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unoelectrophoresis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6초

대두(大豆)(Glycine max)의 ${\gamma}-Conglycinin$의 정제(精製)와 특성(特性)에 관(關)하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amma}-Conglycinin$ of Soybean (Glycine max))

  • 김인수;이춘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1-9
    • /
    • 1979
  • 대두(大豆)의 ${\gamma}-conglycinin$을 정제(精製)하고 그의 물리일(物理一)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을 연구(硏究)하여 다음의 결과(結果)를 얻었다. Gamma-conglycinin은 대두(大豆)의 pH 4.5, 0.2M Nacl 추출액을 Sephadex G-150으로 분리하여 얻은 7S globulin을 DEAE-Sephadex A-50으로 column chromatography하여 정제(精製)하였다. 정제된 ${\gamma}-conglycinin$은 면역전기영동(免疫電氣泳動),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電氣泳動)과 gel isoelectric focusing 상으로 순수(純粹)하였다. 등전점(等電點)은 pH 5.4이었으며 질소(窒素) 16.21%, mannose 4.18, glucosamine 1.21%의 함량(含量)이었다. 아미노산 조성(組成)은 일반적(一般的)으로 lysine, dicarboxylic acid와 암모니아태(態) 질소(窒素)의 함량(含量)이 높았고 함황(含黃)아미노산과 tryptophane의 함량(含量)은 낮은 편이었다. Subunit의 등전점(等電點)은 pH $4.5{\sim}5.5$에 분희(分希)하였는데 그중 pH $4.6{\sim}5.0$에 위치(位置)한 것은 분자량(分子量) 38,000의 당(糖) peptide이었으며 pH $5.0{\sim}5.5$의 것은 분자량(分子量) 32,000의 단순(單純) peptide이었다.

  • PDF

대복피로부터 정제된 보체활성화 다당의 작용양식 (Action modes of the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s purified from Arecae pericarpium)

  • 신광순;조홍연;성하진;양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6호
    • /
    • pp.462-469
    • /
    • 1992
  • 대복피(빈랑나무의 과피)로부터 면역조절 역할이 기대되는 2종의 보체활성화(항보체) 다당을 정제하고 그 작용양식에 대해 검토하였다. 활성다당 AC-2-IIIa 및 AC-2-IIIc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보체 활성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2가 금속이온 부재시 대조구에 비해 거의 완전한 활성의 감소를 보인 반면, $Ca^{2+}$ 이온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경우 활성이 상당량 유지되었다. 또한 이들 활성다당들은 비교적 강력한 보체 제 2경로 활성화능을 나타내었으며, $Ca^{2+}$ 이온 부재 상태에서 정상인의 혈청과 반응시, C3의 분해산물을 anti-human C3를 이용한 면역 전기영동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nti-human whole serum를 이용한 면역 전기영동 결과, ${\alpha}2-M$ peak 대비 3rd peak의 높이 비율은 AC-2-IIIa가 $1.50{\pm}0.04$, AC-2-IIIc가 $1.22{\pm}0.08$이었는바, 이러한 사실로부터 대복피 유래 AC-2-IIIa 및 AC-2-IIIc의 보체 활성화 양식은 classical 및 alternative pathway 양경로를 모두 경유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배를 이용한 과실주로부터 분리한 항보체 활성화 다당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Fruit Wine Using Korean Pears)

