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mmunofluorescence assay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19초

Severe choline deficiency induces alternative splicing aberrance in optimized duck primary hepatocyte cultures

  • Zhao, Lulu;Cai, Hongying;Wu, Yongbao;Tian, Changfu;Wen, Zhiguo;Yang, Peilong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1호
    • /
    • pp.1787-1799
    • /
    • 2022
  • Objective: Choline deficiency, one main trigger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closely related to lipid metabolism disorder. Previous study in a choline-deficient model has largely focused on gene expression rather than gene structure, especially sparse are studies regarding to alternative splicing (AS). In modern life science research, primary hepatocytes culture technology facilitates such studies, which can accurately imitate liver activity in vitro and show unique superiority. Whereas limitations to traditional hepatocytes culture technology exist in terms of efficiency and operability. This study pursued an optimization culture method for duck primary hepatocytes to explore AS in choline-deficient model. Methods: We performed an optimization culture method for duck primary hepatocytes with multi-step digestion procedure from Pekin duck embryos. Subsequently a NAFLD model was constructed with choline-free medium. RNA-seq and further analysis by rMATS were performed to identify AS events alterations in choline-deficency duck primary hepatocyt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E13 (embryonic day 13) to E15 is suitable to obtain hepatocytes, and the viability reached over 95% by trypan blue exclusion assay. Primary hepatocyte retained their biological function as well identified by Periodic Acid-Schiff staining method an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y assay, respectively. Meanwhile, genes of alb and afp and specific protein of albumin were detected to verify cultured hepatocytes. Immunofluorescence was used to evaluate purity of hepatocytes, presenting up to 90%. On this base, choline-deficient model was constructed and displayed significantly increase of intracellular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as reported previously. Intriguingly, our data suggested that AS events in choline-deficient model were implicated in pivotal biological processes as an aberrant transcriptional regulator, of which 16 genes were involved in lipid metabolism and highly enriched in glycerophospholipid metabolism. Conclusion: An effective and rapid protocol for obtaining duck primary hepatocytes was established, by which our findings manifested choline deficiency could induce the accumulation of lipid and result in aberrant AS events in hepatocytes, providing a novel insight into various AS in the metabolism role of choline.

Anti-ds DNA 항체 검사 시 Lipemic 검체의 영향에 관한 보고 (Report on the Effects Lipemic Specimen in Anti-ds DNA Antibody Test)

  • 천준홍;김외정;김성호;문형호;유선희
    • 핵의학기술
    • /
    • 제18권1호
    • /
    • pp.153-157
    • /
    • 2014
  • Anti double-stranded DNA (Anti-ds DNA)항체의 검출은 SLE의 진단에 중요하며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ists의 SLE 진단기준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SLE 질병의 활성도와 Anti-ds DNA 항체 수준의 상관성이 보고되어 있으며 Anti-ds DNA 항체 정량검사는 SLE의 치료 전, 후 추적에 매우 유용하다. Anti-ds DNA 항체의 검출을 위한 검사 방법으로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 RIA)을 이용한 Farr assay, Crithidia luciliae를 이용한 면역형광 측정법(immunofluorescence Test, CLIFT), 효소면역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화학발광면역 측정법(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CLIA)이 있다. 본원에서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 RIA)으로 Anti-ds DNA 항체 검사 과정에서 lipemic한 검체의 경우 침전물의 형성이 원활하지 않거나 침전물도 같이 흡입되는 상황이 발생 하였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lipemic 검체가 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평가하였다. 2012년 9월부터 2013년 2월까지 Anti-ds DNA 항체 검사가 의뢰된 검체 중 lipemic한 검체(n=81)를 선택하여 마이크로 원심분리기로 전처리(고속 원심분리: 14,000 rpm 5 mins)한 후 동시에 Anti-ds DNA 항체 검사(Anti-ds DNA kit, Trinity Biotech, Ireland)를 시행하였다. 실험군 1 (lipemic 검체의 Anti-ds DNA 항체 농도 ${\leq}7IU/mL$)에서 y=0.3636x+4.7322, $R^2=0.0238$, Pearson 상관계수는 0.154, paired t-test (P=0.003), Difference (%) mean 65.7의 결과를 얻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실험군 2 (lipemic 검체의 Anti-ds DNA 항체 농도 ${\geq}8IU/mL$)에서 y=0.9837x+0.2982, $R^2=0.994$, Pearson 상관계수는 0.997, paired t-test (P=0.181), Difference (%) mean -5.53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임상에서 SL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의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nti-ds DNA 항체 검사는 lipemic 검체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 반드시 전처리(고속 원심분리: 14,000 rpm 5 mins) 과정을 통해 혈청 내 지질 성분을 제거한 후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 PDF

