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ervious cover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4초

RapidEye 위성영상을 이용한 청주시의 불투수면지도 생성기법 (Impervious Surface Mapping of Cheongju by Using RapidEye Satellite Imagery)

  • 박홍련;최재완;최석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1-79
    • /
    • 2014
  • 많은 연구들은 저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불투수면을 생성하며, 광역적인 객체 단위의 불투수면을 생성하는 데에 효율적인 성과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RapidEye 위성영상을 활용한 객체 기반의 불투수면 생성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실험지역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분광반사율로 변환된 RapidEye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추가적인 밴드를 생성하였으며, 훈련자료를 이용하여 그림자 및 수계 클래스를 추출하였다. 해당 클래스를 제외한 나머지 클래스들은 환경부의 중분류 토지피복지도와 분광혼합분석 모델을 활용하여 피복단위의 불투수 비율 영상을 생성하였다. 참조자료와의 정량적 비교평가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한 불투수면 생성 방법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GIS기반의 도시지역 불투수면 관리를 위한 최적 투수/불투수도 제작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al Pervious/Impervious Map Generation Method for Urban Impervious Surface Management based on GIS)

  • 오성광;김계현;이철용;유광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0-133
    • /
    • 2015
  • Due to increasing impervious surfaces resulting from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ch are directly linked to urban inundation and non-point pollutants runoff, there is a need to manage them systematically. A management over urban impervious surfaces calls for pervious/impervious maps, which enable viewing the distribution of impervious surfaces. Nevertheless, relevant data are absent as now. In this respect, despite the diversity of proposed methods, pilot implementation and accuracy verification have never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produce a pilot pervious/impervious map based on previously proposed methods and to elucidate its pros and cons with a view to proposing a method for producing a GIS-based optimal pervious/impervious map. Following previously proposed methods, a pervious/impervious map of Bupyeong-gu, Incheon was produced. Then, a method of producing optimal pervious/impervious maps applicable to urban areas was proposed through the comparison of pros and cons of relevant spatial data. As a result, the map had been confirmed 99.2% of classification accuracy.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future studies should establish a standardized method for producing. Also, this method should be used to produce pervious/impervious maps of other regions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managing impervious surfaces in major urban areas nationwide.

분광혼합분석 기법을 이용한 탄천유역 불투수율 평가 (Estimating Impervious Surface Fraction of Tanchon Watershed Using Spectral Analysis)

  • 조홍래;정종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57-468
    • /
    • 2005
  •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 지표면의 증가는 도시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도시 내 불투수 지역의 시공간적 변화 사항을 탐색하고 정량화하는 작업은 도시환경을 연구함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지난 시기 도시지역의 불투수 지표면을 탐색하는 방법으로는 전통적인 영상분류 기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전통적인 영상분류 기법은 영상을 구성하는 각 셀이 지표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객체들의 분광특성이 혼합된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단 하나의 클래스로만 구분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불투수 지표면의 비율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영상분류 후 각 분류항목에 불투수율을 할당해야하는 2중의 노력이 필요하며, 각 클래스에 단일한 불투수율을 지정해야만 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영상 분류방법이 갖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불투수 지표면의 비율을 산정하기 위해 분광혼합분석 (spectral mixture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였다. 분광혼합분석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식생, 토양, low albedo, high albedo 등 4가지 요소를 엔드멤버로 선택하였으며, 불투수율은 low albedo와 high albedo의 합으로 산정하였다. 대상 연구지역은 지난 십여년 동안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된 탄천유역을 선정하였으며, 1988, 1994, 2001년의 Landsat 영상을 이용하여 신도시 건설에 따른 불투수 지표면의 변화율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탄천유역의 불투수율은 88년 $15.6\%$, 94년 $20.1\%$, 2001년 $24\%$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도시 불투수율을 분석 시 분광혼합분석 기법을 적용할 경우 추가적인 노력 없이 비교적 정확한 불투수율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WMM을 이용한 도시화유역 불투수율 변화에 따른 강우유출특성 분석 (Analysis of Rainfall-Runoff Characteristics on Impervious Cover Changes using SWMM in an Urbanized Watershed)

