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orted flour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2초

국내산과 수입 밀가루로 제조한 스폰지 케익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System Prepared with Domestic and Imported Wheat Flour)

  • 오명석;김혜영;이영식;김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13-819
    • /
    • 2007
  •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ponge cakes using 2 kinds of domestic wheat flour(white flour, whole wheat flour) and imported cake flour were investigated. In the proximate analysis, white flour had higher contents of water and protein compared with those of imported flour. Whole wheat flour had the highest contents of protein, lipid and ash. Regarding the batter, imported flour sample showed lower specific gravity and higher viscosity than those of domestic flour sample, implying that there was more air incorporation and higher batter stability. As a result, imported flour batter produced larger cake compared to that of domestic flour batter. But indexes of symmetry and uniform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amples. In textural analysis using rheometer, cakes with imported flour were softer compared with that with domestic flour. In gumminess and brittleness, cakes with domestic white flour showed the highest value while that with the imported flour showed the lowest value. For the color measurements of cake crumb,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 was found among the samples. Regarding the cross-sections of the cake observed using SEM, imported flour produced cake with smaller and more even air cells compared to that with the domestic flour cake. In sensory evaluation, cakes with the domestic white flour showed the highest moistness valu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pringiness, firmness, adhesiveness and ease of swallow among the samples. In conclusion, cakes with domestic white flour and whole wheat flour were as good as that with imported cake flour for the sponge cake preparation.

시판 중인 우리밀 및 수입밀 밀가루의 품질 및 특성 비교 분석 (Comparison of Quality Analyses of Domestic and Imported Wheat Flour Products Marketed in Korea)

  • 김상숙;정혜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87-293
    • /
    • 2014
  •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4 domestic wheat flour products were compared to those of 4 imported wheat flour products marketed in Korea. The contents of moisture, ash, protein, total dietary fiber (TDF), color (L, a, b), whiteness, solvent retention capacity (SRC), water absorption index (WAI), water soluble index (WSI), pasting characteristics by rapid visco analyzer (RVA), and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were analyzed. The domestic wheat flour products were composed of higher content in ash and protein, compared to the imported wheat flour products. The domestic wheat flour products had lower SRC and WSI characteristics than the imported wheat flour products. The values of lactic acid SRC (LASRC) in the imported wheat flour products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the protein content increased. The differences in viscosity were observed in the domestic wheat flour products. However, no major significant differences of viscosity were found among the imported wheat flour products. The result of PCA showed a consistent trend in the imported wheat flour (strong, medium, and weak), while a consistent trend was not shown in the domestic wheat flour products.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standardize the different types of domestic wheat flour products.

우리밀가루와 수입밀가루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flour and Imported Wheat flour)

  • 정곤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27
    • /
    • 2001
  •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physicochemical quality and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Korean wheat flour and imported wheat flour with a view to shed light on their difference. In terms of components, Korean wheat flour and imported wheat flour are similar, but the latter turns out to be better than the former when it comes to crude protein, the ratio of water absorption and the power of maintenance. Yet Korean wheat flour turns out to be better than imported wheat flour. In terms of the chromaticity of wheat flour, the latter turns out to be higher than the former when it comes to L value, while the former turns out to be higher than the latter when it comes to a value and b value. In terms of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wheat flour, both are in the shape of an oval with starch particles irregularly attached to gluten. And imported wheat flour is getter than Korean wheat flour in terms of the size of particles.

Sensory Properties of Sponge Cake Prepared with Domestic and Imported Cake Flour

  • Kim, Hae-Young;Oh, Myung-Suk;Kim, Hee-Sun
    • Food Quality and Culture
    • /
    • 제2권1호
    • /
    • pp.1-5
    • /
    • 2008
  • In this study, consumer acceptance and sensory intensity evaluations were performed on sponge cakes prepared with domestic and imported cake flours. Specific volume data as well as cross-sectional photograph observations confirmed that the imported flour sample group had greater volume than the domestic flour groups. The imported flour sample group also had a significantly (p<0.05) higher mean overall acceptability score at 5.82;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domestic white flour sample group (5.4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erall texture acceptance between samples prepared with imported and domestic white flours; however, their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domestic whole flour group (p<0.05). Consumer acceptances of color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orders of cake group prepared using the imported, domestic white, and domestic whole flours with the values of 6.48, 5.72 and 4.61, respectively (p<0.05). Acceptance of the air cell and the acceptance and intensity of sweetnes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ed and domestic white flour group.

