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tro flowering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45초

생육시기가 Silage의 사용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age of Maturity on the Composition and Feeding Value of Silage)

  • 신정남;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1-60
    • /
    • 1983
  • 사료작물(飼料作物)의 생육시기(生育時期)가 사일리지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시험작물(試驗作物)로 보리, 호밀, 밀, 귀리, 오차드그라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옥수수 및 오차드그라스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혼합목초(混合牧草)를 사용(使用)하여 각(各) 작물(作物)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수량(收量), 조성분(粗成分), 사일리지품질(品質) 및 면양과 in vitro소화율(消化率)을 측정(測定)하였다. 사일리지제조(製造)는 소형 원통형콘크리트사일로를 이용(利用)하였다. 1.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생육시기(生育時期)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증가(增加)하였으며, 보리는 출수기(出穗期), 유숙기(乳熟期) 및 호숙기(糊熟期)에 10a당 각각(各各) 404, 635 및 900kg였고, 호밀은 수잉기(穗孕期), 출수직전(出穗直前), 출수초(出穗初), 출수말(出穗末), 개화기(開花期), 개화말(開花末) 및 개화후(開花後)에 각각(各各) 279, 589, 708, 1,000, 1,265, 1,376 및 1,492kg였고, 이탈리리안라이그라스는 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 수잉기(穗孕期), 출수기(出穗期), 개화기(開花期)에 각각(各各) 355, 613, 844 및 1,109kg였고, 오차드그라스와 이탈리안라이그라스 혼합목초(混合牧草)는 출수전,(出穗前) 출수기(出穗期), 개화기(開花期) 및 개화후기(開花後期)가 각각(各各) 477, 696, 891 및 1,027kg였고, 옥수수는 출수전(出穗前), 유숙초(乳熟初), 유숙기(乳熟期), 황숙기(黃熟期) 및 완숙기(完熟期)에 각각(各各) 458, 1,252, 1,534, 1,986 및 2,053kg였다. 2 건물함량(乾物含量)은 숙기(熟期)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증가(增加)하였으나 조단백질(粗蛋白質)은 감소(減少)하였고 NFE는 다른 작물(作物)은 감소(減少)하였으나 옥수수는 증가(增加)하였다. 조섬유함량은 생육시기(生育時期)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옥수수를 제외하고는 증가(增加)하였고 조회분(粗灰分)은 감소(減少)하였다. 호밀의 NDF, ADF의 함량(含量)도 생육시기(生育時期)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증가(增加)하였다. 3 호밀의 in vitro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은 수잉기(穗孕期), 출수기전(出穗期前), 출수초(出穗初), 출수말(出穗末), 개화기(開花期), 개화말(開花末) 및 개화후(開花後)에 각각(各各) 53.6, 54.1, 50.7, 47.1, 44.9, 40.1 및 38.9%였고, 그 방정식은 Y=56.22-0,74X+$0.009X^2$(Y=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 X=첫 예취후의 지연일자)였다. 3. 호밀의 in vitro 가소화건물수량(可消化乾物收量)은 생육(生育) 시기(時期)가 진행(進行)됨에 다라 증가(增加)하였으나 개화기(開花期)부터는 감소(減少)하였고 그 방정식은 Y=168.88+26.09X-$0.41X^2$(Y=가소화건물수량(可消化乾物收量, X=첫 예취후의 지연일자)였다. 5. 옥수수의 in vitro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은 출수전(出穗前), 유숙초(乳熟初), 유숙기(乳熟期), 황숙기(黃熟期) 및 완숙기(完熟期)에 각각(各各) 89.2, 71.5, 69.8 및 69.9%였다. 6. 사일리지의 조단백질(粗蛋白質)과 조섬유의 소화율(消化率)은 생육시기(生育時期)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감소(減少)하였으나 보리와 옥수수의 NFE는 일반적으로 증가(增加)하였다. 7. 사일리지의 TDN함량(含量)(건물기준(乾物基準))은 생육시기(生育時期)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감소(減少)하였으나 보리와 옥수수는 차(差)가 없었으며 보리는 출수기(出穗期), 유숙기(乳熟期) 및 호숙기(糊熟期)에 각각(各各) 57.8, 57.1 및 57.9%였고, 호밀은 개화초(開花草), 개화후(開花後) 및 유숙기(乳熟期)에 각각(各各) 50.0. 47.2 및 43.7%였고, 이탈리안라이그라스는 출수전(出穗前), 출수초(出穗初) 및 출추수(出穗後)에 각각(各各) 67.9, 63.7 및 54.9%였고 오차드그라스는 출수후(出穗後), 개화후(開花後) 및 유숙기(乳熟期)에 각각(各各) 548, 52.9 및 46.1%였고, 옥수수는 유숙기(乳熟期), 황숙기(黃熟期) 및 완숙기(完熟期)에 59.5, 62.8 및 61.6%였다. 8. pH는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약간씩 증가(增加)하였다. 9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은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되어 건물함량(乾物含量)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감소(減少)하였다.

