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tro effect

검색결과 6,059건 처리시간 0.037초

방사선 조사에 의한 감자 발아 억제시 생화학적 효과 (Biochemical Effect on Potato Tubers Irradiated by Gamma-Ray at Sprout-Inhibition Dose)

  • 전재홍;변시명;박영숙;정규회;조한옥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1호
    • /
    • pp.28-35
    • /
    • 1985
  • 방사선 조사에 의한 발아 억제기작을 살펴보기 위하여 $4^{\circ}C$ 에서 저온 처리 한 감자에 0.12 kGy 감마선을 조사한 후 5주 동안 $20{\pm}2^{\circ}C$, 상대습도 $70{\sim}90%$에서 저장하였다. 이 기간 중 발아에 관여된다고 생각되는 ${\alpha}-amylase$, peroxidase, indole acetic acid (IAA) oxidase, IAA synthesizing enzyme의 활성 변화를 추적하였다. 시판 ${\alpha}-amylase$와 peroxidase의 방사선 감수성은 0.94와 0.36 kGy의 감마선 조사하여 $D_{37}$ 값을 얻었다. 감마선 조사를 행한 감자의 IAA oxidase 역가는 조사후 급격히 증가됐고 IAA 합성 효소의 역가는 조사직후 조금 증가하였으나 저장 기간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형태적인 변화에서 조사된 감자에서는 성장점의 고사와 변형된 눈이 관찰되었고 IAA 흑은 gibberellin 등의 처리에 의해 이들 자체로는 회복되지 않았고 그 주위로 새로운 눈의 성장이 관찰되었다. 결론으로 방사선 조사에 의해 야기된 감자의 호흡은 탄수화물이 ${\alpha}-amylase$등의 효소에 의한 분해로 이루어져 ATP를 공급하며 뒤이은 peroxidase 역가의 증가와 같은 효소의 합성은 방사선에 의한 손상을 치유하려는 과정에 속한다 할 수 있다. 또한 눈의 생장점에서의 고사 현상은 손상에 대한 방어 작용의 일종이라 해석되며 이로인한 발아 억제 현상을 페놀 대사와 관련지어 추측할 수 있었고 증가된 IAA oxidase와 IAA 합성계의 파괴에 의한 IAA의 고갈 역시 방사선 조사에 의한 발아 억제 현상의 원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Saururus chinensis Baill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Hwang, Ji-Yeon;Zhang, Jian;Kang, Min-Jung;Lee, Soo-Kyung;Kim, Hyun-A;Kim, Jong-Jin;Kim, Jung-I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권2호
    • /
    • pp.100-104
    • /
    • 2007
  • Saururus chinensis Baill was reported to inhibit ${\alpha}-glucosidase$ in vitro and flatten postprandial increase in blood glucose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We studied the effect of chronic consumption of S. chinensis Baill on blood glucose and lipid profile in STZ-induced diabetic male rats fed high fat diet. Male rats weighing 100-120 g were fed 30% fat diet with and without 10% freeze-dried leaves of S. chinensis Baill for 7 weeks after 1 week of adaptation. The rats were rendered diabetic by intravenous injection of STZ (60 mg/kg) after 6-week feeding of the assigned diets. At 1 week after the injection, the rats were sacrificed after an overnight fast. Plasma glucose ($380.2{\pm}14.4mg/dL$), total cholesterol ($93.9{\pm}7.9mg/dL$) and triglyceride levels ($123.6{\pm}7.5mg/dL$) of the S. chinensis Bail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418.1{\pm}12.0mg/dL,\;119.9{\pm}9.4mg/dL,\;152.0{\pm}10.3mg/dL$, respectively, p<0.05). Chronic consumption of S. chinesis Baill significantly decreased maltase activity of the small intestinal mucosa ($120.1{\pm}8.7U/g$) protei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96.8{\pm}7.0U/g protein,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S. chinensis Baill have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by inhibiting ${\alpha}-glucosidase$ activity in the animal model of diabetes mellitus.