  • 오동근;정세웅;류인구;강문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1-70
    • /
    • 2010
  • The increase of impervious cover (IC) in a watershed is known as an important factor causing alteration of water cycle,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and biological communities of urban streams. The study objective was to assess the impact of IC changes on the surface runoff characteristics of Kap Stream basin located in Geum river basin (Korea) using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SWMM was calibrated and verified using the flow data observed at outlet of the watershed with 8 days interval in 2007 and 2008.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Landsat satellite imagery data every 5 years from 1975 to 2000, the IC of the watershed has linearly increased from 4.9% to 10.5% during last 25 years. The validated model was applied to simulate the runoff flow rates from the watershed with different IC rates every five years using the climate forcing data of 2007 and 2008.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crease of IC area in the watershed ha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peak runoff and reduction of travel time during flood events. The flood flow ($Q_{95}$) and normal flow ($Q_{180}$) rates of Kap Stream increased with the IC rate. However, the low flow ($Q_{275}$) and drought flow ($Q_{355}$) rat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us the subsurface flow simulation algorithm of the model needs to be revisited for better assessment of the impact of impervious cover on the long-term runoff process.

논문 - AnnAGNPS를 이용한 대전천 유역의 불투수면 변화에 따른 배출부하량 평가 (Impacts of Impevious Cove Change on Pollutant Loads from the Daejeon-Stream Watershed Using AnnAGNPS)

  • 장승우;강문성;송인홍;정세웅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14
    • /
    • 2011
  • Increased impervious surfaces alter stream hydrology resulting in lower flows during droughts and higher peak flows during floods. Not only urban area but also rural area has been expanded impervious surfaces because of increasing of greenhouse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AnnAGNPS (Annualized Non-Point Source Pollution Model) on the surface runoff characteristics of the Daejeon-Stream watershed, and to predict the hydrological effects due to increasing of impervious surfaces. The model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databases, and additional parameters calibrated with the observed data. The model was calibrated by using 2004 of the runoff data and validated by using 2002 data obtained from WAMIS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o compare the simulated results for the study watershed. R2 values and efficiency index (EI) between observed and simulated runoff were 0.78 and 0.80, respectively at the calibration period. In this study, expanding of impervious surfaces such as greenhouses caused increasing of surface runoff, but caused decreasing of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loads.

  • PDF

낙동강 중류 지역의 통합적 유역환경평가 및 유형화 (An Integrated Watershed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of the Mid-Nakdong River Region)

  • 정성관;박경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13권3호
    • /
    • pp.137-151
    • /
    • 2004
  • Many of today's environmental problems are regional in scope and their effects overlap and inte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ed a simple method for an integrated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cross the Mid-Nakdong River Region, by combining data on land use, impervious cover, roads, streams, riparian areas, forest patches, population, pollutant loadings, soil erosion and topography. A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groups of sub-watersheds with simila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e mean value for each group was used to find watershed that may be more vulnerable to future environmental degradation. Watersheds in cluster I and II had high amount of forest, but the amount of riparian vegetation was low. Watersheds in cluster III, which located in the middle Geumho River and the main course of Nakdong River, had a greater proportion of their agriculture, a greater proportion of agriculture on steep slopes, and less forest adjacent to streams. Watersheds in cluster IV and V were in the most urbanized areas of the region. The principal adverse impacts for watersheds in this group were high scores for urban area, impervious cover, pollutant loadings, population density, forest fragmentation, and low amounts of forest and riparian forest cover. Notwithstanding the exploratory nature of cluster analysis, it appears to be a useful tool for grouping watersheds with simila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도시지역의 토지피복유형이 지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일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Effect of the Urban Land Cover Types on the Surface Temperature: Case Study of Ilsan New City)

  • 김현옥;염종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3-214
    • /
    • 2012
  • 콘크리트와 아스팔트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도시의 물리적인 환경은 도시열섬효과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며, 일차적으로 토지이용 또는 토양피복에 따른 지표면온도의 상승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토지피복유형이 지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공간해상도가 다른 MODIS, Landsat ETM+과 RapidEye 위성영상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대상지인 일산 신도시지역의 지표면온도는 토지 이용에 따라 뚜렷이 구분되는 패턴을 보여주었는데 건폐율이 높은 저층단독주택지구보다 건폐율이 낮고 녹지율이 높은 고층 아파트단지의 지표면온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토지피복유형과의 관계는 건물이나 도로 등 도시화지역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기후존의 지표면온도가 증가하고, 식생과 수면, 그림자 지역의 면적이 늘어날수록 지표면온도는 떨어진다. NDVI와 지표면온도 사이에도 음의 선형상관관계가 나타나지만, 계절적 영향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유역모형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불투수면 변화에 따른 오염물질 유출 해석 (Analysis of Pollutants Discharge due to the Change of Impervious Land in Urban Area Using Watershed Model)

