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vidual tree model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2초

Individual Tree Growth Models for Natural Mixed Forests in Changbai Mountains, Northeast China

  • Lu, Jun;Li, Fengri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2호
    • /
    • pp.160-169
    • /
    • 2007
  • The data used to develop distance-independent individual models for natural mixed forests were collected from 712 remeasured permanent sample plots (25,526 trees) of 10-year periodic from 1990 to 2000 in Baihe Forest Bureau of Changbai Mountains, northeast China. Based on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diameter increment of individual trees with tree size, competitive status, and site condition, the diameter growth models for individual trees of 15 species growing in mixed-species uneven-aged forest stands, that have simple form, good predicting precision, and easily applicable, were developed using stepwise regression method. The main variables influencing on diameter increment of individual trees were tree size and competition, however, the site condition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diameter increment. The tree size variables (lnDBH and $DBH^2$) were the most significant and important predictors of diameter growth existing in all 15 growth models. The diameter increment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ree diameter for each species. For the competitive factors in growth model, the relative diameter (RD), canopy closure (P), and the ratio of diameter of subject tree with maximum diameter (DDM) were contributed to the diameter increment at a certain extent. Other measures of stand density, such as basal area of stand (G) and stand density index (SDI),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diameter increment. Site factors, such as site index, slope and aspect were not important to diameter increment and excluded in the final models. The total variance explained by the final models of squared diameter increment ($R^2$) for all 15 species ranged from 35% to 72% and these results compared quit closely with those of Wykoff (1990) for mixed conifer stands. Using independent data set, validation measures were evaluated for predicting models of diameter increment developed in this study.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estimated precision was all greater than 94% and the models were suitable to describe diameter increment.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구조 분석 - 오산시 남촌동의 산림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Forest Structure Using LiDAR Data - A Case Study of Forest in Namchon-Dong, Osan -)

  • 이동근;류지은;김은영;전성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5호
    • /
    • pp.279-288
    • /
    • 2008
  • Vertical forest distribu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understand various ecological mechanism such as succession, disturbance and environmental effects. LiDAR data provide information, both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forest structure. The laser scanner survey provided a point cloud, in which the x, y, and z coordinates of the points are know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factors of forest structure such as individual tree isolation, tree height, canopy closure and tree density using LiDAR data and 2) to compare the forest structure between outer and interior forest. The paper conducted to extract the individual tree using watershed algorithm and to interpolate using the first return of LiDAR data for yielding digital surface model (DS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characters of edge such as more isolated individual trees, higher density, lower canopy closure, and lower tree height than those of interior forest. LiDAR data is to be useful for analyzing of forest structure. Further study should be undertaken with species for more accurate results.

A Mixed-effects Height-Diameter Model for Pinus densiflora Trees in Gangwon Province, Korea

  • Lee, Young Jin;Coble, Dean W.;Pyo, Jung Kee;Kim, Sung Ho;Lee, Woo Kyun;Choi, Jung Kee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2호
    • /
    • pp.178-182
    • /
    • 2009
  • A new mixed-effects model was developed that predicts individual-tree total height for Pinus densiflora trees in Gangwon province as a function of individual-tree diameter (cm). The mixed-effects model contains two random-effects parameters.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was used to fit the model to 560 height-diameter observations of individual trees measured throughout Gwangwon province in 2007 as part of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Program in Korea. The new model is an improvement over fixed-effects models because it can be calibrated to a local area, such as an inventory plot or individual stand. The new model also appears to be an improvement over the Forest Resources Evaluation and Prediction Program for the ten calibration trees used in this study. An example is provided that describes how to estimate the random-effects parameters using ten calibration trees.

A Study of Data Mining Optimization Model for the Credit Evaluation

  • Kim, Kap-Sik;Lee, Chang-So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4권4호
    • /
    • pp.825-836
    • /
    • 2003
  • Based on customer information and financing processes in capital market, we derived individual models by applying multi-layered perceptrons, MDA, and decision tree. Further, the results from the existing single model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from the integrated model that was developed using genetic algorithm. This study contributes not only to verifying the existing individual models and but also to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approaches. We have depended upon the approaches that compare individual models and search for the best-fit model. However, this study presents a methodology to build an integrated data mining model using genetic algorithm.

  • PDF

드론 영상을 이용한 리기다소나무림의 개체목 및 수고 추출 (Extraction of Individual Trees and Tree Heights for Pinus rigida Forests Using UAV Images)

  • 송찬;김성용;이선주;장용환;이영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1호
    • /
    • pp.1731-173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드론 정사영상과 객체추출 기법을 융합하여 개체목을 선별함과 더불어 수고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충청남도 예산군 공주대학교 학술림에 위치한 리기다소나무림으로 간벌을 강도별로(40%, 20%, 10%, 대조구)로 조성한 시험지이다. 정사영상취득은 DJI사의 MAVIC2 PRO 드론을 이용하였으며, 촬영 범위 내 가장 높은 지형지물을 고려하여 고도를 180 m로 설정하였다. 영상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상기준점 설치 및 내중첩(End lap)과 옆중첩(Side lap)을 각각 80%로 설정하였다. 영상분석 통하여 수치표면모델(DSM)과 수치지형 표고모델(DTM)을 추출하고 두 모델의 고도차를 이용해 수고모델(DCHM)을 생성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간벌강도별 개체목 추출율은 간벌강도 40%는 109.1%, 간벌강도 20% 87.1%, 간벌강도 10% 63.5%, 대조구 56.0% 수준이었다. 개체목 별 수고특성을 추출한 결과, 간벌강도 40%는 현장조사 결과보다 약 1.43 m 낮았으며, 간벌강도 20%는 1.73 m, 간벌강도 10%는 1.88 m, 대조구는 2.22 m 낮게 측정되었다.