자건 멸치의 품질 개선에 대한 산성 전해수의 영향 (Effect of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boiled-dried anchovy)

  • 이수정;성낙주;강신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57-364
    • /
    • 2014
  • 자건 멸치의 제조 시 산성 전해수로 자숙함으로써 멸치의 품질 개선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멸치의 표면색은 전해수 처리 멸치에서 명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전체적인 색차(${\Delta}E$)에서 전해수 처리 멸치는 대조구에 비해 5.08의 차이를 보였다. 추출물의 갈색도는 지용성 추출물이 수용성 추출물에 비해 훨씬 높았다. In vitro에서 칼슘 흡수율은 대조구에서 10.77%였으며, 전해수 처리 멸치는 12.61%였다. 저장 온도($20^{\circ}C$, $4^{\circ}C$$-20^{\circ}C$) 및 기간(5주, 10주 및 5개월)을 달리하여 멸치를 저장하는 동안, 멸치 추출물의 지용성 갈색도는 $20^{\circ}C$$4^{\circ}C$ 저장 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20^{\circ}C$ 저장 시에 전해수 처리 멸치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휘발성 염기질소(VBN)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며, $20^{\circ}C$ 저장 시에 전해수 처리 멸치는 대조구에 비해 VBN의 함량이 작았다.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저장 온도에 관계없이 기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되었는데, 전반적으로 전해수 처리 멸치에서 함량 증가가 작았다. 따라서 멸치의 가공과정에서 산성 전해수 처리는 멸치의 색택 개선, VBN 및 지질과산화물의 함량 변화를 감소시켜 품질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Survival of isolated human preantral follicles after vitrification: Analyses of morphology and Fas ligand and caspase-3 mRNA expression

  • Wiweko, Budi;Soebijanto, Soegiharto;Boediono, Arief;Mansyur, Muchtaruddin;Siregar, Nuryati C;Suryandari, Dwi Anita;Aulia, Ahmad;Djuwantono, Tono;Affandi, Bir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6권4호
    • /
    • pp.152-165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vitrification on apoptosis and survival in human preantral follicles after thawing. Methods: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at an acute tertiary care hospital from March 2012 to April 2013. Ovaries were sliced into 5 × 5 × 1-mm pieces and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preantral follicle isolation, ovarian tissue vitrification-warming followed by follicle isolation, and immunohistochemistry of fresh ovarian tissue.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Student t-test, chi-square test, Kruskal-Wallis test, and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were used. Results: A total of 161 preantral follicles (70% secondary) were collected from ovarian cortex tissue of six women between 30 and 37 years of age who underwent oophorectomy due to cervical cancer or breast canc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llicular morphology of fresh preantral follicles and vitrified follicles after thawing. The mean Fas ligand (FasL) mRNA expression level was 0.43 ± 0.20 (relative to β-actin) in fresh preantral follicles versus 0.51 ± 0.20 in vitrified follicles (p= 0.22). The mean caspase-3 mRNA expression level in fresh preantral follicles was 0.56 ± 0.49 vs. 0.27 ± 0.21 in vitrified follicles (p= 0.233). One vitrified-thawed secondary follicle grew and developed to an antral follicle within 6 days of culture. Conclusion: Vitrification did not affect preantral follicle morphology or mRNA expression of the apoptosis markers FasL and caspase-3.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stablish whether vitrification affects the outcomes of in vitro culture and the maturation of preantral follicles.

탄산음료의 법랑질 침식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NAMEL EROSION BY CARBONATED BEVERAGE)

  • 이경호;박수진;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44-151
    • /
    • 2005
  • 현재 시판중인 대부분의 음료가 산성을 띤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산성의 음료 음용의 증가는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치아 침식증을 촉진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비교적 일상적으로 쉽게 접하는 탄산음료 중 가장 보편화된 한 종을 택하여 치아와의 노출과 노출빈도에 따른 법랑질의 침식정도를 조사 분석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탈락 시기의 건전한 유치를 발거하여 두 개의 군, 즉 magnetic stirrer에 의해 진동(agitation)을 받은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뉘었고 나뉜 군들은 또 각각 콜라에의 노출빈도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나뉘었다. 각각의 군들은 신선한 콜라에 5분씩 노출되었으며 노출 전과 후에 증류수에 의해 세척되었고 시편의 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에는 생리 식염수에 보관한 후, 인공적으로 침식을 유발시켰을 때 나타나는 양상을 표면미세경도측정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실험에 사용된 콜라의 산도는 평균 pH 2.5로서 치아 침식증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수준이었다. 2. 콜라에 의한 침식유발 후의 법랑질 표면경도는 대조군에 비해 모든 시료에서 감소되었다(p<0.05). 침식유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법랑질 표면경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초기에는 급격히 낮아지다가 이후에는 그 정도가 덜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3. 법랑질을 콜라에 노출시킨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법랑질 표면경도는 감소되었다. 4. 콜라에 진동(agitation)을 가하여 탄산가스를 증가시킨 결과 법랑질의 표면경도는 진동을 가하지 않은 군에 비해 감소되었다(p<0.05).