  • PDF

In Vitro Flowering of Soybean (Glycine max)

  • Lee, Seung-Bum;Daniell, Henry;Kim, Young-Jin
    • 한국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국제심포지움 초록집
    • /
    • pp.105-105
    • /
    • 2005
  • PDF

용담의 기내 개화 및 증식에 관한 연구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Flowering and Micropropagation of Gentiana scabra Bunge In Vitro.)

  • 손병구;최영환;안종길;조동;권오창;박정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0-47
    • /
    • 1996
  • 자생식물 중 실내분화용, 절화 및 화단용으로서 가치가 높고, 한약으로서 이용 가능한 용담의 기내개화 및 대량증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식물체의 부위 및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화뢰의 출현은 0.5mg/l kinetin과 GA_${3}$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많았으나 그 효과는 kinetine이 더 좋았다. 최적의 GA_${3}$나 kinetin농도일 때 두가지 생장조절제를 혼용하면 오히려 화뢰형성수가 감소되었고, 저농도에서는 상호작용의 효과가 있었다 화뢰가 50% 형성되는데 걸리는 주수(T_50는 0.1mg/l GA_3가 첨가되었을 때 Kinetin의 농도에 관계없이 11-14주이었다. 측지 발생은 GA_${3}$의 효과가 kinetin보다 좋았고, 농도는 모두 1.0mg/l까지 높을 수록 좋았다. 중간정도의 농도(0.5mg/l)에서 두 생장조절제간의 상호작용이 인정되었다. 뿌리의 형성은 GA$_{3}$의 농도가 높을 수록 감소하였다. 꼬투리의 크기가 8mm까지 클수록 발아력이 높았으며, 꼬투리의 크기가 작을 수록 비정상적인 식물체가 많았다. 배지에 GA_${3}$/l 첨가는 발아력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 PDF

저온처리 기간, 온도 및 광 조건이 자생초롱꽃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Flowering of Campanula Species as Affected by Duration, Temperature, and Light Condition during Chilling Treatment)

  • 이영미;박유경;정병룡
    • 화훼연구
    • /
    • 제19권1호
    • /
    • pp.22-29
    • /
    • 2011
  • 본 연구는 저온처리기간, 온도 및 광의 유무가 초롱꽃 4 종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주로 사용된 고성종인 자주초롱꽃, 왜성종인 애기초롱꽃 2 품종과 이들의 교잡 육성된 '직녀', '견우' $F_1$ 2 품종의 조직배양묘를 식물재료로 사용하였다. 조직배양묘는 광도가 약 $75{\mu}mol{\cdot}m^2{\cdot}s^{-1}$이고 온도가 $25^{\circ}C$인 기내에서 5주 동안 발근시켰다. 광의 유무는 알루미늄 호일로 포장한 암처리와 명처리(약 $10{\mu}mol{\cdot}m^2{\cdot}s^{-1}$ PPFD)를 사용하였고, 저온처리기간은 3, 6, 또는 9주로 하여 4와 $25^{\circ}C$ 온도에서 저장하였다. 저온처리 후 식물을 10 cm 화분에 상토를 채워 이식하여 생장조절챔버에서 순화시켜 온실로 옮겨 재배하였다. 4종 중 자주초롱꽃에서 생존율이 가장 높았다. 생존율은 암처리보다 명처리에서 더 높았다. 기내에서 6주 이상 저장된 처리구는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4종을 실험한 결과 개화를 한 품종은 '직녀'로 저장기간 3주, 명처리, $25^{\circ}C$에서 62.8%의 높은 개화율을 보였다. 개화는 온도, 저장기간, 그리고 광의 유무에 따라 영향이 있었다. 저장기간 3주, 암조건, $4^{\circ}C$에서 저장한 처리에서 현저하게 개화소요일수가 단축되고 개화특성도 좋았다. 이 결과는 개화를 위해 저온을 요구하는 것은 질적인 것보다 양적임을 암시한다. 이 실험은 조직배양묘를 사용하여 저온처리를 하고 순화하는 과정에서 많이 고사하였으므로, 식물의 개체수를 더 늘려서 이 결론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Biotechnology of Reproductive Processes in Cereals

