하였다. 전곡립은 스크류 속도 $200{\sim}300\;rpm$, 온도 $110{\sim}130^{\circ}C$, 수분함량 $15{\sim}25%$의 범위에서 13개의 각각 다른 조건으로 압출공정을 시행하였다. 압출공정한 전곡립 시료의 특성은 수분용해지수(water solubility index), 점도, 식이섬유, 분산성, 팽화(expansion) 등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압출공정 처리하지 않은 생원료 및 볶은 시료(roasted grains)와 비교하였다. 수분용해지수는 압출공정에 의해 모든 곡류에서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아밀로펙틴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현미찹쌀은 현미보다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압출공정에 따른 곡류의 식이섬유함량을 측정한 길과 수용성 식이섬유는 증가하였으며, 반면에 불용성 식이섬유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총 식이심유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압출공정에 의해 분산성의 향상, 팽화 현상 등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esh and Pomace of Japanese Apricots (Prunus mume Sieb. et Zucc))

  • 강민영;정윤화;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34-1439
    • /
    • 1999
  • 매실과 그 가공부산물인 매실착즙박을 대상으로 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매실과육은 수분 89.94%, 조단백질 0.92%, 조지방 2.28%, 조회분 0.54%의 일반성분 함량을 보였고, 매실착즙박은 수분 91.0%, 조단백질 0.86%, 조지방 0.47%, 조회분 0.40%로 분석되었다.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의 유리당과 당유도체들은 g1ucose, fructose, mannitol, sorbitol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성 유리당중 매실과육의 경우 glucose함량이, 매실착즙박의 경우는 mannitol함량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매실과육의 유기산 함량은 citric acid 3.78%, malic acid 5.22%, oxalic acid 0.13%이었으며, 매실착즙박은 각각 1.08, 0.53 및 0.01%로 분석되었다.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에서 분석된 무기성분중에서 모두 K성분이 가장 많았고, 매실과육은 그 외에 P, Ca, Al, Mg, Na등이 주요 성분으로 조사되었으며, 매실착즙박은 P, Ca, Al, Na, Fe등이 주요 무기성분으로 분석되었다. 매실과육의 식이섬유 함량은 불용성 식이섬유 2.94%, 가용성 식이섬유 1.07%로 불용성 식이섬유가 2배이상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매실착즙박의 식이섬유 함량 역시 불용성 식이섬유 6.25%, 가용성 식이섬유 0.51%로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았다. 따라서 최근 식이섬유에는 여러 가지 질병의 발생을 억제함$^({23-25})$으로서 영양생리적으로 그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는데 식이섬유가 인체내에서 나타내는 생리기능은 식이섬유가 지니는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해 영향$^({26})$을 받는다고 보고하였다.

  • PDF

볶음 처리한 우엉과 돼지감자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ing Wooung (Burdock, Arctium lappa L.) and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 이연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70-877
    • /
    • 2016
  • 본 연구는 손쉽게 가정에서 볶음 처리하여 우엉차와 돼지감자차를 만들어 영양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여 다양한 기능성 식품으로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볶음 처리한 우엉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10.43, 8.50, 1.77, 3.43 및 75.87%로 나타났으며, 볶음 처리한 돼지감자는 각각 10.67, 7.83, 1.23, 2.80 및 77.47%를 보였다. 볶음 처리한 우엉의 수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4.8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1.5 g/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돼지감자의 수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2.4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1.6 g/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우엉과 돼지감자에서 무기질함량 중에서 가장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은 칼륨>마그네슘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볶음 처리한 우엉은 총 25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1,382.112 mg/100 g이었고,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766.031 mg/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돼지감자는 총 24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2,678.018 mg/100 g이었고,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157.294 mg/ 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우엉과 돼지감자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2.56, 29.56 mg GAE/g으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6.54, 16.71 mg CE/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우엉 및 돼지감자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_{50}$ value은 각각 12.99, 19.74로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보다는 낮았지만 모두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볶음 처리한 우엉 및 돼지감자의 hydroxyl radical 소거능의 $IC_{50}$ 값은 각각 25.96, 22.93으로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보다는 낮았지만 모두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