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visualization

검색결과 2,098건 처리시간 0.033초

객체 간 연관 관계 분석을 위한 웹 기반 정보시각화 연구 - 이슬람 압바스 왕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Web-based Information Visualization for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Focused on Abbasids of Islam-)

  • 강지훈;윤용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533-540
    • /
    • 2016
  • 정보시각화는 데이터나 정보를 다양한 도구를 활용해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정보기술이다. 시각적인 정보는 사용자 직관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특정 정보를 짧은 시간에 관찰하고 이해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최근 인문학의 연구방법론으로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인문·지역학자들의 관심이 높은 시점에서 정보시각화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수집이나 정보 분석 등을 위해 활용된다. 또한 이를 위한 방안으로 전자문화지도, 네트워크,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시각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 동적 시각화 기술인 D3를 활용하여 정보의 시각화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세부적으로 이슬람 압바스 왕조를 대상으로 압바스 왕조를 구성하는 주요 인물 간의 관계를 노드와 연결선을 활용해 시각화하여 나타냄으로써 객체 간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관련 분야 연구자들은 분석된 정보를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등 연구 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

Development of 3D Terrain Visualization for Navigation Simulation using a Unity 3D Development Tool

  • Shin, Il-Sik;Beirami, Mohammadamin;Cho, Seok-Je;Yu, Yung-H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5호
    • /
    • pp.570-576
    • /
    • 2015
  • 3D visualization of navigation simulation is to visualize the environment conditions (e.g. nearby ships, dynamic characteristics, environment, terrain, etc) for any users on ships at sea. Realistic 3D visualization enables the users to be immersed to it and guarantees the reliability of the simulation. In particular, terrain visualization contains many virtual objects, so it is time and cost-intensive for object modelling. This paper proposes a 3D terrain visualization method that can be realized in a short time and with low cost by using the Unity 3D development tool. The 3D terrain visualization system requires bathymetric and elevation terrains, and Aids to Navigations (AtoNs) to be realized. It also needs to include 3D visualization objects including bridges, buildings and port facilities for more accurate simulation. Bathymetric and AtoN elements are acquired from ENC, and the elevation element is acquired from SRTM v4.1 digital elevation chart database developed by NASA. Then, the bathymetric and elevation terrains are generated, and the satellite images are superposed by using this terrain information. The longitudinal and latitudinal information of the AtoNs are converted to the 3-axis information to position the AtoN locations. The 3D objects such as bridges, buildings and port facilities are generated and the terrain visualization is completed. The proposed method realizes more realistic 3D terrain visualization of Busan Port.

An Effective Information Visualization Technique for Intrusion Detection: Hyperbolic View Intrusion Visualizer

  • Jeong, Yun-Seok;Myung, Ro-Hae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19-330
    • /
    • 2011
  • In computer forensics investigation, the investigators collect, protect, analyze and interpret massive amount of data which were used in cyber crime. However, due to its huge amount of information, it takes a great deal of time and errors often result even when they use forensics investigation tool in the process.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techniques will greatly help to improve the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of human when they deal with the overwhelming amount of data and have to find out significant information in it. The importance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IDS) among network forensics is being emphasized in computer forensics. In this study, we apply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techniques which are proposed to be a great help to IDS and carry out the usability test to find out the most effective information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IDS.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에 의한 정보시각화 시스템 평가 및 문제점 분석 (An Analysi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blems using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 이지연
    • 정보관리연구
    • /
    • 제34권2호
    • /
    • pp.67-88
    • /
    • 2003
  • 정보량이 급증하고 기존의 정보조직체계에 비해 덜 체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의 확산 등으로 인해 정보시각화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정보 시각화는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쉽고 적은 노력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재정리하고 요약하여 보여주는 기법이다. 현재까지 개발되어 온 많은 정보시각화 기법들은 과학적인 연산절차에 근거하여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는데, 이러한 과학적 데이터 처리 과정에 의존하는 시각화방법은 일반 이용자들이 이해하기에는 어려움과 사용의 불편함이 따른다. 더 중요하고 심각한점은, 이러한 정보시각화 기법을 사용하는 많은 시스템의 모형들이 실제 이용자가 경험하는 상황을 반영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는 현실이다. 예를 들어, 이용자는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정보를 제시함에 있어 어안적 방법(fisheye view)을 사용하거나 주제정경 (the mescape)을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현재의 많은 정보 시각화 시스템들이 이용자 관점에서 시스템을 설계하는 행동유도성(affordance)을 반영하지 않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 연구는 이용자의 요구사항이 반영되지 않고, 이용자에게 부담을 지우는 시각화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네 가지의 대표적인 정보시각화 시스템을 분석, 평가하였는데 이 때 평가의 기준으로 Norman의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 및 Nielson의 휴리스틱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문제점 분석 결과를 통하여,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시스템 설계의 측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용자와 시스템간의 부합정도 및 시스템의 상태를 이용자가 알 수 있도록 보여주는 가시성 등은 네 가지 시스템의 평가에서 모두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보시각화 및 표현에 있어서 이용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이용성을 고려한 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시설물 접근성 분석을 위한 GIS의 3차원 시각화 기법 적용 (3D Visualization Approaches for Evaluating Location Solution Performances)