  • 최정호;신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3-69
    • /
    • 2011
  • 한국 전통발효주 중에 존재하는 특이다당류의 화학적 특성 및 생물활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농가에서 직접 발효한 배주로부터 다당류를 분리하고 이들의 항보체 활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배주에 80% ethanol 침전을 행하여 얻어진 조다당 획분 PW-0을 이용, Sephadex G-75를 이용한 겔 여과 chromatography를 행하여 배주의 주요 다당인 PW-1을 정제할 수 있었다. PW-1 획분은 HPLC상에서 대칭을 유지하는 단일 peak로 검출되었으며, 분자량은 약 150 kDa으로 평가되었다. 정제다당인 PW-1의 구성당 조성을 확인한 주구성당으로 mannose(81.8%)가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으며 그 외 arabinose(1.2%), galactose(2.7%), glucose(8.5%), galacturonic acid(5.3%) 및 glucuronic acid(0.5%) 등 5종의 당류가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이 결과는 배주에 존재하는 주다당이 발효 효모의 세포벽에서 기원한 mannan임을 추정하게 하였다. 한편 고분자 정제 다당인 PW-1은 비특이적 면역계에 있어 중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체계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인 활성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Ca^{++}$ 이온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항보체 활성과 anti-human C3를 이용한 2차원 면역전기영동에 의하여 C3 산물을 동정한 결과로부터 보체계의 고전경로와 부경로 등 양 경로를 모두 경유하여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년초에서 분리한 점질다당의 면역자극 활성 (Immune System-Stimulating Activities of Mucilag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Opuntia humifusa)

  • 서이슬;신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5-102
    • /
    • 2012
  • 천년초(Opuntia humifusa)에 존재하는 점질다당의 새로운 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천년초로부터 다당을 분리하여 면역자극활성을 측정하였다. 천년초의 주요 다당 CNC-E는 상업용 효소처리, 물 추출 및 ethanol 침전을 거쳐 조제하고 이들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CNC-E는 분자량 약 700 kDa의 다당체로, 구성당 조성을 확인한 결과, arabinose, galactose 및 xylose를 높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었으며 rhamnose와 fucose를 미량 함유하고 있었다. 한편 CNC-E는 비장세포 유래 림프구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은 증식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냈다. CNC-E로 자극한 macrophage는 IL-6, IL-12, IL-10 및 TNF-${\alpha}$와 같은 cytokine의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진시켰으며 CNC-E를 mouse에 정맥 주사한 후 얻어진 NK세포는 Yac-1 종양 세포주에 대한 높은 치사작용을 보였다. 특히 CNC-E를 mouse 당 $100{\mu}g$ 처리한 후 얻어진 NK세포는 미처리 대조군에 비해 3배 높은 치사활성을 나타냈다. CNC-E는 인체 초기 면역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보체계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인 활성을 나타냈으며, anti-human C3를 이용한 면역전기영동실험과 $Ca^{2+}$이온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항보체 활성 실험을 통해 천년초 다당 CNC-E는 고전경로와 부경로를 모두 경유하여 활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한국산 선인장 천년초에는 인체에 유익한 면역 활성 다당체를 다량 함유함을 알 수 있었다.

한약재로부터 항보체 활성 다당의 검색 및 특성 (Screening and characteristics of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s from Chinese medicinal herbs)