7-Ketocholesterol에 의한 Akt 감소와 혈관평활근세포의 세포자멸사 (7-Ketocholesterol Induces Vascular Smooth Muscle Cell Apoptosis via Akt Degradation)

  • 서교원;김치대;이원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26-233
    • /
    • 2016
  • 혈관평활근세포의 세포자멸사는 죽상경화증을 비롯한 여러 혈관질환에서 일어나며, 죽상판의 불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Oxysterol은 혈관평활근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야기하는데, 죽상경화 병변에는 비효소적으로 생성되는 주된 oxysterol인 7-ketocholesterol (7KC)이 대량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7KC에 의한 혈관평활근세포의 세포자멸사에 관하여 밝혀진 자세한 기전은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는 7KC가 혈관평활근세포의 세포자멸사를 일으키는 기전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Sprague-Dawley계 숫쥐의 대동맥 절편으로부터 배양한 혈관평활근세포에 7KC를 처리하여 혈관평활근세포의 생존력의 변동과 세포자멸사를 각각 methylthiazole tetrazolium bromide 분석법 및 trypan blue 분석법 그리고 유세포 분석법, 면역 형광 측정법, 면역침전법 및 웨스턴블럿 등으로 측정하였다. 7KC는 혈관평활근세포의 생존력을 시간- 및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고, 혈관평활근세포내에 지질과산화 최종산물인 4-hydroxynonenal (HNE)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HNE 단독 처리 또한 혈관평활근세포의 생존력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7KC 또는 HNE에 의하여 감소되었던 혈관평활근세포의 생존력은 HNE 생성 억제제인 2,4-dinitrophenyl hydrazine 전처치에 의하여 회복되었다. 더욱이 세포생존 매개인자로 잘 알려져 있는 Akt의 발현이 7KC와 HNE에 의하여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었고, 2,4-dinitrophenyl hydrazine 또는 N-acetylcysteine 전처치에 의하여 회복되었다.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 억제제인 lactacystin은 7KC에 의한 세포자멸사와 Akt 감소는 억제하였지만 7KC에 의한 HNE 생성은 억제하지 못하였다. HNE에 결합된 Akt의 양은 7KC와 HNE에 의하여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 억제제인 lactacystin 전처치 시에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죽상경화 병변에서 7KC는 혈관평활근세포내 HNE 생성을 증가시키고, 이 HNE에 결합된 Akt는 단백질분해효소복합체에 의하여 분해되는 것으로 보이며, 이와 같은 기전에 의하여 죽상판의 불안정화가 촉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Eucheuma cottonii 추출물에 의한 인체 골육종암 Saos-2 세포의 자가사멸 유도 (Extract from Eucheuma cottonii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on Human Osteosarcoma Saos-2 Cells via Caspase Cascade Apoptosis Pathway)