  • 공석호;김태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1호
    • /
    • pp.73-82
    • /
    • 2018
  • 본 연구는 무심천 유역을 대상으로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 지역의 증가가 오염물질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HSPF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모델의 보정은 2015년도 관측치, 검증은 2014년도 관측치를 기준으로 하였고, 모의항목은 유량, BOD, TP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형의 보정 및 검증 결과는 모든 모의항목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무심천 유역의 2015년도 토지이용 현황을 반영하여 모형에 사용한 토지피복도를 수정한 후 개발지역의 계획 위치와 면적을 적용하여 수질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불투수면이 증가하면 일별 오염부하량은 강우 시에는 개발사업 전보다 증가하고, 비강우 시에는 감소하였다. 연간 오염부하량은 강우 시 증가량이 비강우 시 감소량보다 월등히 많아 BOD와 TP의 부하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비점오염부하량은 개발 전의 점오염원이 동일하고, 불투수면만 증가한다는 전제에서 모의한 결과 개발 후의 비점오염부하량이 개발 전의 총오염부하량보다 크게 산정되어 불투수면이 급증하는 유역은 계획 단계에서부터 비점오염원의 관리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GeoXAI를 활용한 도시 투수/불투수면과 도시수목 생육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ermeable/Impermeable Surfaces and Urban Tree Growth Using GeoXAI)

  • 공석준;이준우;김근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1호
    • /
    • pp.1437-144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지역의 투수면적 및 불투수면적이 수목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일한 시기에 식재한 나무 6종의 생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entinel-2를 이용하여 제작한 Normalis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와 환경부의 세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투수면적과 불투수면적이 수목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Geospatial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GeoXAI) 개념을 적용했다. 분석결과 소나무는 10 m 범위, 느티나무, 메타세콰이어, 은행나무는 20 m 범위, 양버즘나무는 30 m 범위, 왕벚나무는 40 m 범위에 포함된 토지피복들의 면적을 고려했을때 모델의 설명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투수 면적이 넓을수록 수목의 생장이 활발하다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주변에 인공지반과 같이 불투수 면적이 넓을 경우 수목의 생장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수목의 생장에 있어 주변의 투수 및 불투수 면적이 수목의 생장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수종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범위 또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시지역의 수문학적 토지피복 분류를 위한 초분광영상의 분광혼합분석 (Spectral Mixture Analysis Using Hyperspectral Image for Hydrological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Urban Area)

  • 신정일;김선화;윤정숙;김태근;이규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65-574
    • /
    • 2006
  • 넓은 면적의 유역에 대한홍수유출모형 및 수문분석에서 중요한 인자로 이용되는 토지피복 정보를 얻기 위하여 인공위성 영상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도시지역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토지피복이 혼재하는 공간에서는 보다 세분화된 토지피복 정보가 필요하나, 기존의 다중분광영상을 이용한 수문학적 토지피복분류에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분광영상을 이용하여 도시지역의 수문학적 토지피복 분류에 있어서 기존의 다중분광영상 보다 분류등급을 세분화하고 분류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밝히고자 한다. 미국 농무부 토양보전국(USDA SCS)의 도시지역 수문학적 토지피복분류를 목표로 서울지역의 Hyperion 영상을 분석하였다. 도시지역의 피복특성을 감안한여 투수성 및 불투수성 표면특성을 대표하는 8개의 endmember를 선정하여 분광혼합분석을 수행하였다. 분광혼합분석 결과 얻어진 각 endmember의 점유비율을 조합하여 17개 등급의 수문학적 토지피복도를 제작하였다. 분광혼합분석을 적용하여 얻어진 토지피복도의 정확도를 10곳의 표본점에 대한 항공사진 판독 결과를 통하여 검정한 결과, 미국 농무부에서 제시한 수문학적 토지피복등급이 비교적 정확하게 분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