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ulsiveness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6초

자살시도 환자의 혈소판내 세로토닌 농도와 심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latelet Serotonin Level and Psychological Features of the Suicidal Attempters)

  • 정희연;권영준;박인준;홍세용;최의정;진혁희
    • 생물정신의학
    • /
    • 제6권1호
    • /
    • pp.81-88
    • /
    • 1999
  • 자살 시도군 21명, 우울증 환자군 14명, 그리고 정상 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혈소판내 세로토닌의 농도, 반 구조화된 설문조사, 다면적 인성검사, HAM-D, 충동성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으며, 자살 시도군의 자살방법은 대부분 농약 중독이었다. 1) 자살 시도자의 남녀 비는 차이가 없었다. 2) 혈소판내의 세로토닌의 농도는 자살 시도군, 우울증 환자군 및 정상 대조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3) 다면적 인성검사 결과는 자살 시도군의 경우 D, Hs, Pt 척도가 높았으며, 우울증 환자군의 경우 D, Pa, Si 척도가 높았다. 4) HAM-D 점수는 우울증 환자군과 자살 시도군 모두에서 높았으며, 특히 우울증 환자군의 경우 더 의미 있게 높았다. 5) 충동성 검사 결과는 자살 시도군이 우울증 환자군에 비하여 무계획 충동성, 운동 충동성이 의미 있게 높았다.

  • PDF

자동차 배기 소음의 주관적 평가 기법 연구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the Passenger Vehicle's Muffler Noise)

  • 유승국;김관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전남대학교, 19 May 1995
    • /
    • pp.94-99
    • /
    • 1995
  • In order to improve the sound quality and reduce the noise of engines and vehicles efficiently, it is important to quantify the subjective noise characteristics objectively. The exhaust noises of the passenger vehicles have been measured for the subjective assessments. This paper outlines the objective data by which engine noise can be assessed and the salient features of subjective assessments before proposing an approach by which targets for internal vehicle noise may be set. The method to objectify the subjective assessments has been proposed considering three components - Loudness, Harmonic content, Impulsiveness - which have influence on the subjective assessments.

  • PDF

물리치료과 학생의 건강 상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of physical therapy college mans)

  • 윤희종;이인학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권1호
    • /
    • pp.59-73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hychosomatic health status of physical therapy college mans. 130college mans analysis sex, habitation, religion, blood type, drinking, somoking by the todai health index questionaire. THI was modified front cornell medical index. Physical therapy college man showed complain score (E) Nervousness. (J) Mental irritability. (H) Impulsiveness. (F) Aggressiveness. (G) Irregular life (I), (L) Multiple subjective symtom(I), Live scale(L), (K) Depression. (C) Digestive, (A), (B) Respiratory(A), Eye and Skin(B). (D) Mouth and Anus.

  • PDF

이용 동기와 자기 통제력 및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se Motives, Self-Control and Social Withdrawal on Smartphone Addiction)

  • 이영주;박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8호
    • /
    • pp.459-465
    • /
    • 2014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률이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어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자기통제력, 사회적 위축이 스마트폰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이용 동기 중 정보획득, 사회적 관계, 오락성, 여가시간활용 동기는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통제 특성은 조절성이 떨어질수록, 또한 충동성이 강할수록 스마트폰 중독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용자들의 사회적 위축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예방 및 개선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되며,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의 강압적인 제지보다는 청소년들의 놀이 활동을 우선 점검하고, 스스로 조절하고 충동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자기통제력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가 요구된다.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텔레비전 중독, 인터넷 중독, 휴대전화 중독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Prevention Program for Media Addiction on Television Addiction, Internet Addiction, Cellular Addiction, and Impulsive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구현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270-281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선행 연구와 관련 문헌 및 전문가의 자문을 토대로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4-6학년생 58명(실험군 29명, 대조군 29명)을 대상으로 텔레비전 중독, 인터넷 중독, 휴대전화 중독 및 충동성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실험군에게는 주 2-3회, 4주간 10회기의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후 조사와 프로그램 종료 1개월 후 추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동일한 시기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텔레비전 중독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인터넷 중독, 휴대전화 중독, 충동성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따른 변화 양상이 다르지 않았다. 결론 초등학생을 위한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은 텔레비전 중독 예방에 효과적이었다. 매체 중독 예방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올바른 텔레비전 사용 습관을 기르도록 도와서, 이후 심각한 문제 행동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옴니채널 쇼핑동기가 패션제품 구매의사결정단계별 소비자의 옴니채널 전략 소구에 미치는 영향 연구 (Influences of omni-channel shopping motivations on consumer acceptance of omni-channel strategies through fashion product purchasing processes)

