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une-cell

검색결과 3,144건 처리시간 0.041초

붉은줄지렁이 (Eisenia andrei) 중장에서 발현되는 chitinase 유전자, EaChi의 동정 및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chitinase gene, EaChi, from the midgut of the earthworm, Eisenia andrei)

  • 탁은식;김대환;이명식;안치현;박순철
    • 유기물자원화
    • /
    • 제18권3호
    • /
    • pp.31-37
    • /
    • 2010
  • Chitinase (EC 3.2.1.14)는 곰팡이와 곤충 등에서 세포벽이나 외골격을 형성하는 생물학적 방어기질의 구성 요소인 chitin의 ${\beta}$-1,4-linkages를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다. 이러한 chitinase를 포함하는 Glycosyl hydrolases 18 family는 Archea, Prokaryotes 그리고 Eukaryotes에 널리 퍼져 있는 Ancient gene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 지렁이는 곰팡이와 세균이 많은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이러한 미생물들의 공격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붉은줄지렁이 (Eisenia andrei)의 중장에서 발현되는 Chitinases의 cDNA 서열을 얻기 위해 기존에 알려져 있던 EST 서열을 가지고 RT-PCR 및 RACE-PCR을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E. andrei의 중장에서 발현되는 Chitinase의 특성을 동정 및 규명하였다. 그 결과 309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927개의 염기 서열을 얻을 수 있었으며 다른 종들의 Chitinases와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렁이의 Chitinase는 Glycosyl hydrolases 18 family에 속하고, 기질 결합과 촉매 작용에 관여하는 2개의 영역이 잘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갑상선 종양에 있어서 말초형 림프구의 Purine Nucleoside Phosphorylase (PNP) 활성과 T 세포 아형에 관한 연구 (Purine Nucleoside Phosphorylase (PNP) Activity of Lymphocytes and T Cell Subsets in Peripheral Blood in Thyroid Tumors)

  • 김동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
    • /
    • 1992
  • 저자는 1991년 1월부터 동년 8월 사이에 부산대학교 병원 내과 외래에서 임상증상, 이학적 소견 및 각종 검사소견과 병리조직학적으로 진단된 단순 증식성 갑상선종 환자 20예, 갑상선선종 환자 9예 및 갑상선암환자 20예와 건강대조군 11례에서 말초혈 림프구의 PNP활성을 측정하고 $CD4^+$$CD8^+$ 세포를 동시에 검색하여 분석할 성적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말초혈 림프구의 PNP 활성은 건강 대조군 및 단순 증식성 갑상선종 보다 갑상선선종 및 암환자에서 의의있게 증가하거나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2) 말초혈의 $CD8^+$ 세포 비율은 갑상선암환자에서 건강 대조군, 단순 증식성 갑상선종 및 갑상선선종환자 보다 각각 의의 있게 감소하거나 감소하는 경 향이 있었다. 3) 말초혈의 CD4/CD8비는 갑상선암환자에서 건강 대조군, 단순 증식성 갑상선종 및 갑상선선종환자보다 각각 의의 있게 증가하거나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갑상선암환자에서는 말초혈의 억제/세포상해 T 세포의 감소에 의한 세포성 면역능의 이상이 있고, 말초혈 림프구의 PNP활성의 측정은 갑상선종양환자의 면역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는 검사라고 생각된다.

  • PDF

Diversity of vir Genes in Plasmodium vivax from Endemic Reg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an Initial Evaluation

  • Son, Ui-han;Dinzouna-Boutamba, Sylvatrie-Danne;Lee, Sanghyun;Yun, Hae Soo;Kim, Jung-Yeon;Joo, So-Young;Jeong, Sookwan;Rhee, Man Hee;Hong, Yeonchul;Chung, Dong-Il;Kwak, Dongmi;Goo, Youn-Kyou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2호
    • /
    • pp.149-158
    • /
    • 2017
  • Variant surface antigens (VSAs) encoded by pir families are considered to be the key proteins used by many Plasmodium spp. to escape the host immune system by antigenic variation. This attribute of VSAs is a critical issue in the development of a novel vaccine. In this regard, a population genetic study of vir genes from Plasmodium vivax was performed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Eighty-five venous blood samples and 4 of the vir genes, namely vir 27, vir 21, vir 12, and vir 4, were selected for study. The number of segregating sites (S), number of haplotypes (H), haplotype diversity (Hd), DNA diversity (${\pi}$ and ${\Theta}_w$), and Tajima's D test value were conducted. Phylogenetic trees of each gene were constructed. The vir 21 (S=143, H=22, Hd=0.827) was the most genetically diverse gene, and the vir 4 (S=6, H=4, Hd=0.556) was the opposite one. Tajima's D values for vir 27 (1.08530, P>0.1), vir 12 (2.89007, P<0.01), and vir 21 (0.40782, P>0.1) were positive, and that of vir 4 (-1.32162, P>0.1) was negative. All phylogenetic trees showed 2 clades with no particular branching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differences and cluster. This study is the first survey on the vir genes in ROK,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genetic level. The sample sequences from vir 4 showed a clear difference to the Sal-1 reference gene sequence, whereas they were very similar to those from Indian isolates.

