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ctivor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야서(野鼠)의 맹종죽순(孟宗竹筍) 피해(被害)에 관(關)한 연구(硏究) -야서(野鼠)의 서식환경(棲息環境) 피해형태(被害形態)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Bamboo Shoot's Damage of Phyllostachys edulis Riv. by Field-mice -Especially on the Inhabitation Environment and Damaged Types of Field-mice-)

  • 박광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0권1호
    • /
    • pp.55-62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경남(慶南) 진주지역(晋州地域)에서 발생(發生)한 야서(野鼠)의 맹종죽순(孟宗竹筍) 피해(被害)에 관해서 조사(調査)하여 피해죽림분(被害竹林分)의 주변(周邊)과 내(內)의 식생(植生)을 분석(分析)하고 서식환경(棲息環境)을 파악하여, 피해정도(被害程度)와 피해율(被害率), 가해야서(加害野鼠)의 종류(種類)를 밝혀 피해예방(被害豫防) 및 구제(驅除)에 기여코져 실시하였다. 그 결과(結果) 피해죽림(被害竹林) 주변(周邊)의 입목도(立木度)와 서식환경(棲息環境)에 따라 피해도(被害度)에 영향을 미쳤으며, 피해도(被害度)는 ha당(當) 7.1개(個)로 4,359.1g이었고, 피해율(被害率)은 0.23%이었다. 피해시기(被害時期)는 4월(月) 중순(中旬)에 시작되어, 4월(月) 23일(日)경에 최고에 달하고 5월(月) 중(中) 하순(下旬)에 종료(終了)되었다. 피해죽순(被害竹筍)의 평균장(平均長)은 28.12cm, 직경(直徑) 7.49cm, 무게 613.96g이었으며, 부위별(部位別) 피해형(被害型)은 지상(地上), 지표(地表), 지하피해형(地下被害型) 중에서 지상(地上), 지하피해형(地下被害型)이 많았다. 피해죽림분(被害竹林分) 내(內)에서 포획(捕獲)된 야서(野鼠)는 쥐목(目)에 속하는 등줄쥐와 생쥐, 그리고 식충목(食蟲目)에 속하는 우수리땃쥐 등(等) 3종(種)이었으며 주가해종(主加害種)은 등줄쥐와 생쥐 중 등줄쥐가 많았다. 또한, 우수리땃쥐는 남부지방(南部地方)에 서식(棲息)함이 처음 발견(發見)되었다.

  • PDF

한국산 Trombiculid mites에 관한 연구 (The Larval Trombiculid Mites of Korea)

  • 정희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7-28
    • /
    • 1959
  • In Korea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chiggers until 1950 so only to reports on four species of chiggers were pulished before Korean War. Since 1950 (beginning of Korean War), a marked progress in the study of chiggers has been made in connection with investigations of Epidemic hemorrhagic fever occurring among the United Nations troops which was suspected as a chigger-borne infectious disease and the first report of tsutsugamushi disease in Korea called natives attention to chiggers as the vector mites of this newly known disease in Korea. This paper is mostly based on specimens of author's collections from 3269 Rodentia Insectivora, 9 Chiroptera, 24 Aves , 35 Amphibia and 3 Reptilia during the time from December 1955 to December 1956 but four species were introduced here from works of others . There are reported here five species of chiggers previously known only out of Korea and a new species also. This new species was collected by author but Lipovsky informed his colleague had collected the same one in Korea and they would publish it as new one in near future. This is the reason of describing the new species without specific name . Of course, this paper is incomplete in view of the geographic distribution, seosonal change and host relation etc, but will serve as a brief summary of the chiggers fauna of Korea up to the present. This species described here are as follows : Gahrliepia brennani var. ventralis Neoschongastia posekanyi Euschongastia kigtajimai Euschongastia miyagawai Euschongastia koreaensis Trombicula nagayoi Trombicula japonica Trombicula pomeranzevi Trombicula mitamurai Trombicula tamiyai Trombicula palpalis Trombicula orientalis Trombicula pallida Trombicula scutellaris Trobmicula miotis Trombicula hiranumai Trombicula sp. Trombicula hiranumai Trombicula sp. Trombicula subintermedius Shunsennia tarsalis . Euschongastia ikaoensis . Trombicula koomori Trombicul subakanushi

  • PDF

한국산 두더지의 위장췌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the gastro-entero-pancreatic endocrine cells of the insectivorous Korean mole, Talpa micrura coreana)

  • 이형식;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747-755
    • /
    • 1996
  • 한국산 두더지의 위장관 점막과 췌장에 분포하는 내분비세포들의 분포와 출현빈도 및 종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던 바, 5-HT 면역반응세포는 극소수내지 중등도의 빈도로 전 장관에 고루 분포하였다. Glucagon 면역반응세포는 대장에 국한하여 출현하였다. 또 bovine CG, BPP 및 somatostatin 면역반응세포들은 각각 십이지장, 공장 그리고 위저부를 제외한 전 장관에 다양한 빈도로 고루 분포하였다. Gas/CCK 면역반응세포는 유문부와 소장에서만 다수 그리고 극소수로 관찰되었으나, insulin 면역반응세포는 전 장관에서 관찰할 수 없었다. 한편 췌도의 주변부에서는 glucagon, somatostatin과 BPP 면역반응세포들이, 중심부에서는 insulin 면역반응세포가 높은 빈도로 동정되었으며 또한 외분비에서는 이들 면역반응세포들이 단독 또는 소수의 집단으로 출현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써 두더지의 소화관내분비세포의 분포패턴는 고슴도치의 그것과 유사하였으나 십이지장에서 세포의 종류와 출현빈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