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come source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29초

완전은퇴 남성의 주된 소득원천 및 소득액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Entirely Retired Men's Main Income Source and the Amount of Income)

  • 김지경;김하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2권1호
    • /
    • pp.57-89
    • /
    • 2008
  • Using the data of 'middle-and old-aged people' in the 6th year(2003) of KLIPS(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is study compared entirely retired men's income source and amount of income divided by the time of retirement and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main income source and amount of income level using Multinomial Logit Analysis and Tobit Analysis. The results of these were as following; First, Entirely retired men has average 1.27 income source and the amount of income from main income source is positioned at 85% of total income. This result indicates the lack of variety to get opportunities of income sources for the living and also means high risk associated with the entirely retired men if he looses the main income source. Second, most of income source of entirely retired men is spouse's earned income or private income transfers, however, if we divide those as timing of retirement and characters of each individual, it is represented that the most of income source is differentiated by the position at labor market during work life and the opportunity for building the wealth, and the possibility of obtaining public pension and public support. Third, the income level depends on what sort of income source the retired men has, this shows that there is not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obtaining a Income source and gaining above the certain level of income.

  • PDF

도시가계의 가계자산투자행태 및 관련변수 (The assets investment of urban households and related factors)

  • 손주영;이연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3권1호
    • /
    • pp.67-8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ssets investment behavior of urban households and find the factors affecting it. The data were obtained from 442 households living in Seoul.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this study included descriptive statistecs, logistic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ownership of houehold assets were affected by age, education, total income, total income, total asset, the number of income source, income stability, the financial expectations, past financial experiences and the job of houehold head. Second, amount of household assets was affected by husband’s age, education, unearned income, total asset, income stability, the expectiation of future, the past financial experiences and the job of household head. Third, ratios of household assets were affected by age, education, unearned income, family size, the number of income source and the job of household hea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by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practioners and education.

  • PDF

20대 여성의 피부관리 정보탐색행동에 관한 연구 -정보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arch Action for Skin Care of Women in Their Twenties -on the Information Source-)

  • 김도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00-709
    • /
    • 2016
  • 본 연구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라이프스타일, 거주지, 소득)이 피부관리정보원의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20대 여성소비자는 피부관리정보원 6개 중 피부과의원을 가장 중요시 하는 정보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피부관리정보원 6개의 중요도에 대하여 3개변인(라이프스타일, 거주지, 소득)을 이용하여 삼원변량분석한 결과 피부과의원, 신문 잡지, 가족 친구 지인, 소셜커머스 등 인터넷 정보원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마케팅 제언을 하자면, 서울의 피부과의원은 특히 고소득층 소비자를 대상으로 신문 잡지에 기사, 광고 등을 집중적으로 실어 홍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전의 고가전략을 쓰는 피부산업체에서는 인터넷정보원을 집중적으로 활용하면 훌륭한 마케팅 수단이 될 것이다.

소득계층별 노후 필요소득대체율 추정과 연금 및 비연금 소득원의 역할 분담 (Estimating an Adequate Income Replacement Rate and Suggesting Roles for Pension and Non-Pension Incomes)

  • 강성호;김대환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4호
    • /
    • pp.763-77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소득계층별로 노후에 필요한 소득대체율을 추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금 및 비연금 소득원의 역할 분담을 논하고 있다. 그 동안 노후소득보장 수준을 논함에 있어 노후빈곤 문제에 초점을 두다 보니 노후의 필요소득 수준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동 연구에서는 노후생활을 위한 평균적인 필요소득대체율 뿐만 아니라(전체 51.3%), 소득계층별로 필요소득대체율을 산출하고 있다(빈곤층 177.6%, 중산층 68.1%, 고소득층 29.3%). 또한 소득계층별 필요소득대체율이 현실의 실현소득대체율과 얼마나 격차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소득원별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끌어내고 있다. 즉, 목표소득대체율을 달성하기 위해 현 노인세대의 경우 연금으로만 충당하기 어려우므로 비연금 소득원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한편 미래의 노인세대(현 근로세대)는 무엇보다 연금소득 마련이 중요할 것이라는 점에서 공적연금을 통한 탈빈곤, 사적연금을 통한 중산층 이상의 삶을 마련할 수 있도록 준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노인 소득불평등 추이의 영향요인 (Accounting for Trends in Income Inequality Among the Elderly)

  • 이원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163-188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외환위기 이후 십여 년간 노인 소득불평등 추이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소득불평등은 1999~2002년에 증가하고 2002~2008년에 감소하였다. 둘째, 성인 자녀와의 동거 감소, 독거노인 증가, 노인이 스스로 생계를 책임지는 노인가구주 가구 증가 등의 가구구성 변화가 불평등 증가에 기여하였고, 2002~2008년에는 사적이전의 불평등 기여도가 증가하였다. 셋째, 노인 교육수준의 향상과 근로활동의 변화가 불평등 증가에 기여하였다. 넷째, 근로소득의 비중이 감소하고 있고, 2002~2008년에는 근로소득의 불평등 기여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다섯째, 사회보험소득의 불평등 기여도는 1999~2002년에 증가하고 2002~2008년에 감소하였다.

