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4초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Usage and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문영임;이성규;김지혜
    • 정보화정책
    • /
    • 제28권4호
    • /
    • pp.36-53
    • /
    • 2021
  • 최근 우리사회는 지능정보사회로의 진입과 디지털 대전환으로 인해 개인의 삶에서 디지털정보화 활용 능력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취약계층인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이들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지능정보사회연구원의 「2020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장애인 2,200명이다. 연구결과, 장애인의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경우 디지털정보화 활용 수준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부(-)적인 조절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이 사회적 지지에 의존하기보다 자립과 자력으로 디지털기기 및 기술을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활용할 시 삶의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정책 및 실천현장에서 이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ith Sibling on Play Level and Tim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Chang, Ki-Yeon;Kim, Ki-Jong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
    • /
    • 2021
  • Purpose :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is field in the Republic of Korea, especially those that have seen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siblings through sensory integration therapy (SIT).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SIT with siblings through the Revised Knox Preschool Play Scale (RKPPS) and playtime. Methods :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0 disabled children, and 10 normal siblings of the disabilities joined the program as a helper. In addition, 10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ducted the intervention as a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s whether they participate with their sibling or not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a SIT for 40 minutes per week for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n had 10 minutes of an interview with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10 programs were implemented for 10 weeks. Results :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ace management, material management, pretense/symbolic, participation, and total scores.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results in the participation and the total score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post comparison results. The comparison of post-intervention between both groups of the RKPPS and playtim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 The sibling SIT showed better play level and time than the individual therapy. However, comparison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level of play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ly in participation and total scores in the control group. Clinically, it is recommended to make good use of sibling relationships when applying SIT, and if that is not possible, continuous observation is needed that children who received treatment become familiar with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can be treated.

A Case Study of Horticultural Instruction as Educ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Effects of Horticulture Job Skill Course Based on Employment Practice Model on Personal Performance Indicator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y

  • Kim, Soo Ye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5-73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Horticulture Job Skill course based on the employment practice model on personal performance indicator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first step of this study, an employment practice model was developed by a focus group composed of six specialists from the industry and academia. The second step consisted of selecting the items of personal performance indicator related to horticulture vocational rehabilitation among all ite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third step was select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next step was coming up with a pilot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e employment practice model. The final step was examining the effects of pilot course (horticulture job skill) based on the employment practice model on personal performance indicator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after treat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indicator 1 (managing) from 1.8±0.155 to 4.2±0.267, indicator 2 (planting) from 1.5±0.114 to 4.45±0.153, indicator 3 (using tool) from 3.2±0.186 to 4.6±0.112, indicator 4 (packing) from 2.05±0.153 to 4.45±0.114, indicator 5 (decorating) from 2.65±0.150 to 5.5±0.114, indicator 6 (cleaning) from 2.85±0.131 to 4.45±0.114, indicator 7 (observing) from 2.4±0.112 to 4.45±0.112, and indicator 8 (laboring) from 2.35±0.109 to 4.1±0.180. However,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15 weeks of the program.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Horticulture Job Skill course based on the employment practice model has an effect on improving the individual perform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horticulture education-based on the employment practice model will contribute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university student with disabilities.

발달장애아 가족의 정보빈곤 양상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Poverty Viewed Through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서옥연;장덕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7-128
    • /
    • 2008
  • 이 연구는 정신적 장애의 일종인 발달장애아를 둔 가족의 정보빈곤 양상을 묘사하고자 한 사례연구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들은 가족에 대한 의존이 높다. 발달장애와 같은 정신적 장애인의 경우는 생활의 모든 것을 절대적, 배타적으로 가족에게 의존한다. 정보의 관점에서 볼 때에도 본인의 정보요구에 대한 정확한 인지가 없고 정보활용능력이 부족한 정신적 장애인은 정보중개자로서의 가족의 역할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가족은 일상 속에서 장애아의 교육과 치료를 위한 정보적 도움을 절실하게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발달장애아를 둔 가족의 삶 속에서 나타나는 일상적 고민과 정보요구 그리고 그에 대한 대처 양상을 통해 정보추구행태에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그 과정에서 그들에게 노정되어 있는 정보빈곤의 양상과 그러한 정보빈곤을 만들어낸 내 외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장애인 고용·일자리 정책에 대한 Fisher의 정책평가방법론 적용: 상황적 타당성 평가 (Application of Fischer's Policy Evaluation Methodology to Employment and Jobs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Contextual Feasibility Evaluation)

  • 정솔;강동욱;장윤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947-955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Fisher(1995, 2003)의 다차원적 정책평가방법 중 상황적 타당성 평가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장애인 고용·일자리 정책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다수의 장애인 고용·일자리 정책평가 연구들이 계량적인 연구방법에 치우쳐 균형 있고 종합적인 평가에는 소홀한 측면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실증주의적 방법론의 한계를 보완하는 질적 또는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균형 있는 정책평가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고용서비스·일자리의 개선을 위해 기관 간 연계·협력 강화, 고용서비스 사각지대 해소, 질적 개선, 맞춤형 고용서비스 확대, 프로그램 내실화, 정책·제도적 환경개선, 개인 심리정서적 지원강화가 향후 우리나라 장애인고용정책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이용 장애인들의 구강보건 행동과 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havior and Attitude of Pediatric Handicaps in Dental Facilities)