  • Barnabas, Beata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1권1호
    • /
    • pp.56-60
    • /
    • 1999
  • Sexual reproduction is an essential process in the propagation of flowering plants. Recent advances in plant cell biology and biotechnology have brought new and powerful methodologies to investigate and manipulate the reproductive processes of angiosperms including agronomically important crop plants. Successful cryopreservation of maize, rye and triticale pollen and young embryos of microspore-and zygote-origine contributes to long term preservation of important plant germ-lines in gene banks. Discovering morpho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different developmental pathways taking place in wheat and maize androgenesis in vitro helps to influence the procedure to produce genetically and phenotipically stable homozygous doubled haploid plants for breeding purposes. Detailed ultrastructural and cell-biological studies on the developmental sequences of male and female gametophyte development in wheat, experimental protocols developed to isolate and micromanipulate egg cell protoplasts, make it possible to use plant gametes and the sexual route itself to produce genetically improved organisms. Plant gametes can become useful tools for crop improvement in the near future. Recent achievements by our laboratory in this field are reviewed in the present paper

  • PDF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Clonal Production through Basal Stem Explant Cultures of a Phalaenopsis Hybrid

  • Jo, Man-Hyun;Ham, In-ki;Park, Sang-kyu;Seo, Gwan-Seok;Han, Gyu-Heung;Woo, In-Shik
    • Plant Resources
    • /
    • 제6권2호
    • /
    • pp.89-93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clonal propagation technique through in vitro culture using basal stem explants in Phalaenopsis hybrid grown in vitro. The highest frequency of protocorm-like body (PLB) formation was obtained when basal stem explants were cultured on VW medium containing 30g/L sucrose, 500 mg/L activated charcoal, 150 ml/L coconut water, 1 mg/L NAA, 5 mg/L 2iP and 2.5g/L gel rite. PLBs transferred to Hyponex medium were regenerated to plantlets. Plantlets transferred to plastic pots containing spagnum moss were developed and successfully acclimatized under greenhouse. The flower was bloomingly opened in plants regenerated from basal stem explants. The flower was not different from both mother plant and plant induced through clonal propagation of Phalaenopsis hybrid.

  • PDF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Efficacy Evaluation of Bacillus velezensis for Shot-Hole Disease Biocontrol in Flowering Cherry

  • Han, Viet-Cuong;Yu, Nan Hee;Yoon, Hyeokjun;Ahn, Neung-Ho;Son, Youn Kyoung;Lee, Byoung-Hee;Kim, Jin-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2호
    • /
    • pp.115-130
    • /
    • 2022
  • Though information exists regarding the pathogenesis of the shot-hole disease (SH) in flowering cherry (FC),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focusing on SH management. Therefore, here,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antagonistic bacteria against SH pathogens both in vitro and in vivo as well as thei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active compounds. Two biosurfactant-producing bacterial antagonists, identified as Bacillus velezensis strains JCK-1618 and JCK-1696, exhibited the best effects against the growth of both bacterial and fungal SH pathogens in vitro through their cell-free culture filtrates (CFCFs). These two strains also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the pathogens via the action of their antimicrobial diffusible compounds and antimicrobi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Crude enzymes, solvent extracts, and biosurfactants of the two strains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ies.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ic analysis of the partially purified active fractions revealed that the two antagonists produced three cyclic lipopeptides, including iturin A, fengycin A, and surfactin, and a polyketide, oxydifficidin. In a detached leaf assay, pre-treatment and co-treatment of FC leaves with the CFCFs led to a large reduction in the severity of the leaf spots caused by Epicoccum tobaicum and Bukholderia contaminan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two antagonists produced indole-3-acetic acid, siderophore, and a series of hydrolytic enzymes, along with the formation of a substantial biofilm.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diffusible compounds and VOCs of B. velezensis against the SH pathogens and their efficiency in the biocontrol of SH.