  • 강창원;강민재;김경록;김난희;서용배;강건희;김상호;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7-15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인간 골육종암세포주인 Saos-2 세포를 이용하여 Eucheuma cottonii 추출물(Extract of Eucheuma cottonii, EE)의 항암 활성 및 분자적 작용기전을 분석하였다. 먼저 EE가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WST-1® assay를 통해 확인한 결과 EE는 인간 위암세포 AGS, 인간 간암세포 SK-Hep 1, 인간 뇌교모세포종 U87MG, 인간 정상 신장세포 HEK-293의 생존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Saos-2 세포주의 생존율만을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 하였다. 또한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aos-2 세포의 외형적 변화가 나타남을 도립현미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DAPI staining을 통해 apoptosis classical hall marker라고 할 수 있는 DNA fragmentation이 EE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EE가 Saos-2 세포에서 세포 내의 어떠한 기작을 통해 apoptosis를 유도하는지 Western blot analysis를 통해 확인한 결과, Fas-Associated Death Domain(FADD)에 의한 caspase cascade signal pathway 발현이 증가하였고, apoptosis의 key protein 이라고 할 수 있는 cleaved caspase-3와 하위 인자인 cleaved PARP가 증가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된 분자적 기전 분석을 위한 immunofluorescence staining과 Flow cytometry analysis를 추가로 수행한 결과, EE 처리시 caspase cascade signal pathway의 시발점인 FAS와 cleaved caspase-3의 발현증가가 실제 세포 내에서 일어남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apoptosis 유발군인 sub G1기가 증가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EE는 인간 골육종암세포에서 FADD에 의한 caspase cascade signal pathway 발현증가가 유도되어 apoptosis를 유발시킨다는 것을 증명하였으며 새로운 골육종암 치료제로서의 개발 가능성과 기전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페리틴 리포터 유전자를 발현하는 백서 중간엽 줄기세포의 특성과 자기공명영상 연구 ($In$ $vitro$ MRI and Characterization of Rat Mesenchymal Stem Cells Transduced with Ferritin as MR Reporter Gene)

  • 신청일;이활;우지수;박은아;김판기;송현복;김회숙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6권1호
    • /
    • pp.47-54
    • /
    • 2012
  • 목적: 백서 중간엽 줄기세포에 페리틴 유전자를 형질 도입시켜 생물학적 특성의 변화 유무를 평가하고, 자기공명영상에서 신호강도의 차이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백서 중간엽 줄기세포에 렌티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사람유래 재조합 페리틴과 녹색형광단백질 유전자의 과발현을 유도하였다. 페리틴 유전자가 발현된 백서 중간엽 줄기세포의 증식성과 생존능을 분석하기 위해 MTT 어세이를 수행하였으며, 유세포 분석을 수행하여 중간엽 줄기세포의 표면 마커 발현을 평가하고, 세포 내 철 함량을 측정하고 프러시안 블루 염색을 시행하여 철 축적능력을 분석하였다. 세포 팬텀을 이용하여 9.4 T 자기공영영상 기기를 이용하여 검출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페리틴과 녹색형광 유전자는 백서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안정적으로 발현되었다. 페리틴 유전자의 과발현으로 인해 백서 중간엽 줄기세포의 생물학적 특성 (증식능력, 생존능, 표면마커)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페리틴을 발현하는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철의 축적능력이 증가된 것이 확인되었고, T2 이완 시간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줄기세포 치료 연구에서 자기공명 리포터 유전자 페리틴은 자기공명영상법을 이용하여 중간엽 줄기세포를 비침습적으로 가시화 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생체추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lpha 1,3-galactosyltransferase 기능 제거 및 MCP 발현 형질전환 돼지의 대동맥 혈관내피세포에 CD37/CD73 발현 세포주 개발 (Development of aortic endothelial cells to express CD37 and CD73 isolated from alpha 1,3-galactosyltransferase knock-out and MCP expressing pig)