  • 김애경;이은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1호
    • /
    • pp.109-124
    • /
    • 2018
  • As fashion and distribution companies have increasingly turned to implementing marketing activities that use omni-channel strategies, it is imperative to explore consumer-oriented evaluations of omni-channel shopping for fashion products. Through contributing to the growing research flow of consumer behavior within omni-channel contexts, the current study explores consumer motivations for omni-channel fashion shopping and their impacts on the decision-making stages of fashion products. The authors first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Korean consumers and confirmed the four types of consumer motivation for omni-channel shopping, and how decision-making processes react to fashion companies' omni- channel marketing strategies. These findings were used to set survey items for the main study. Based on the results and findings of previous literatur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participants who had actual experience with omni-channel shopping for fashion products. The statistic results from the survey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in-depth interviews allowed the authors to confirm four factors of omni-channel shopping motivation (ubiquity, efficiency, convenience, and impulsiveness). Second, the survey showed the authors that among the four factors of omni-channel shopping orientation, impulsiveness had the greatest effect on consumer behaviors at the preand on-purchase stages, while the ubiquity factor had the greatest effect at the post-purchase stage. As such, the study empirically tested the omni-channel-specific factors of shopping orientation and motivation. In addition, it showed the effect of omni-channel marketing on various stages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e study'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중학생의 휴대폰 중독적 사용에 대한 인구사회적.심리적 변인들의 판별예측력 (Discriminating Power of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이해정;김명수;손현경;안숙희;김정순;김영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57-965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s of cellular phone usag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dentify discriminating factors of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among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Methods: From 123 middle schools in Busan, potential participants were identified through stratified random sampling and 747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1, 2004 to December 30, 2004. Descriptive and discriminant analyses were used. Results: Fifty seven percent of the participants were male and 89.7% used cellular phones at school.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 levels of the cellular phone usage: addicted (n=117), dependent (n=418), non-addicted (n=212). Within the three groups, two functions were produced and only one function was significant, discriminating the addiction group from non-addiction group. Additional discriminant analysis with only two groups produced one function that classified 81.2% of the participants correctly into the two groups. Impulsiveness, anxiety, and stress were significant discriminating factor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cusing on impulsiveness, anxiety and stress to reduce the possible addictive use of cellular phones is suggested.

무단횡단을 하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연구: TPB를 중심으로 (A Study for Pedestrian's Safety: Relating to TPB)

  • 장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80-194
    • /
    • 2015
  • 도로 상에서 차량은 강자이고 보행자들은 약자의 처지이다. 본 논문은 보행자의 안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먼저, 본 논문은 인구 모수들과 TPB(계획된 행동의 이론)의 변수들(도로에서 보행자의 길 건너는 행동에 있어서의 태도, 개인적 가치, 인지된 행동 통제, 등), 길을 건너고자 하는 의도, 건너는 동안의 인지된 위험, 그리고 과거 교통사고의 경험 사이의 연관성을, 대학생 샘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TPB 변수들을 고려한 보행자 연구는 한국에서 통상 수행되지 않았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도로를 건너는 보행자의 위험한 행동에 있어서, 인간의 인지 실패/오류, 충동성, 시간관, 그리고 확률적/수학-논리적 판단 능력이, 차지하는 비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그 비중이 아주 크지는 않지만, 존재함을 발견하였고, 인간 생명은 매우 소중하므로, 보행자의 사고에서 인간의 그러한 심리적 요인들을 추가적으로 고려한다면, 보행자의 사고를 예방하고 그 불행을 줄이는 데에, 더 나아가 사고와 관련된 경제적 손실과 보험 지출을 줄이는 데에, 기여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청소년의 가족기능, 충동성, 스트레스 수준이 집단따돌림 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mily Function, Impulsive Behavior and Stress on Bullying Types of Adolescents)

  • 이혜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19-329
    • /
    • 2014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기능, 충동성, 스트레스가 집단따돌림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중 고등학생 627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따돌림 유형(가해 및 피해)은 가족기능, 충동성, 스트레스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따돌림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기능의 하부요인에서 정서적 반응성, 충동성의 하부영역에서 무계획 충동성, 스트레스의 하부요인에서 친구관련 스트레스, 일반적 특성에서 음주경험(있음), 부모 우울문제 경험(있음)로 확인되었으며, 34.1%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집단따돌림 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기능의 하부요인에서 의사소통, 충동성의 하부영역에서 운동 충동성, 스트레스의 하부요인에서 친구관련 스트레스,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남학생), 학년(중학생)으로 확인되었으며, 30.9%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유형(가해 및 피해)에 가족기능, 충동성, 스트레스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과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유형에 따른 중재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폭력매체에 의한 비행행동의 구조모형 개발 (Structural Model Of Delinquent Behavior Influencing by Media Violence)

  • 김현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8-15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theoretical model designed to explain juvenile delinquency by media viole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over a period of 3 months. Subjects serv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537 adolescents including 217 delinquent adolescents and 320 student adolescents in Korea, sampled from Korean student population and delinquent adolescent population confined in juvenile correctional institutions, using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In this study, exogeneous variable was family dynamic environment and endogeneous variables were character of adolescent including need satisfaction/ frustration, sociability,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and depressive trend,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and media violence themes including the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ling impulsiveness and model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A total of 18 instruments were used to operationalized concepts in this model. A validation study indicated that internal consistencies for the 18 instruments which the researcher used were reliable. The one month test-retest correlation for these instruments ranged from 0.54 to 0.88.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wer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variance structural modelling. In summarized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media violence served as the most contributor to juvenile delinquency by direct effect of 0.64(t=10.18). That is, as the adolescents have to be the higher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ling impulsiveness and model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they will show the more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The single most powerful contributor by total effect of 0.73(t=7.90) (direct effect=0.19, indirect effect=0.54) to the development of delinquent behavior identified in this study was a construct defining family dynamic environment. That is, as the adolescents had to be more unstable family dynamic environment, they became more frustrated to their psychological need, and revealed the more maladaptive personality pattern, consequently they behaved the higher misconducts such as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media viol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