  • 남상분;한양금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9-45
    • /
    • 2001
  • 1999년 9월 20일에서 10월 23일까지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사회복지시설과 의료시설 6곳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치과를 이용하는 장애아동의 구강보건 행동과 태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인들은 자신의 치아가 대체로 건강하지 않다가 49.7%로 높게 나타났다. 2. 장애인들의 양치횟수는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조사되었다 (p<0.05). 3. 장애인들은 scaling(치석제거)경험이 없는 경우가 56.7%로 높게 나타났다. 4. 장애인들은 치통이나 잇몸 출혈 경험이 58.9%로 높게 나타났다. 5. 구강보건교육에 참석하겠다는 장애인은 64.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6. 치과이용빈도는 불규칙한 방문을 하는 경우가 65.1%로 정기적인 치과방문으로 구강을 관리하는 비율이 낮았다. 7. 의료보험카드는 41.6%가 의료보호카드를 소지하고 있었다. 8. 장애와 구강건강은 관계가 있다가 61.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 PDF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성장욕구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참여적 의사결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growth needs on customer orientation of staff at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 신은경;손다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9호
    • /
    • pp.109-118
    • /
    • 2022
  • 이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성장욕구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참여적 의사결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847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참여적 의사결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가 제시한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욕구는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참여적 의사결정은 성장욕구와 고객지향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고객지향성 제고를 위해 개인적인 차원과 조직적인 측면에서의 방안을 제언하였다.

장애개념의 변화와 사회복지실천 현장 함의 (Changes in the Concept of Disabi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 김용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1권
    • /
    • pp.157-182
    • /
    • 2002
  •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변화해 가고 있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검토하고, 이러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에 어떤 과제들을 요구하고 있는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편적인 차원에서 장애에 대한 사회적 반응에 따라 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패러다임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장애에 대한 사회적 반응 및 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가 우리나라의 실천현장에 요구하고 있는 함의들을 모색한다. 장애인에 대한 20세기 이전의 사회적 반응은 사회적으로 부적합하며, 장애는 개인의 책임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다가 20세기 중반기와 후반기를 거치면서 장애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 중요하게 제기되었다. 이러한 장애에 대한 사회적 반응의 변화는 장애를 설명하는 개념적 모델에서도 변화를 초래하였는데, 이른바 개별적 모델에서 사회적 모델로의 변화이다. 또한 사회적 반응 및 개념적 모델의 변화는 세계보건기구의 장애정의 및 분류에 영향을 미쳐서 1980년, 1997년, 2001년에 걸쳐서 새로운 정의와 분류체계들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변화들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강점중심의 접근, 능력강화접근법, 사례관리, 자립생활모델 등을 통해서 설명된다. 장애에 대한 사회적 반응, 장애 개념, 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는 동일한 방향으로 일관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일관된 변화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 제기하는 실천현장에서의 함의는 사정과정에서 장애 당사자의 참여 강화, 사회 환경적 관점을 강조하는 방향으로의 사정 도구의 재검토, 장애당사자의 자기결정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제공 기능의 강화, 장애 당사자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원조망에 대한 지원 강화, 자조집단 프로그램의 강화, 배치모델에서 지원모델로의 전환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 PDF

Behavioral Problems in Patients with Prader-Willi Syndrome

  • Park, Sung Won
    • Journal of mucopolysaccharidosis and rare diseases
    • /
    • 제5권1호
    • /
    • pp.29-33
    • /
    • 2021
  • Prader-Willi Syndrome (PWS) is a neurodevelopmental genomic imprinting disorder involving a lack of gene expression from the paternal chromosome 15q11-q13 region. This is typically due to paternal 15q11-q13 deletions (in approximately 60% of cases), maternal uniparental disomy 15, or when both 15s are from the mother (about 35% of cases). An imprinting center controls the expression of imprinted genes in the chromosome 15q11-q13 region. PWS i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mental retardation and distinct physical, behavioral, and psychiatric features. Characteristic behavioral disturbances in PWS include excessive interest in food, skin picking, difficulty with a change in routine, temper tantrums, obsessive and compulsive behaviors, and mood fluctuations. Individuals with PWS typically have intellectual disabilities (borderline to mild/moderate mental retardation) and exhibit a higher overall level of behavior disturbances compared to individuals with similar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condition severely limits social adaptations and quality of life. Different factors have been linked to the intensity and form of these behavioral disturbances, but there is no consensus regarding the cause. Consequently, there is still controversy surrounding management strategies and there is a need for new data. PWS is a multisystem disorder. Family members, caregivers, physicians, dietician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symptoms in an individual with PWS. Here we analyze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and adults with PWS by age and review appropriate management and treatment strategies for these symptoms.

재가 중증 장애인의 지속적 재활 관리 실태와 재활 서비스 요구 (The Continuum of Rehabilitation Care and the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are Needed by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 장숙랑;김완호;이규범;김수경;임재영;이선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9권3호
    • /
    • pp.263-269
    • /
    • 2006
  • Objectives: As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increasing and their needs for care are varied, the continuum and comprehensiveness of their rehabilitative care are getting more importa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utiliza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s and requirements of care among the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in Korea. Methods: We interviewed 578 disabled persons who had severe extremity and cerebral impairment in the urban and rural areas of Korea.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type of disability, their physical function (ADL, IADL), their use of rehabilitation services after discharge and their requirements for rehabilitation care Results: Only 12.6% of people with disability in the community continuously used the available medical rehabilitation care. The associated factors for utiliza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pain and admission for rehabilitative treatment in the acute phase. There was a great need for rehabilitation services in community and this varied according to gender, the socio-economic status, the functional status and the geographic region. The gap between utilization and need for rehabilitation services was largest in the economic support. The gap of primary health care was larger in the rural area than in the urban area. Conclusions: The needs for rehabilitation service were divers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functional statu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isability. Strategies should be considered to eliminate the barriers to obtain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y in th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