  • PDF

HA-coated Zirconia의 생물학적 활성도에 관한 연구 (Biological Activities of HA-coated Zirconia)

  • 남석우;김해원;김현이;양승민;신승윤;이용무;정종평;한수부;최상묵;류인철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1호
    • /
    • pp.1-11
    • /
    • 2003
  • Hydroxyapatite(HA) has been extensively used as bone graft materials and tooth implant surface coating materials because of its biocompatibility and osteoconductive properties. However, as HA is intrinsically poor in mechanical properties, zirconia($ZrO_2$) was incorporated with HA as reinforcing phases for improve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HA-coated zirconia through the cell proliferation test, measurements of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histologic examination. Four kinds of tested block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pore size (300-500${\mu}m$/500-700${\mu}m$) and the porosity (70%/90%). Cell prolifer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as measured at 1, 7, 14 days. The number of cells proliferate after 7, 14 day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groups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 first da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4 groups at each time period. At the 7 day,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of cells cultured in 4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da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4 groups at each time period. The human gingival fibroblast and MG 63 cell was used to evaluate the cell cytotoxicity using MTT test. The materials tested in the current study turned out to be non-cytotoxic. In histologic examination(SEM), at 1 day there were many cells attached on the surfaces of all kinds of tested blocks. The number of cells were increased over time. At the 14 day, there were more cells proliferated than 1 day and some of the pores of blocks were partially filled with the proliferated cells. The in vitro response of osteoblast-like cells to the HA-coated zirconia showed comparable effect on transformation comparable to hydroxyapatite.

어류 병원세균, Listonella anguillarum에 대한 Pseudomonas aeruginosa MB I-3의 항균 효과 (Antibacterial Effects of Pseudomonas aeruginosa MB I-3 against Listonella anguillarum)

  • 이수정;윤이나;김진도;이정식;김은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7-24
    • /
    • 2014
  • 질병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항균제는 효과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지만, 내성균 발생이나 항균물질 잔류와 같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따라서 어류 질병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어류와 인체에 안전한 생약제 개발과 함께 어류 질병 원인균의 과다 발생을 억제하며 어체의 건강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유용 균주를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에서 분리되어 Listonella anguillarum에 대하여 생장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Pseudomonas aeruginosa MB I-3 (MB I-3)를 이용하여 넙치의 비브리오병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Double layered plate assay와 co-culture을 통하여 MB I-3의 L. anguillarum에 대한 생장 억제능력을 조사하였고, MB I-3 균주 배양액을 ethyl acetate로 추출하여 disk 확산법으로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액체 및 고체 배양에서 생장이 억제된 L. anguillarum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넙치 치어 사육 수조에 L. anguillarum과 MB I-3 균주를 동시에 첨가하여 폐사율을 비교하였다. MB I-3는 8종의 병원성 비브리오균에 대하여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96시간 동안 실시한 co-culture에서 L. anguillarum은 배양 후 9시간까지 생장 증가를 보였으나, 그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MB I-3 배양액 추출물 또한 L. anguillarum에 항균활성을 보여 항균 물질이 ethyl acetate로 추출됨을 알 수 있었다.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L. anguillarum은 세포질의 밀도 감소 및 세포막의 swelling에 의한 세포 용해 현상을 보였다. 한편 MB I-3를 L. anguillarum과 함께 투여한 넙치 치어는 대조군에 비해 누적 폐사율이 약 20%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으므로, MB I-3를 이용한 수산용 probiotics 개발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국산 프로폴리스의 Helicobacter pyrori 억제효과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Korean Propolis)