  • 신광순;권경섭;양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1호
    • /
    • pp.42-50
    • /
    • 1992
  • 한약재를 대상으로 용철 보체 분석법$(TCH_{50})$을 이용, 항보체 활성물질에 대한 전반적인 검색을 실시하였다. 총 55종의 시료의 열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동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70%이상의 $TCH_{50}(total\;complement\;hemolysis\;of\;50%)$의 감소를 일으키는 비교적 강력한 항보체 활성을 소유한 울금, 대복피, 조각자, 화살나무, 가시오갈피, 인동, 부자, 계피 등 9종의 시료를 선택할 수 있었다. 이들은 pronase 소화 후 활성을 유지한 반면, $NaIO_4$ 산화에 의해 급격한 활성의 감소를 나타냄으로써, 그 활성의 본체가 다당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던 대복피(Areca catchu) 다당의 경우 $Ca^{++}$ 이온 부재시 부분적으로 활성의 감소를 보였으며, 정상인의 혈청과 반응시 C3의 분해산물을 면역 전기 영동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었는 바, 동 사실로부터 대복피의 보체 활성화 기구는 classical pathway뿐만 아니라 alternative pathway도 경유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Lactobacillus plantarum 균체 중 항보체 활성물질의 특성과 작용양식 (Characterization and Action Mode of Anti-Complementary Substance Prepar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 김장현;신광순;이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90-295
    • /
    • 2002
  • 김치 및 발효유 제품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과 공시균주 12종을 대상으로 보체 용혈 분석법을 이용하여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체계 활성화(항보체 활성, $TCH_{50}$) 정도를 측정한 결과, 김치로 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이 타 유산균 종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로 부터 조제된 세포벽 획분의 경우 세포질 획분보다도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각 획분의 활성은 농도 의존적 경향을 나타내었다. L. plantarum의 세포질 획분과 세포벽 획분의 경우 pronase 소화 후에는 활성의 변화가 없는 반면, 과요오드산 처리에 의해서는 급격한 활성의 감소를 나타내는데 이들 결과로부터 L. plantarum의 세포질과 세포벽 획분에 의한 보체계 활성화가 주로 다당 영역에 기인함을 알수 있었다. 한편 anti-human C3를 이용한 2차원 면역전기영동에 의해, $Ca^{++}$ 이온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세포질과 세포벽 획분에 의한 C3 활성화 산물을 동정할 수 있었다. 또한 L. plantarum의 세포벽 획분에 의한 항보체 활성은 동일 조건에서 활성을 유지한 반면, 세포질 획분에 의한 활성화 정도는 동일 조건에서 상당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 plantarum 세포벽 획분의 보체계 활성화 양식은 주로 alternative pathway의 활성화에 의한 것이며, 세포질 획분에 의한 활성화는 classical pathway와 alternative pathway 양 경로를 경유함을 알 수 있었다.

식물성 식품재료로부터 보체계 활성화 다당의 검색 및 그 활성검토 (Screening of Complement-System Activating Polysaccharide from Edible Plants and Its Action Mode)

  • 신광순;라경수;성하진;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7-203
    • /
    • 1993
  • 식물성 식품재료를 대상으로 보체 용혈분석법$(TCH_{50})$ 을 이용하여 보체 활성화능(항보체 활성)에 대한 검색을 실시하였다. 총 38종의 식용 식물추출물 중 5종의 시료에서 대조구에 비해 60% 이상의 $TCH_{50}$ 감소를 일으키는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그 활성의 순서는 $1000{\mu}g/ml$ 시료 농도에서 생강>토란대>냉이>은행잎>달래이었다. 한편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던 생강에서 조제된 ZR-1의 경우 pronase 소화 후에는 활성의 변화가 없는 반면에 과요오드산 산화에 의해서는 급격한 활성의 감소를 나타냄으로써 ZR-1의 단백질 부위가 아닌 다당 부위가 활성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ZR-1의 항보체 활성은 $Ca^{2+}$ 이온 부재시 부분적인 감소현상을 보였으며, ZR-1을 정상인의 혈청과 반응 후 anti-humanC3를 이용하여 2차원 면역 전기영동을 행한 결과 C3의 분해산물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획분은 $ACH_{50}$의 저해를 일으켰다. 동 결과로부터 ZR-1의 보체 활성화 양식은 classical pathway 뿐만 아니라 alternative pathway도 경유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감잎(Diospyos kaki L.)으로부터 정제한 보체계 활성화 다당류 (Purified Polysaccharide Activating the Complement System from Leaves of Diospyos kaki L.)

  • 정영주;전혁;김경임;안정희;신동훈;홍범식;조홍연;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79-884
    • /
    • 2002
  • 감잎으로부터 항보체 활성물질을 분리정제하기 위해 감잎 (250 g)을 $100^{\circ}C$에서 3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고 분자량 10 kDa membrane을 사용하여 농축한 후 ethanol 침전과 methanol 추출을 통해 조다당류(DKC)를 얻었다. 조다당류의 정제는 DEAE-Toyopearl 650C와 Bio-gel P60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정제된 DKC-1c는 $1000\;{\mu}g/mL$의 농도에서 고전경로를 통해서는 85.4% 활성화시켰고 부경로에서는 65.1% 활성화시켰다. 정제 다당류 DKC-1c는 분자량은 66.6 kDa이고 정제도가 높은 중성다당류로써 주요 구성당은 glucose(29.0 mol.%), arabinose(24.3 mol.%), galactose(16.2 mol.%) 순으로 검출되었다. 면역전기영동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DKC-1c는 C3를 부경로에서도 C3a와 C3b로 활성화시키는 complement activator임이 확인되었다.