천잠 cecropin-A 유전자 클로닝 및 재조합 발현 (Cloning and functional expression of a cecropin-A gene from the Japanese oak silkworm, Antheraea yamamai)

  • 김성렬;최광호;김성완;구태원;황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5-51
    • /
    • 2014
  • 면역 유도된 천잠(Antheraea yamamai) 유충에서 cecropin-A 유전자를 분리하였고 이 유전자를 Ay-CecA로 명명하였다. 전체 Ay-CecA cDNA 크기는 419 bp로 64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인코딩하는 195 bp ORF로 구성되어 있다. 천잠 CecA 유전자는 22개 잔기의 signal peptide, 4개 잔기의 propeptide 및 항균활성을 갖는 37개 잔기로 구성된 성숙 단백질(mature protein) 영역으로 구성되고 예상 분자량은 4046.81 Da으로 산출되었다. 천잠 CecA의 아미노산 서열은 다른 나비목 곤충에서 분리된 cecropin와 매우 높은 상동성(62 ~ 78%)을 나타냈다. Ay-CecA 유전자의 C말단에 기존에 보고된 곤충의 cecropin에서와 동일하게 C말단 아미드화를 위한 glycine 잔기가 존재하고 있다. 이 펩타이드의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해서 대장균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활성이 있는 재조합 Ay-CecA 발현에 성공하였다. 발현 기주인 대장균에 대한 재조합 CecA 독성 중화를 위해서 불용성 단백질인 ketosteroid isomerase(KSI) 유전자를 CecA 유전자와 융합하였다. 융합 CecA-KSI 단백질은 대부분 불용성 단백질로 발현되었다. 발현된 융합단백질은 Ni-NTA immobilized metal affinity chromatography(IMAC)에 의해서 정제하였으며 CNBr 반응을 통하여 재조합 CecA를 절단하여 용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양이온 교환 chromatography 과정을 통하여 CecA를 순수 정제하였다. 정제된 재조합 Ay-CecA는 그람음성균인 E. cori ML 35, Klebsiella pneumonia 및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 매우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높은 항균활성 지닌 CecA는 천잠의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Methoxychlor Produces Many Adverse Effects on Male Reproductive System, Kidney and Liver by Binding to Oestrogen Receptors

  • Kim, Dae You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7-162
    • /
    • 2013
  • Methoxychlor (MXC) was developed to be a replacement for the banned pesticide DDT. HPTE [2,2-bis (p-hydroxyphenyl)-1,1,1-trichloroethane], which is an in vivo metabolite of MXC, has strong oestrogenic and anti-androgenic effects. MXC and HPTE are thought to produce potentially adverse effects by acting through oestrogen and androgen receptors. Of the two, HPTE binds to sex-steroid receptors with greater affinity, and it inhibits testosterone biosynthesis in Leydig cells by inhibiting cholesterol side-chain cleavage enzyme activity and cholesterol utilisation. In a previous study, MXC was shown to induce Leydig cell apoptosis by decreasing testosterone concentrations. I focused on the effects of MXC on male mice that resulted from interactions with sex-steroid hormone receptors. Sex-steroid hormones affect other organs including the kidney and liver. Accordingly, I hypothesised that MXC can act through sex-steroid receptors to produce adverse effects on the testis, kidney and liver, and I designed our experiments to confirm the different effects of MXC exposure on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kidney and liver. In these experiments, I used pre-pubescent ICR mice; the puberty period in ICR mice is from postnatal day (PND) 45 to PND60. I treate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0, 100, 200, 400 mg MXC/kg b.w. delivered by an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sesame oil used as vehicle for 4 week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mice were sacrificed under anaesthesia. The testes and accessory reproductive organs were collected, weighed and prepared for histological investigation. I performed a chemiluminescence immune assay to observe the serum levels of testosterone, LH and FSH. Blood biochemical determination was also performed to check for other effec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ur histological observations or relative organ weights. Serum testosterone levels were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 greater dose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less testosteron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estosterone concentrations differed in the 200 and 400 mg/kg dosage groups. In conclusion, I observed markedly negative effects of MXC exposure on testosterone concentrations in pre-pubescent male mice. From our biochemical determinations, I observed some changes that indicate renal and hepatic failure.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MXC produces adverse effects on the reproductive system, kidney and liver.

