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vivo, in-vitro photostabilit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광감작성 시험에서의 동물대체 시험법 (Invirto alternatives to photosensitization Test)

  • 이호;남기택;고재숙;박원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4-101
    • /
    • 1996
  • 동물시험을 최소화 하고, 동물시험에 사용되는 노력과 비용을 줄이기 위해 동일한 동물에서 광독성과 광알러지성을 함께 보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 in vitro alternatives로서 photostability와 spectrophotometric carbonyl assay의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Modified photosensitization model에서는 Ichikawa 방법과는 달리 동물수, 휴식 기간, 첩포 횟수를 단순히하고 폐쇄 첩포를 추가하였다. 방법의 유용성을 보기 위해 Benzocaine, 6-methyl coumarine을 Ichikawa 방법 및 본 시험 방법으로 결과를 비교한 결과 macroscopic, histologic examination에서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Photostability 시험에서는 pbotoreactive agent 들이 모두 20%이상의 흡광도 감소를 보여 pbotosensitization potential을 측정하기 위한 전 단계 실험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spectrophotometric carbonyl assay에서는 salmonella를 이용한 광독성 실험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저농도의 Amthracene, Hematoporphyrin에서 조차도 phtotoxic prtential을 보여주어 in vitro alternatives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LB20304a의 광독성시험 (Phototoxicity studies of LB20304a)

  • 김배환;이상구;윤병일
    • 한국수의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0-45
    • /
    • 1997
  • The phototoxic potentials of LB20304a a new quinolone compound being developed by LG Chemical Ltd, and reference compounds (Ciprofloxacin; CPFX, Enoxacin; ENX and Lomefloxacin; LFLX) were compared in a murine model. in addition photostability of these compunds was studied after irradiation with long-wave UV light(UVA, 0, 0.3 1 or 3 Joule/$Cm^2$) When hairless mice(9 to 11 weeks old 19-26g)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different dose levels of test compunds and exposed to UVA(40J/$cm^2$) inflammatory reactions were observ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Among the compounds tested, LB20304a demonstrated the least phototoxic effects and showed no inflammatroy lesions at a dose level of 100mg.kg (Low dose). ENX and LFLX demonstrated much greater phototoxic reactions while CPFX showed similar or slightly greater phototoxic reactions compared to LB20304a. Similar to the in-vivo results the solutions of LB20304a and CPFX irradiated with UVA demonstrated reduced spectral changes compared to those of ENX and LFLX. In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phototoxic potencies of the quinolones tested were; LFLX > ENX > CPFX $\geq$ LB20304a. No phototoxic dose of LB20304a in mice was 100 mg/kg.

  • PDF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상승하는 선크림 제형 개발 (Development of a Sunscreen Formulation that Increases UV Blocking Ability by UV Light)

  • 최민성;조형진;송경희;송승진;강내규;박선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9-150
    • /
    • 2019
  • 자외선에 의해 자외선 차단 효율이 상승하는 선크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Ethylhexyl methoxycinnamate (OMC)는 가장 널리 쓰이는 자외선 차단제이고, OMC에 대한 광안정성 연구는 오랫동안 수행되어왔다. OMC는 자외선에 의해 trans구조가 cis구조로 변하거나, dimer를 비롯한 광반응물을 생성하여 자외선 차단효율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왔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OMC나 isoamyl p-methoxycinnamate(IMC)와 같이 메톡시신나메이트 구조를 공유하는 자외선 차단제들이 실제 사용조건과 유사한 조건에서 자외선에 노출 시키고 잘 설계된 실험 방법으로 in vitro SPF 수치를 측정하였을 때 오히려 자외선 차단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자외선에 의해서 생성된 광반응물과 OMC간의 ${\pi}-{\pi}$ stacking을 통한 ${\pi}-{\pi}^*$ 전이 에너지 변화(UV activated transition)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 발견을 선크림 개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함께 사용되는 에몰리언트의 극성 및 상용성을 적절히 고려해야 한다. 상용성이 좋은 극성 에몰리언트를 포함하면 자외선에 의해 OMC가 광반응물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발견의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작용 기전(UV activated SPF boosting)을 바탕으로 상업용 수준의 선크림을 제조하여 평가해보았다. 그 결과 자외선(2 MED)에 노출되었을 때 in vitro SPF 수치는 50.69에서 72.33으로 42.69%로 증가하였고 in vivo SPF 평가에서는 53.7을 얻어 같은 조건의 대조군의 선크림(SPF 34.4 이하) 대비 56.10% 이상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OMC와 IMC가 특정 조건에서 UV sensor처럼 작용하여, 자외선에 노출 되었을 때 자외선 차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선크림을 제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