  • PDF

우리밀과 수입밀을 이용한 제빵 적성 비교 및 저장 기간중 특성 변화 (Comparisions of Bread Baking Properties Using Domastic and Imported Flour and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 오명석;김혜영B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2
    • /
    • 2001
  • Physicochemical and consumer acceptance properties of bread baking prepared with 100% domestic and imported flour and mixtures of the two flours by 50% to 50%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Quality changes of the breads during storage at $1^{\circ}C$ were also evaluated. Volume of bread made of the mixtures of flour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than the other two samples. Hardness of bread made with domestic flour had significantly higher value than that of control on the first day of storage at $4^{\circ}C$. However, mixture sampl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 than that of control after the third day of storage. Consumer acceptance test indicated that the bread prepared with 50% imported and 50% domestic flou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bread prepared with 100% imported flour.

  • PDF

국산밀로 제조한 파운드케익의 품질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baked from Korean Wheat Flour)

  • 이경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19-423
    • /
    • 1996
  • 수입밀(Sample A) 한 종류와 3종류의 국산밀(Sample B, C, D)로 파운드케익을 제조하여 품질을 관능검사, 색, 부피 및 경도로 측정하여 국산밀의 파운드케익 가공적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능검사 결과, 수입밀 파운드케익은 국산밀 제품보다 질감, 맛 등이 선호되어 종합적인 선호도가 더 높다. 이는 수입밀 제품이 국산밀 제품보다 더 부드럽고 촉촉하며 결이 곱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색도는 수입밀로 제조한 것이 L값은 81.09, a값은 -0.49, b값은 28.17로 나타났다. 국산 밀로 제조한 것은 이것보다 L값은 낮게, a값은 높게, b값은 여러 단계로 나타나, 대체로 수입밀 제품보다 명도가 낮고 붉은색을 띄는 누르스름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부피는 샘플 D가 833cc로 가장 컸고, B가 800cc, A가 755cc, C가 753cc로 D, B, A, C의 순으로 크게 나타나, 2종류의 국산밀 제품이 수입밀 제품보다 더 크게 팽화되었다. 4. 경도는 샘플 C가 22.60 dyne/$ extrm{cm}^2$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D가 16.50, A가 15.75, B가 13.83으로 나타났다.

  • PDF

식빵제조를 위한 국산 및 수입 밀가루의 적성에 대한 연구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s made with Korean and Imported Wheat Flours)

  • 장혁래;박정숙;신솔;신길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84-890
    • /
    • 2008
  • 수입 밀가루와 국산 우리밀가루로 식빵을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의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수입 밀가루가 가장 낮았고, 조회분 함량은 수입 밀가루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pH 측정에서는 수입 밀가루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H.Y 우리밀가루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수입 밀가루가 L, a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식빵의 부피와 높이는 G.S 우리밀가루가 가장 낮았으며, 금강 우리 밀가루가 반죽수율과 비체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굽기 손실률은 G.R 우리밀가루가 가장 높았으며 G.S 우리밀가루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직감에서는 경도(hardness)는 수입 밀가루가 가장 낮았고, 점착성(gumminess), 씹힙성(chewiness), 부착성(ad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는 맛과 향미에 대한 기호도의 경우 수입 밀가루보다 우리밀가루가의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우리밀 제빵 제품의 항산화 활성과 단백질 소화도 (Antioxidant Activity and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of Bakery Products prepared from Korean Wheat with Functional Ingredients)

  • 한인화;박병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53-861
    • /
    • 2014
  • 우리밀과 수입밀로 쿠키, 머핀, 바게트를 제조하여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과, 단백질 소화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쿠키와 머핀 제품에 천년초와 홍화씨를 첨가하여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과 및 단백질 소화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천년초의 첨가는 우리밀 쿠키 및 머핀의 80% methanol 추출물에서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를 증가시켰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홍화씨 첨가는 우리밀 쿠키의 80% ethanol과 80% methanol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기능성 소재의 첨가가 쿠키의 품질 특성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우리밀과 수입밀로 만든 쿠키, 머핀, 바게트의 80% ethanol 추출물에서 우리밀로 만든 머핀의 총 페놀 함량이 4.53 mg Q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수입밀로 만든 머핀보다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80% methanol 추출물은 수입밀 바게트가 우리밀 바게트보다 약 1.2배 높게 나타나 용매에 따라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 80% ethanol 추출물과 80% methanol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을 비교하면 ethanol 추출물이 모든 시료에서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보여, 우리밀에서 더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나타냈다. 우리밀과 수입밀의 ethyl acetate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머핀의 80% methanol 추출물은 우리밀이 수입밀보다 2.4배 가량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그 결과, 추출 용매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우리밀 제품이 수입밀 제품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고 추정된다. 단백질 소화도에서 우리밀과 수입밀을 비교해 보면 모든 제품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단백질 소화도와 같은 품질 특성은 우리밀이 수입밀의 품질과 유사하며, 항산화 효과와 총 페놀 함량은 우리밀 제품이 우수한 결과를 보여 기능성 면에서 우수한 밀 품종이라고 사료된다.