코디세핀이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dycepin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 서민정;강병원;김민정;이혜현;서권일;김광혁;정영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8-72
    • /
    • 2014
  • 본 연구는 동충하초(Cordyces militaris) 유래의 기능성 물질인 코디세핀의 면역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C57BL6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코디세핀이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 LPS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복강세포는 코디세핀의 작용에 의해 IL-$1{\beta}$, IL-12, TNF-${\alpha}$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이 증대되어 초기 염증매개 반응을 유도하여 선천면역반응의 활성화와 그리고 면역작용에 있어 후기 적응면역의 전환으로의 T 림프구의 활성화가 예상된다. 또한 IL-6의 생성증대로 활성화된 T 림프구에 의해 B 림프구의 항체생성반응을 매개하는 면역반응도 상승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대식세포에 의한 염증반응에서 염증매개인자인 NO와 $H_2O_2$의 생성을 증대시킴에 따라 대식세포의 독성작용을 활성화시켜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것으로 보이며, 또한 $H_2O_2$의 후기 생성을 저해하였는데 이는 염증반응에 유도될 수 있는 세포의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코디세핀은 외부인자로부터 염증매개성 면역반응의 증강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인간 단핵구 THP-1의 염증반응 및 장관상피세포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퉁퉁마디 추출물 분획의 영향 (Modulation of the inflammatory process and interaction of THP-1 monocytes with intestinal epithelial cells by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s)

  • 최유미;강스미;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78-38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퉁퉁마디 추출물의 용매 분획을 통해 얻은 Fr.H, Fr.E, Fr.EA, Fr.B, 및 Fr.W, 분획의 인간 단핵구 THP-1 세포에 대한 면역조절 활성과 정상 장관계 세포 및 장관계 암세포를 이용하여 면역세포와 장관상피 세포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HP-1 세포는 PMA에 의해 분화가 진행되었으며 분화된 THP-1 세포는 LPS에 의해 활성화되어 COX-2 단백질 발현이 유도 되었다. 퉁퉁마디 분획은 분화된 THP-1 세포에서 COX-2, iNOS, 및 $cPLA_2$ 발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분획 중 Fr.E는 LPS에 의해 유도된 COX-2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분화된 THP-1에서 퉁퉁마디 분획을 처리하여 얻은 배양액은 INT-407 정상 장관계 세포의 성장을 촉진한 반면, HT-29 대장암 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성장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THP-1에 LPS를 처리한 배양액은 HT-29 세포의 COX-2 발현을 유도하였으며 이러한 LPS의 효과는 Fr.E의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면역세포와 장관계 세포 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퉁퉁마디 분획의 영향을 조사하여 이를 통한 면역조절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보였으며, 면역조절 기능성 소재로서의 퉁퉁마디의 이용성 확대를 위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활성 RAW 264.7 세포에서 항염증 및 자외선 유도 마우스 피부손상의 개선에 대한 새송이 추출물의 효과 (Effects of Pleurotus eryngii extract against inflammation in activated RAW 264.7 cells and UV-induced skin damage in mice)