항공 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수목추출의 자동화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ed Model of Tree Extraction Using Aerial LIDAR Data)

  • 이수지;박진이;김의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213-3219
    • /
    • 2014
  • 현재 도시화로 급증하는 온실가스는 기후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로 인해, 정부에서는 기후변화의 예방을 위하여 산소를 발생시키고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수목을 활용하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수목의 이산화탄소 저감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개별 수목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항공 라이다 자료는 지상의 건물 뿐만 아니라 수목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점군형태로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라이다 자료를 이용하여 개별 수목을 추출하는 자동화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수목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설정하고 그것을 모델로 개발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동화된 모델은 ArcGIS의 모델빌더를 기반으로 하였다. 개발된 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용인시를 대상으로 상업용 소프트웨어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동화 모델의 추출율이 9.91%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수목추출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용평가를 위한 데이터마이닝 분류모형의 통합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tegration of Individual Classification Model in Data Mining for the Credit Evaluation)

  • 김갑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2호
    • /
    • pp.211-218
    • /
    • 2005
  • 본 연구는 금융기관에서의 고객신용평가를 위한 최적의 데이터마이닝 모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할부금융시장에서의 고객정보 및 할부진행 과정에 대한 세부 내역을 바탕으로 다계층 퍼셉트론(Multi-Layered Perceptrons:MLP)과 다변량 판별분석(Multivariate Discrimination Analysis : MDA), 그리고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를 적용하여 각각의 개별모형을 도출하고 이론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통합한 최종 모형을 구해 그 결과론 각 단일모형과 비교${\cdot}$분석하였다. 그 견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해 결합한 통합모형의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진행되었던 개변모형에 대한 검증은 물론, 단순히 여러 개의 모형을 비교${\cdot}$분석하여 우월한 모형을 평가하는 기존 방법론 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각의 개별모형을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해 통합모형으로 구축하는 하나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화학공정 주변지역에 미치는 위험성(사회적 위험성 및 개인적 위험성) 평가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isk(Individual and Societal) Assessment for Surrounding Areas of Chemical Processes)

  • 김윤화;엄성인;고재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6-63
    • /
    • 1995
  • Two methods of the numerical method of CPQRA(Chemical Process Quantitative Risk Analysis) and the manual method of IAEA(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were used to estimate the individual risk and societal risk around the chemical plant. Where, the CPQRA is introduced to verify the theoritical background of the manual of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The Gaussian plume model which has a weather stability class D with velocity of 5m/s was applied to calculate dispersion of hazard material. Also, 8-point method was employed to the effects of accidents for wind distribution. Furthermore, historical record, FTA(Fault Tree Analysis) and ETA(Event Tree Analysis) were used to estimate the probability or frequency of accidents. Eventually, the individual risk shows isorisk contour and the societal risk shows F-N curve around hazard facility, especially in chemical plants. Caulculated results, which both individual and societal risk, by using IAEA manual show simillar results to those of calculation by numerical method of CPQRA.

  • PDF

항공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산림지역의 개체목 자동 인식 및 수고 추출 (Automatic Extraction of Individual Tree Height in Mountainous Forest Using Airborne Lidar Data)

  • 우충식;윤정숙;신정일;이규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251-258
    • /
    • 2007
  • 항공 Lidar 기술을 이용한 산림조사 기법은 현지조사 및 항공사진을 이용한 기존 조사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림지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체목 인식 및 수고(樹高)추출을 위한 항공 Lidar자료의 기본적인 처리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경기도 유명산 조림지를 대상으로 촬영된 항공 Lidar 원시자료로부터 비지면점을 제거하는 기법을 적용하여 순수 지표면을 표현하는 수치표고모형자료(DEM)를 생성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DEM자료를 기반으로 비지면점에 해당하는 신호값들을 추출한 후 수관고모형(CHM)자료를 생성하였다. CHM자료에 개체목의 수고를 추출하는 필터링 기법을 개발하였다. 연구 지역의 낙엽송 및 잣나무 표본임분을 대상으로 항공사진 및 현지 측정된 자료와 비교한 결과, 개체목의 본수는 90% 이상의 정확도로 추출되었으며, 수고는 평균 1.1m 낮게 추정되었다.

삼나무조림지(造林地)의 입목(立木) 간재적(幹材積)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Estimation of Individual Tree Volumes for the Japanese Red Cedar Plantations)

  • 이영진;홍성천;김동근;오승환;김원수;조정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742-746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1920년대부터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대단위로 조림된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D. Don)조림지를 대상으로 하여 최적의 간재적추정식을 개발코자 하였다. 남부지방의 대표적인 삼나무조림지인 6개 지역을 조사하였으며, 이들 지역에서 대표적인 31개의 표준목을 선발하여 수간석해를 실시하였다. 이 중 이용 가능한 29개체목에 대한 수간석해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한 최적의 삼나무 재적추정식은 $V=-0.002908+0.000125D^{1.907114}H^{0.645131}$이 제시되었다. 이 식을 이용하여 간재적 실측치와 추정치를 사용한 동시 F-검정(절편=0와 기울기=1)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p=0.1936).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간재적 추정식은 남부지방에 조림된 삼나무의 입목 간재적표조제와 경영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