  • 김영훈;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1-32
    • /
    • 2003
  • 지역 분석 연구에서 접근성 분석은 오랜 연구 주제였으며, GIS에서 지리정보의 시각적 표현 및 지도화는 많은 장점과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 지역의 접근성 결과를 해석하는데 있어, GIS의 3차원 시각화(visualization) 표현 기법들의 유용함을 사례지역의 분석을 통해서 보여 주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Kim, 2002)의 후속 연구로써 영국 리즈시를 실험대상으로, 영국의 그리드 메쉬(British Nation Grid system)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한 1991 년도 인구센서스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에 이용 주민들간의 접근성을 분석하고 결과를 해석하는데 3차원 시각화 기법이 어떻게 이용될 수 있으며, 어떠한 장점들이 시설물 입지와 관련된 공간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분석 지역마다 상이하게 나타나는 분석 결과의 효과적인 시각적 표현 방법은 GIS를 이용한 공간의사결정 및 대안 제시에 있어 중요할 뿐만 아니라, 향후 국내 지리정보 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 PDF

Analysis of Computational Science and Engineering SW Data Format for Multi-physics and Visualization

  • Ryu, Gimyeong;Kim, Jaesung;Lee, Jongsuk Ruth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2호
    • /
    • pp.889-906
    • /
    • 2020
  • Analysis of multi-physics systems and the visualization of simulation data are crucial and difficult in computational science and engineering. In Korea,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developed EDISON, a web-based computational science simulation platform, and it is now the ninth year since the service started. Hitherto, the EDISON platform has focused on providing a robust simulation environment and various computational science analysis tools. However, owing to the increasing issues in collaborative research, data format standardization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addition, as the visualization of simulation data becomes more important for users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analyzing input / output data information for each software is increa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data format and metadata for the representative software provided by EDISON. In this paper, we analyze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nd computational structural dynamics (CSD) simulation software in the field of mechanical engineering where several physical phenomena (fluids, solids, etc.) are complex. Additionally, in order to visualize various simulation result data, we used existing web visualization tools developed by third parties. In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data forma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undation of multi-physics and a web-based visualization environment, which will enable users to focus on simulation more conveniently.

Realization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Electric Power Monitoring System for MV/LV Distribution Customers

  • Kim Jae-Chul;Chu Cheol-Min;Knag Bong-Seok;Kim Yeong-Il;Choi Duck-Su;Kim Kwang-Soon;Ryu Seung-Ki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권3호
    • /
    • pp.287-294
    • /
    • 2006
  • Recently, switchboards for MV/LV distribution customers have been united and digitalized rapidly. This paper proposes the effective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for the data measured from cubicle switchboards for MV/LV distribution customers. We developed the algorithm that analyzes abundant data measured by switchboards and displays them to overall users, such as fire information index, power condition index, switchboard safety index, and power diminution index. Using a touch screen made users to operate it easily. User interface was also improved by taking graphic visualization. We guess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ethod suggested in this paper shows the new direction that heavy electrical equipments including switchboards are going to develop in the future.

A Visualization Jump Lists tool for Digital Forensics of Windows

  • Weng, Shiuh-Ku;Tu, Jung-Y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1호
    • /
    • pp.221-239
    • /
    • 2020
  • In this paper, a visualization digital forensics tool, called JumpList Analyzer, is implemented. The tool can analyze the complicated Jump Lists files, and then the results are demonstrated by visualization. To compare the proposed tool with the other Jump Lists tools, the proposed tool is the only one can display the analyzed results by visualization. The visualization will help the investigators more easily to find the evidence than the other tools showing the analyzed results by texts only. In the experiment, the proposed JumpList Analyzer is demonstrated its convenience at identifying artifacts for doing digital forensics in a financial fraud case. In addition, the proposed tool can also be used to reveal the computer user's behavior or background.

제조업 분야의 정보시각화 문헌연구 (A Literature Review on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Sector)

  • 장태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1-104
    • /
    • 2016
  • e-비즈니스에서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 등을 통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가 각광받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 기술이 관심을 받으면서 분석결과의 시각화도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기업 관리자들은 데이터 분석의 결과를 의사결정 과정에서 활용하길 원하며, 시각화 기법이 인지 기능과 운영 기능에서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제조업에서 정보시각화 기술의 활용사례, 현황과 주요 이슈를 기존 연구문헌을 검토하여 분석하였다. 프로세스 모니터링, 의사결정 지원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정보시각화 적용을 고민하는 제조 분야의 개발자 및 관리자 등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시각화의 새로운 분류법에 관한 연구 (A Research for New Taxonomy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 배준우;이석원;김인수;명노해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6-84
    • /
    • 2009
  • Since too much information has been generated, it became very difficult to find out valuable and necessary information. In order to deal with the problem of information overload, the taxonomy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techniques has been based upon visualized shapes such as tree map, fisheye view and parallel coordinates, so that it was difficult to choose the right representation technique by data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troduce a new taxonomy for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by data characteristics which defined by space (3D vs. multi-dimensions), time (continuous vs. discrete), and relations of data (qualitative vs. quantitative). To verify the new taxonomy, forensic data which were generated to investigate the culprit of network security was us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new taxonomy was found to be very efficient and effective to choose the right visualized shape for forensic data for network security. In conclusion, the new taxonomy was proven to be very helpful to choose the right information visualization technique by data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