  • 조병옥;윤홍화;이현서;추정임;장선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0-96
    • /
    • 2017
  • 본 연구는 먼저 새송이버섯 추출물인 PEE가 활성화된 면역세포에서 항염증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 PEE를 처리했을 때 5과 15 mg/mL 등 높은 농도에서 NO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리고 LPS가 유도하는 $IL-1{\beta}$와 IL-6는 5 mg/mL 농도에서는 억제 없었으나, 15 mg/mL 농도에서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다음은 UVB가 유도하는 C57BL/6 마우스 피부손상에 대한 PEE의 개선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PEE를 7일간 경구투여한 후 7일, 10, 13일 등 3일 간격으로 하루에 1회씩 UVB ($250mJ/cm^2$)로 마우스 등 피부에 조사하여 피부손상을 유발하였다. UVB 조사 후부터는 PEE를 경구투여와 함께 피부에 도포하여 PEE가 피부 손상에 대한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PEE 투여군은 UVB로 유도되는 표피두께, 홍반지수 및 멜라닌 지수가 참고약물로 사용한 비타민 C(AA) 투여군과 유사한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PEE 투여군은 UVB가 유도하는 비만세포를 비롯한 염중세포 침윤이 현저히 억제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PEE는 항염증 효과와 더불어 UVB가 유도하는 피부손상을 개선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어 기능성 식품소재 및 화장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Genuin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BaekJeol-Tang for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 Han, Na-Ra;Sim, Woo-Moon;Sul, Moo-Chang;Kim, Min-Cheol;Lee, Chang-Hee;Kim, Dong-Won;Lee, Se-Hun;Lee, Ho-Cheol;Ryu, Jong-Min;Nam, Bong-Soo;Kim, Jong-Ok;Moon, Seong-Oh;Jang, Hyeon-Lok;Kim, Young-Seok;Lee, Ihn;Yang, Jin-Young;Hwang, Kyu-Sun;Chun, Chang-Sun;Jeong, Hyeon-Seok
    • 셀메드
    • /
    • 제3권2호
    • /
    • pp.18.1-18.7
    • /
    • 2013
  • Inflammation in rheumatoid arthritis is characterized by immune cell infiltration and cytokine secretion. In particular, mast cells and their cytokin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rheumatoid arthritis. Korean medicine, BaekJeol-Tang (BT) was design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ory. We already reported therapeutic effect of BT in rheumatoid arthritis. Here, we report the specific underlying mechanism of BT in activated human mast cells, HMC-1 cells. In addition,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that B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roduction and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hymic stromal lymphopoietin, interleukin (IL)-$1{\beta}$, IL-6, IL-8,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activated HMC-1 cells. BT also decreased the activ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nuclear factor-${\kappa}B$, and caspapase-1.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T has potential as a regulator of inflammatory reactions for the treatment of arthritis such as osteo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Acne Gel Containing Siamese Crocodile (Crocodylus siamensis) Leukocyte Extract

  • Phupiewkham, Weeraya;Lu, Qiumin;Payoungkiattikun, Wisarut;Temsiripong, Threeranan;Jangpromma, Nisachon;Lai, Ren;Klaynongsruang, Somp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5호
    • /
    • pp.707-717
    • /
    • 2018
  • Leukocytes are reportedly the first line of the innate immune defense and essential for the control of common bacterial infections. Therefore, in this work,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rocodile leukocyte extract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was evaluated, and we also characterized the related activity of skin infection. The leukocyte extract showe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o be $100{\mu}g/ml$ to P. acnes. SEM imaging demonstrated that the leukocyte extract adversely affected P. acnes cell permeabil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Furthermore, the crocodile leukocyte extract could significantly reduce proinflammatory markers and decrease inflammatory signs in infected mouse ears. The crude leukocyte extract was further purified using FPLC and RP-HPLC. The resulting fraction F5 was indicated as the anti-acne peptide-containing fraction. The molecular mass of the peptide contained in F5 was calculated to be 4,790.5 Da. N-Terminal sequencing revealed the amino acid sequence as GPEPVPAIYQ, which displays similarities to immunoglobulin A and leucine-rich repeat neuronal protein. This is the first reported amino acid sequence of a crocodile leukocyte extract that possesses anti-acne activity. To attempt to use it in a prototype cosmetic, an anti-acne gel containing crude crocodile leukocyte extract was formulated, resulting in seven gel formulations (G1, G2, G3, G4, G5, G6, and G7). The formulations G5, G6, and G7 exhibited 2-fold higher anti-acne activity than G1-G4. Investigation of accelerating stability studies of anti-acne gel formulations G5, G6, and G7 demonstrated that a low storage temperature ($4^{\circ}C$) is suitable for maintaining the phys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of the anti-acne gel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