  • 노진구;변승준;양현;옥선아;우제석;이휘철;황인설;김지윤;박상현;이주영;오건봉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9-137
    • /
    • 2018
  • Acute vascular rejection has been known as a main barrier occurring in a xenograted tissue of alpha 1,3-galactosyltransferase knock-out (GalT KO) pig into a non-human primate (NHP). Adenosine which is a final metabolite following sequential hydrolysis of nucleotide by ecto-nucleotidases such as CD39 and CD73, act as a regulator of coagulation, and inflammation. Thus xenotransplantation of CD39 and CD73 expressing pig under the GalT KO background could lead to enhanced survival of recipient NHP. We constructed a human CD39 and CD73 expression cassette designed for endothelial cell-specific expression using porcine Icam2 promoter (pIcam2-hCD39/hCD73). We performed isolation of endothelial cells (pAEC) from aorta of 4 week-old GalT KO and membrane cofactor protein expressing pig ($GalT^{-MCP/-MCP}$). We were able to verify that isolated cells were endothelial-like cells using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nalysis with von Willebrand factor antibody, which is well known as an endothelial maker, and tubal formation assay. To find optimal condition for efficient transfection into pAEC, we performed transfection with GFP expression vector using four programs of nucleofection, M-003, U-023, W-023 and Y-022. We were able find that the program W-023 was optimal for pAEC with regard to viability and transfection efficiency by flow cytometry and fluorescent microscopy analyses. Finally, we were able to obtain $GalT^{-MCP/-MCP}/CD39/CD73$ pAEC expressing CD39 and CD73 at levels of 33.3% and 26.8%, respectively. We suggested that pACE isolated from $GalT^{-MCP/-MCP}$ pig might be provided as a basic resource to understand biochemical and molecular mechanisms of the rejections and as an alternative donor cells to generate $GalT^{-MCP/-MCP}/CD39/CD73$ pig expressing CD39 and CD73 at endothelial cells.

면역형광측정법에 의한 우수정란의 성 판별 (Immunofluorescent Detection of H-Y Antigen on Preimplantation Bovine Embryos)

  • 고광두;양부근;박연수;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3-120
    • /
    • 1989
  • In order to determine the sex of preimplantation embryos prior to transfer in cattle,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45 Holstein donor cows to examine the ovarian response on the gonadotropin and PGF2${\alpha}$, and the morphology of fresh embryos or frozen/thawed embryos after deep freezing at -196$^{\circ}C$. The sexing of embryos treated with the medium containing H-Y antiserum(10%, v/v) and FITC anti-mouse IgG(10%, v/v) were analysed by chromosomal analysis, and the sex of the embryos which survived were ascertain after delivering the pup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verage number of developed follicle and corpus luteum per cow were 13.5 and 8.1, and the ovalation rate was 60.1%. 2. Of 220-ova recovered, 75(34.1%) were morula and 91(41.4%) were blastocyst, and the morphological normal and abnormal rate of ova recovered were 75.5% and 24.5%, respectively. 3. Of 39 frozen/thawed embryos, the scores of normal morula and blastocyst, after thawing were 79.2%(19/24) and 73.3%(11/15). The average rate of frozen/thawed embryos which appeared morphologically normal post thawing was 76.9%(30/39). 4. The sex ratio was measured using the embryos treated with immunofluorescence assa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bryo developmental stage, sex ratio of morula stage embryo was 42.2%(19/45) fluorescing and 57.8%(26/45) non-fluorescing, on the other hand, the ratio switched to 46.8%(29/62) fluorescing and 53.2%(33/62) non-fluorescing embryo in blastocyst stage. The sex ratio was also measured between fresh and frozen/thawed embryos, fresh and frozen/thawed treated embryos were indicated 45.8%(38/83) fluorescing, 54.2%(45/83) non-fluorescing and 41.7%(10/24) fluorescing, 58.3%(14/24) non-fluorescing. This trend indicated the approximal sex ratio was 1 : 1. 5. The result of karyotype test showed the successful rate of sexing embryo is fluorescing and non-fluorescing was 21.2%(7/33) and 29.6%(8/27). The female to male ratio within 33 fluorescing was 28.6 : 71.4, and the ratio of 27 non-fluorescing embryos was 87.7 : 12.5. 6. Of the embryo transferred after assignment of H-Y phenotype, five of the fluorescing embryos survived to term, all was males. Whereas six non-fluorescing embryos also survived to term and the sexes of the calves were 1 male 5 female.

  • PDF

PANDAS가 의심되는 뚜렛장애 아동에서의 B 임파항원 D8/17에 관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B LYMPHOCYTE ANTIGEN D8/17 IN TOURETTE SYNDROME CHILDREN WHO SUGGESTED PANDAS)