참돔(Pagrus major)의 혈장 난황단백전구체에 대한 효소면역측정법과 난소성숙의 조기판정 (Enzymeimmunoassay for the Plasma Vitellogenin and Early Determination of Ovarian Maturation in Red Seabream, Pagrus major)

  • 한창희;양문호;백재민;임상구;김광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9
    • /
    • 1995
  • 난황형성 중인 암 참돔의 혈청 내에는 암 특이혈청단백질이 존재하고 있음이 Ouchterlony의 면역확산 검정과 면역 전기영동에 의하여 밝혀졌으며, 이러한 암 특이혈청단백질은 암 $\cdot$수 혈청과 난추출액의 면역학적인 조사에 의해 난황단백 전구체임이 밝혀졌다. 또한 난추출액으로부터 정제된 난황단백질은 난황전구체와 공통의 항원성이 있음도 면역학적인 조사에 의하여 알 수 있었다. 변형한 효소면역측정법의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일정 비율로 희석한 성숙중인 암 혈청의 흡광도 곡선은 난황단백질의 표준곡선과 평행하였다 본 효소면역측정법의 평균 회수율은 $109\pm5.6\%$이었으며, $10\%$ 이내의 assay내 변동계수 범위는 $31\~1,000ng/ml$이었다. 생식소의 성숙 단계에 대한 혈장내의 난황단백전구체의 양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휴지기후기(1월)부터 난황형성기(4월)까지 난황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하여 혈장 난황단백전구체의 양을 측정하였다. 난황단백전구체의 양은 난황형성 전기인 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난황형성기(3월부터 4월) 동안에는 난이 성장하면서 계속 증가하였다 2월부터 혈장내의 난황단백전구체의 양이 암$\cdot$수에 따라 현저하게 차이가 났다. 따라서 참돔 친어의 성 구분은 효소면역 측정법에 의하여 2월부터는 명확히 할 수 있다

  • PDF

감식초에서 분리한 면역활성다당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Korean Persimmon Vinegar)

  • 황용철;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0-227
    • /
    • 2008
  • 한국 전통발효음료 중에 존재하는 특이다당류의 화학적 특성 및 생물활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농가에서 직접 발효한 감식초로부터 다당류를 분리하고 이들의 각종 면역증강활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감식초에 80% ethanol 침전을 행하여 얻어진 조다당 획분 PV-0을 이용, 연속적인 3회의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감식초의 주요 다당인 PV-1b-I으로 정제할 수 있었다. PV-1b-I획분은 HPLC상에서 대칭을 유지하는 단일 peak로 검출되었으며, 분자량은 약 110 kDa으로 평가되었다. 정제다당인 PV-1b-I의구성당 조성을 확인한 결과, mannose(46.8%), galactose(28.5%) 및 arabinose(19.1%)를 높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본 정제다당은 ${\beta}$-glucosyl Yariv reagent와 강하게 반응하는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사실로부터 PV-1b-I이 arabino-3,6-galactan 부위를 소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감식초에서 정제한 다당 PV-1b-I은 in vitro상에서 macrophage의 활성화를 높은 비율로 유도하였으며, 비장세포에 대해 높은 증식능을 보였다. 또한 PV-1b-I을 정맥 투여한 경우, NK cell을 활성화하여 YAC-1 종양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증가시킴이 관찰되었다. 한편 고분자 정제 다당인 PV-1b-I는 비특이적 면역계에 있어 중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체계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인 활성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Ca^{2+}$ 이온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항보체 활성과 anti-human C3를 이용한 2차원 면역전기영동에 의하여 C3 산물을 동정한 결과로부터 보체계의 classical pathway와 alternative pathway 양 경로를 모두 경유하여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