국내 유통 콩 및 녹두가루 제품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Available Soybean and Mung-bean Flours in Korea)

  • 우관식;김미정;심은영;김현주;이춘기;전용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19-1126
    • /
    • 2017
  • 용도별 두류가루 제품의 품질기준 설정을 위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두류가루 제품을 수집하여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주원료의 산지는 국산은 23제품, 수입산은 19제품이었고, 백태가 주원료로 조사되었다. 제품의 가격은 국산이 수입산에 비해 생콩가루의 경우, 3.48배, 볶음콩가루의 경우는 3.34배, 녹두가루는 3.47배로 비쌌다. 국산 제품의 경우, 명도는 생콩가루가 볶음 콩가루에 비해 높았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볶음 콩가루가 생콩가루에 비해 높았다. 수분함량은 생콩가루가 볶음 콩가루에 비해 높았으며, 조지방, 조단백질, 탄수화물 함량은 수입산 볶음 콩가루에서 높았다. 녹두의 회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국산이 수입산에 비해 약간 높았다. 국산 콩가루 제품의 수분결합력은 볶음 콩가루가 생콩가루보다 높았으며, 용해도와 팽윤력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시중유통 두류가루 제품의 품질 특성 간의 상관관계는 용해도를 제외하고 측정한 항목간에 높은 유의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입밀의 제빵 적성과 반죽법을 달리한 우리밀 제빵 적성의 비교 (Comparison of Imported Wheat Flour Bread Making Properties and Korean Wheat Flour Bread Making Properties Made by Various Bread Making Methods)

  • 김원모;이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34-441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밀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우리밀을 사용하여 방법을 달리해서 제조한 우리밀의 제빵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밀 밀가루와 수입밀 밀가루 반죽의 Farinograph 분석 결과 견도(consistency)는 수입밀(534 FE)이 우리밀(503 FE)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흡수율(water absorption)은 수입밀(66.1%)이 우리밀(60.6%)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죽형성시간(dough development time, DDT)은 우리밀(10.7분)이 수입밀(11.7분)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 반죽의 안정도(dough stability time, DST)는 반죽의 강도를 나타내는데 수입밀은 Farinograph 반응시간을 20분으로 하여 평가하였을 때 20분까지도 반죽의 안정을 지키는 강한 반죽의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우리밀은 15.2로 수입밀보다 낮은 DST를 나타내었다. Farinograph quality number(FQN)는 수입밀은 측정이 불가능할 정도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우리밀은 156으로 측정이 가능하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우리밀은 수입밀에 비해 gluten network 형성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제법을 달리한 식빵의 무게, 비용적 및 굽기 손실률 측정 결과 반죽의 방법이 식빵의 부피나 비용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직접반죽법(straight dough method, SDM)이 부피나 비용적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제법을 달리한 식빵의 crumb 색도 측정 결과 우리밀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빵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어 제법과는 상관없이 우리밀로 제조한 식빵이 좀 더 밝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제법을 달리한 식빵의 소비자 기호도 조사한 결과 우리밀은 SDM 방법으로 반죽하여 제빵을 하는 것보다는 중종법(dough and sponge method, DSM)이 더 기호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제법을 달리한 식빵의 물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chewiness와 brittleness, hardness는 우리밀로 직접 반죽하여 제조한 빵(SDMK)이 저장기간 동안 가장 변화폭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100% DSM과 70% DSM 방법으로 제조된 식빵은 대조구인 수입밀로 직접반죽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빵(SDMI)과 유의차가 없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00% DSM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빵은 대조구인 SDMI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빵과 비교하였을 때 cohesiveness 등 물리적 특성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gluten 함량이 부족한 우리밀을 이용하여 빵을 제조할 때 적당한 제빵 방법으로 100% DSM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