인삼의 기내 개화 결정시기의 측정 (Measurement of Determination Time of In-Vitro Flowering in Ginseng (Panax ginseng))

  • 이행순;이광웅;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47-351
    • /
    • 1994
  • 인삼의 기내 개화가 결정되는 시점을 조사하기 위하여 접합자배, 유식물체, 자엽마디 절편을 BA와 GA$_3$가 각각 5 $\mu$M 첨가된 MS 배지(화아유도 배지)에 배양하였다. 재료를 화아유도 배지에 다양한 기간 동안 배양하였다가 각각 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기본배지로 옮기게 되면 화아유도가 결정된 재료에서만 개화가 가능하게 된다. 인삼의 기내 개화가 결정되는 데에는 10일간의 배양을 필요로 하였다. 조직학적 관찰 결과, 화아유도 배지에서 배양 10일째의 액아에 존재한 분열조직은 화아로 발달되도록 운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형태적으로는 엽아의 상태로 남아있었다. 이러한 분열조직은 배양 15일 경과한 후에야 비로소 전형적인화아의 외형을 갖추었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체에서 영양생장으로부터 생식생장으로의 전환시 일어나는 생화학적 혹은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In Vitro에서 살균제의 딸기 화분발아 억제 효과 (Effects of Fungicides on Inhibition of in Vitro Strawberry Pollen Germination)

  • 남명현;김현숙;최재현;이희덕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633-639
    • /
    • 2013
  • 딸기의 잿빛곰팡이병과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해 개화기에 살균제 처리가 요구된다. 최근에 딸기에 등록된 살균제들이 딸기 화분 발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n vitro 상에서 딸기 3품종의 화분에 대한 24종의 살균제와 6종의 친환경자재에 대해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딸기의 화분은 18% sucrose agar 배지에서 $25^{\circ}C$로 처리되었을 때 쉽게 발아되었으며, '설향', '매향', '금향'의 평균 화분 발아율은 각각 15.3, 18.4, 30.7%을 보였다. Pyraclostrobin, azoxystrobin, kresoxim-methyl, dichlofluanid, iminoctadine tris, sulfur는 무처리구 대비 93.8% 이상의 화분 발아 억제가를 나타내었다. 반면, simeconazole과 procymidone 살균제의 화분 발아율은 영향이 가장 적었다. 이 in vitro 검정 결과는 딸기 재배농가의 개화기 살균제 선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벼 배양약에서 약의 활력 연구 I. 품종 및 저온 전처리에 따른 호흡활성의 변화 (Studies on the Viability of Cultured Anther in Rice Anther Culture I. Changes of Respiratory Activity by Genotype and Cold-pretreatment)

  • Seung Yeob, Lee;Seon Yong, Lee;Jang Soo, Cho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48-253
    • /
    • 1988
  • 벼 약배양에 있어서 배양약의 viability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밀양 2003, 대청벼, 치악벼를 재료로 품종 및 저온전처리, 약의 갈변에 따른 호흡율의 변화를 2~3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화분의 발육시기에 따른 배양전 약의 호흡활성은 개화직전에 가장 높았으며, 배양적기인 stage 3~4에서의 호흡율은 12.46 $O_2$ n mode/ml/h/another이었다. 배양약의 호흡활성의 변화는 3~9일경에 1차 정점을, 9~11일경에 2차 정점을 나타냈으며, Callus 형성능이 높은 대청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온전처리는 배양 초기의 호흡활성을 저하시켰으나 15일경부터는 무처리구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저온전처리는 약의 갈변을 촉진하였으며, 갈변약에서 호흡활성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