  • 정유숙;이영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7권1호
    • /
    • pp.27-31
    • /
    • 2006
  • 연구목적 : Streptococcus 감염에 취약한 생물학적 지표라고 알려진 D8/17 항체가 PANDAS로 의심되는 뚜렛장애 환자에서 높은지를 알아보고, 뚜렛장애군 중 D8/17 양성반응 여부에 따라 임상경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PANDAS가 의심되는 뚜렛장애 소아환자 9명과 비교 대상으로 틱증상이 없이 일관되게 지속적으로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장애를 보이는 2명의 소아를 택하여 B 임파구 D8/17 항원 양성반응 비율과 혈청 ASO 농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 PANDAS가 의심되는 9명의 뚜렛장애 소아의 경우 평균 77.9%($50.9{\sim}100%$) D8/17 B임파구 양성 비율을 보여 비교대상인 2명의 ADHD(24.8%, 53.7%) 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뚜렛장애 중 90% 이상의 높은 양성비율을 보이는 경우가 4예 (44..4%)였다. 특히 모녀 뚜렛장애인 경우 각각 98.4%, 99.0%라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 뚜렛장애의 심한 정도와 D8/17 양성 임파구 비율간에 의미있는 상관관계는 없었다. ASO titer와D8/17양성 임파구 비율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는 없었지만 뚜렛장애 66.7%에서 100IU/ml 이상을 보였다. 결 론 : 상기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일부 뚜렛장애 환자의 경우 streptocooccus 감염과 연관된 PANDAS일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Pv92, a Novel Merozoite Surface Protein of Plasmodium vivax

  • Lee, Seong-Kyun;Wang, Bo;Han, Jin-Hee;Nyunt, Myat Htut;Muh, Fauzi;Chootong, Patchanee;Ha, Kwon-Soo;Park, Won Sun;Hong, Seok-Ho;Park, Jeong-Hyun;Han, Eun-Tae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4호
    • /
    • pp.385-391
    • /
    • 2016
  • The discovery and understanding of antigenic proteins are essential for development of a vaccine against malaria. In Plasmodium falciparum, Pf92 have been characterized as a merozoite surface protein, and this protein is expressed at the late schizont stage, but no study of Pv92, the orthologue of Pf92 in P. vivax, has been reported. Thus, the protein structure of Pv92 was analyzed, and the gene sequence was aligned with that of other Plasmodium spp. using bioinformatics tools. The recombinant Pv92 protein was expressed and purified using bacterial expression system and used for immunization of mice to gain the polyclonal antibody and for evaluation of antigenicity by protein array. Also, the antibody against Pv92 was used for subcellular analysis by immunofluorescence assay. The Pv92 protein has a signal peptide and a sexual stage s48/45 domain, and the cysteine residues at the N-terminal of Pv92 were completely conserved. The N-terminal of Pv92 was successfully expressed as soluble form using a bacterial expression system. The antibody raised against Pv92 recognized the parasites and completely merged with PvMSP1-19, indicating that Pv92 was localized on the merozoite surface. Evaluation of the human humoral immune response to Pv92 indicated moderate antigenicity, with 65% sensitivity and 95% specificity by protein array. Taken together, the merozoite surface localization and antigenicity of Pv92 implicate that it might be involved in attachment and invasion of a merozoite to a new host cell or immune evasion during invasion process.

분리 세포의 단층세포 배양법에 의한 인체 비점막 상피세포의 배양 (In Vitro Culture of Human Nasal Epithelial Cells by Monolayer Culture of Dissociated Cells)

  • 김용대;송시연;민명기;서장수;송계원;박호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286-296
    • /
    • 1998
  • 비중격 만곡증 환자의 비내수술시 채취한 정상 하비갑개 점막조직으로 부터 상피세포만을 분리세포의 단층배양법(monolayer culture of dissociated cells)으로 배양하여 비점막 상피세포 배양법을 정립하고 또한 배양된 세포가 상피세포임을 동정하기 위하여 간접 면역형광항체법으로 상피세포 특유의 cytokeratin을 확인하였고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상피세포만이 가지고 있는 교소체(desmosome) 및 장세사(tonofilament) 등을 확인하였으며 6회까지 계대배양을 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배양된 비점막 상피세포를 이용하여 알레르기성 비염 등과 같은 비점막 염증성 질환의 병태생리에서 상피세포의 역할에 대한 연구와 호산구등 염증 세포의 침윤과 상피세포의 손상에 접착분자 및 cytokine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계속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