  • PDF

도시지역에 있어서 선어의 수요분석 -육류와의 대체관계를 중심으로- (Demand Analysis of Fresh-fish in the Urban Communities)

  • 김수관
    • 수산경영론집
    • /
    • 제15권1호
    • /
    • pp.114-130
    • /
    • 1984
  • The structure of food demand is being changed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Moreover, the intake of animal protein is stepping up. This paper considers how much fresh-fish is consumed as source of animal protein and what extent fresh-fish have substitutive relation for meat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hange of income and price of fresh-fish and meat. And it is thought to be important work to estimate demand of fresh-fish in attemps to the prediction of food consume pattern and fishing industries in the future. For this estimation, the substitutive relation of fresh-fish and meat is essentially studied.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drawn as follows: 1. Fresh-fish and meat have substitutive relation on price axis. By the way, increase in demand of A (fresh-fish which have comparatively low price) can be expected according to the low of it's price against meat, but B (fresh-fish wihich have comparatively middle-high price) have peculiar demand without substitutive relation for meat. 2. Demand of A and B rise according to the income increases. 3. It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substutive relation of fresh-fish and meat without income variable. 4. Income increases bring about the more increase in demand of B than A. By the way, price increases bring about the decrease of it's consume expenditure, but A have fundamental demand as the source of animal protein. 5. In future, the intake of animal protein will step up. By the way, meat will occupy the more portion of the source of animal protein than fresh-fish.

  • PDF

소득원천별 지니계수 분해법을 이용한 임가의 소득불평등 분석 (Analysis of Forestry Household Income Inequality using Gini Coefficient Decomposition by Income Sources)

  • 김의경;김보경;김동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392-40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임가의 소득원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임가경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득원천별 지니계수 분해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임가의 소득불평등도 분석은 임가 전체와 5개의 소득분위 계층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임가의 소득불평등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소득은 임업소득과 임업 외 소득으로 나타났으며, 분위별로는 최상위 소득계층의 소득불평등은 임업소득의 영향력이 다른 소득원에 비해 크게 나타난 반면, 그 외의 분위에 속하는 임가에서는 임업 외 소득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가의 소득증대를 위해서는 최상위 계층을 제외한 다른 계층에서의 임업소득에 대한 비중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으며, 최하위 소득계층의 임업소득이 부채상태인 점을 감안할 때, 이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의 강구도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시에 임가의 소득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임가소득이 증대될수록 임업소득의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부부의 노동소득과 취업상태가 소득불평등 변화에 미치는 효과 (Analysis on the Income Distribution Effects of Husband-Wife Labor Income and Employment Ratio)

  • 최바울
    • 노동경제논집
    • /
    • 제36권3호
    • /
    • pp.97-128
    • /
    • 2013
  • 본 논문은 소득항목별 분해를 통해 남편과 아내 노동소득의 관계와 부부의 취업 비중 변화가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남편과 아내 노동소득의 불평등 기여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득불평등 증가 시기에 맞벌이가구의 남편 소득과 아내 소득이 같은 방향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동소득의 불평등이 증가해 온 것은 아내와 (특히)남편의 취업비중이 2003년 이후 감소한 영향이 크며, 2008년 이후의 소득 불평등도의 개선은 주로 저소득가구 아내의 취업 비중 변화가 더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Multimarket Contact and Risk-Adjusted Profitability in the Banking Sector: Empirical Evidence from Vietnam

  • DAO, Oanh Le Kieu;HO, Tuyen Thi Ngoc;LE, Hac Dinh;DUONG, Nga Quyn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3호
    • /
    • pp.1171-1180
    • /
    • 2021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multimarket contract on risk-adjusted profitability. Risk-adjusted profitability is measured in terms of risk-adjusted return on assets. This study employs dynamic panel data of 27 commercial banks in Vietnam using the GMM estimator to test the multimarket contact hypothesis in the Vietnamese banking sector.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negative impact of multimarket contact on the profitability of banks. Multimarket contact, deposit to asset ratio, non-interest income to total income, GDP growth rate, Worldwide Governance Indicator (WGI), and operating cost to assets are the major determinants of risk-adjusted profitability of commercial banks. Our main findings show that Vietnamese banks' focus to increase the multimarket contact may lead to lower profitability and there is evidence that supports theory predictions, since the average number of contacts among banks, bank size, and capitaliza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risk-adjusted profitability. The study has policy implications for commercial banks in that they should not only focus on interest as a source of income and diversify their income source from non-interest income as well since it helps to improve risk-adjusted profitability for them.

부동산소득이 지역별 가구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Effect of Property Income on Income Inequality)

  • 전해정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02-516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하여 지니계수를 분해와 패널분석을 통해 부동산소득이 가구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공간적 범위를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으로 나누었고 글로벌금융위기 전 후로 기간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전기간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으로 나누어 지니계수 분해를 이용해 소득 원천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총소득에서 전국과 수도권은 부동산소득이 차지하는 절대적, 상대적 기여도가 가장 크게 나타난 반면 비수도권은 근로소득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전국과 수도권은 부동산소득이 가구 소득불평등을 가장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금융위기 이후기간이 이전기간에 비해 가구 소득불평등에 부동산소득이 영향을 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글로벌금융위기 이전에는 부동산가격이 급등을 하여 가구 소득불평등을 심화시켰으나 이후기간에는 가격하락으로 수익성이 악화돼 일시적으로 약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상관관계분석에서 가구주 연령이 높고 고졸미만의 학력의 가구는 다른 가구에 비해 가구총소득이 낮을 것이며, 원천별 소득 특히 근로소득이 높을수록 가구 총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넷째,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으로 구분한 가구소득 결정요인을 패널분석한 결과를 비교하면 근로소득, 금융소득과 기타소득의 영향은 비수도권지역이 수도권지역에 비해 높은 반면 부동산소득의 영향은 수도권지역이 비수도권지역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정부는 소득불평등을 줄이기 위해서 고소득층에 세금을 강화하고 저소득층에 대한 세금 감면을 할 수 있는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며 다양한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자산보유를 통해 창출하는 소득의 비중이 높아질수록 소득불평등이 악화하는 경향이 있는 만큼 부동산가격 안정화에 중점을 두면서 지역별 차별성을 두고 정책을 수립 집행할 필요성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