  • 한상미;홍인표;우순옥;김세건;장혜리;장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3-78
    • /
    • 2016
  • Propolis possesses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aesthetic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chemic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eight propolis ethanolic extracts form different region in Korea.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ight Korean propolis was investicated by absorption spectrophotomety and UHPLC. Total penolic and total flavonoids content ranged between $21{\pm}1.5$ and $31{\pm}1.8$ gallic acid g/100 g and $7.2{\pm}0.9$ and $24.4{\pm}1.9$ quercetin g/100 g, respectively. The p-coumaric acid as standard components content ranged between $0.29{\pm}0.00$ and $2.34{\pm}0.02mg/g$ using UHPLC. Cinnamic acid content between $0.43{\pm}0.00$ and $1.33{\pm}0.01mg/g$. 80% ethanolic extract of propolis against H. pylori was evaluated by using the disc diffusion method. Ethanol was used as a control. Mean diameters of H. pylori growth inhibition using $10{\mu}g/mL$, $50{\mu}g/mL$ or $100{\mu}g/mL$ ethanol propolis per disc were 0, ranging from 0.9 to 2.1 mm and from 1.9 to 3.5 mm, respectively. In conclusion, variation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propolis were mainl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preferred regional plants visited by honeybees. Also Korean propolis possesses considerabl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 pylori. There was not confirmed a correlation between the chemical composion contens and anti-H. pylori effect. The potential of propolis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 pylori infection is worth further extensive evaluation.

반추동물의 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한 연구; 무 추출물을 이용한 메탄 손실 억제 (Reduce the Energy Loss in Ruminant; Using Raphanus Sativus Extracts to Mitigate Methane Emission)

  • 이신자;최유영;이수경;이일동;엄준식;김현상;김도형;이성실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17-930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Raphanus sativus extracts to methane reduction in rumen. Five different levels of R. sativus extrac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most effective dosing level for the decrease of methane production in the rumen. The rumen fluid was collected from a cannulated one Hanwoo cow ($BW=450{\pm}30kg$) consuming 600 g/kg timothy and 400 g/kg concentrate. On fermentation day, rumen fluid was collected at 2 hr postfeeding R. sativus extracts was dosed to achieve final concentration of 0, 1, 3, 5, 7, and 9% respectively, to fermentation bottles containing the mixture of rumen fluid and McDougall's buffer and 300 mg of timothy was added as a substrate. The fermentation was conducted for 3, 6, 9, 12, 24, 48 and 72 hr incubation time at $39^{\circ}C$ with shaking. In vitro ruminal pH values were measured normal range for ruminal fermentation. Dry matter disappear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at 3 hr incubation time 1, 3 and 5% doses than that of control. The highest methane reduction was observed in 12 hr incubation time 5, 7 and 9%. The carbon dioxide emission was also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at of control at 12 hr incubation time 5, 7 and 9%. The total volatile fatty acid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all doses level at 12 and 24 hr incubation time. At 24 hr incubation time, the result of real-time PCR were indicated that M. archea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at all doses level comparing to that of control. In conclusion, R. sativus extrac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methane emission. R. sativus extracts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at of control at 12 hr incubation time 5, 7 and 9% and no adversely effect in rumen pH, dry matter disappearance and total VFA.

연질 골에서 두 종류의 테이퍼 형태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에 관한 실험실적 연구 (In Vitro Study on the Initial Stability of Two Tapered Dental Implant Systems in Poor Bone Quality)

  • 김덕래;김명주;권호범;이석형;임영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391-401
    • /
    • 2009
  • 임플란트의 성공은 식립 후의 초기 안정성 (Initial stability)의 결과가 중요한 영향을 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연질 골에서 두 종류의 테이퍼 형태 임플란트가 임플란트의 디자인과 self-tapping blade의 유무에 따라서 초기 안정성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Self-tapping blade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가지고 있지 않은 두 종류의 테이퍼 형태 임플란트가 사용되었다. Solid Rigid Polyurethane Form으로 연질 골 상태인 D4 골 모형을 재현하였다.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하면서 초기 안정성 값을 기록하고, 식립 직후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을 측정하여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임플란트가 식립된 모형골을 만능 시험기에 부착하여 장축 방향으로의 pull-out force를 측정하였다. 초기 안정성 값과 최대 pull-out torque 값은 non self-tapping implants가 self-tapping group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큰 평균값을 나타냈다 (P = 0.008). 공진 주파수 분석 결과인 ISQ 값은 거의 비슷한 평균값을 보였으면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각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식립 토크와 pull-out 최대 토크 그리고 공진 주파수 간에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Non self-tapping 임플란트의 높은 식립 토크는 임상적으로 우수한 초기 안정성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연질 골에서 self-tapping blade가 없는 임플란트가 있는 것 보다 더 우수한 초기 안정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