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nuoglobuli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육계의 성장능력 향상을 위한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의 적정 첨가수준 결정 (Determination of Optimal Added-Levels of Inuloprebiotics for Promotion of Growing Performance in Broiler Chickens)

  • 박병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84-692
    • /
    • 2011
  • 본 연구는 브로일러의 성장능력을 촉진하기 위한 사료 내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의 적정 첨가수준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부화 당일 로스계통(Ross 308)의 브로일러 수컷 320수를 4개의 처리구로 완전임의배치하여 35일 동안 사육하였다. 실험처리구는 대조구(무첨가구), 항생제 첨가구(avilamycin 8 ppm),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200 ppm 첨가구 및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250 ppm 첨가구로 구분하였다. 브로일러의 체중과 사료섭취량은 두개의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가 대조구, 항생제 첨가구 보다도 높았고, 항생제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서 높았으며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전체 실험기간 동안 사료요구율은 대조구가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와 비교할 때 유의하게 높았으나 항생제 첨가구와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 사이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다. 도체중, 도체율, 가슴살, 다리살의 무게는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가 대조구,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고,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200 ppm, 250 ppm 첨가구 사이의 차이는 없었으나 항생제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높았다. 복강지방은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가 유의하게 감소(19.08~23.30%)하였으며 혈액 면역물질과 흉선, F낭의 무게는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가 대조구와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장내 유익한 Bifidobacteria와 Lactobacillu는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첨가구가 대조구와 항생제 첨가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유해한 E. coli와 Salmonella는 그 반대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본 연구는 브로일러의 성장능력 향상을 위한 사료 내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의 적정 첨가수준은 200 ppm에서 결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속조명과 폭염 스트레스가 육계의 혈액지질 및 성장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eme heat stress and continuous lighting on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lipid in broiler chickens)

  • 박상오;황보종;류채민;윤재성;박병성;강환구;서옥석;채현석;최희철;최양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8-87
    • /
    • 2013
  • 본 연구는 연속조명과 함께 폭염 스트레스(extreme heat stress, EHS)에 노출된 브로일러에서 폭염사료 급여가 혈액지질, 성장능력, 면역기관, 혈청 면역물질, 맹장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반 환경온도 ($25^{\circ}C$) 또는 폭염스트레스 ($33{\pm}2^{\circ}C$)하에서 사육한 병아리는 일반사료(chow diet, CD)와 폭염사료(extreme heat diet, EHD)를 섭취하였다. 부화 당일 Ross 308 병아리 500 마리를 5 처리구 4 반복(반복 펜 당 25 마리)으로 완전임의배치 하였다. T1 (일반환경+CD), T2 (EHS+CD), T3 (EHS+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및 당밀 5%를 함유하는 EHD), T4 (EHS+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당밀 5%, 메치오닌과 라이신을 각각 CD 의 1.5 배씩 함유하는 EHD), T5 (폭염+CD 내 우지를 대두유로 대체, 당밀 5%, 메치오닌과 라이신을 각각 CD 의 1.5 배씩 추가 및 비타민 C 300 ppm 을 함유하는 EHD)로 구분하였다. EHS 는 체중 및 사료섭취량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액지질, 혈액 면역물질, F 낭, 흉선 그리고 비장의 무게는 브로일러를 EHS 에 노출하였을 때 유의하게 낮아졌다. 일반 환경온도 처리군과 비교할 때 EHS 처리군에서 맹장 Lactobacillus sp.는 낮았으나 Escherichia sp., Salmonella sp. 및 총호기성균은 높게 나타났으며 각 처리구 사이의 통계적인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의 사료 내 첨가가 육계의 성장능력, 혈액 면역물질 및 맹장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Inuloprebiotics on Performance, Serum Immunoglobulin and Caecal Microflora in Broiler Chickens)

  • 박상오;박병성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39-555
    • /
    • 2009
  • 본 연구는 브로일러 사료 내 항생물질을 대체하기 위한 천연항균성장촉진제로서 국산 돼지감자로부터 추출, 제조한 미세캡슐화,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의 첨가에 따른 성장능력, 혈액 면역물질 및 맹장 미생물 변화를 조사하였다. 로스계통(Ross 308)의 성감별을 실시한 수컷 브로일러 240수를 4처리구$\times$3반복(반복 펜 당 20수)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브로일러는 기본사료(T1: 대조구), 항생제(T2: Chlorotetra cycline, CTC 0.1%),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300ppm(T3),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450ppm(T4) 함유사료를 각각 35일 동안 섭취하였다. 브로일러의 체중 및 도체율은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를 섭취한 처리구(T3, T4)가 대조구 (T1) 및 항생제(T2) 함유사료를 섭취한 처리구에 비해서 높았으며 통계적인 유의차(P<0.05)가 인정되었다. 브로일러의 도체중에 대한 비율로서 나타낸 닭 가슴살 및 다리살의 무게 비율은 T3, T4가 T1, T2에 비해서 높았으며 통계적인 유의차(P<0.05)가 인정되었다. 복강지방 무게는 T3, T4가 T2, T1에 비해서 유의하게(P<0.05) 감소경향을 나타냈다. 혈액 면역물질 IgG는 T3, T4가 T1, T2와 비교할 때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다. 생체중에 대한 비율로서 나타낸 면역기관 흉선, F낭의 무게 비율은 T3, T4가 T1, T2에 비해서 유의하게 (P<0.05)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장내 유익한 bifidobacteria와 Lactobacillus는 T3, T4가 T1, T2에 비해서 높았으나 유해한 E. coli와 Salmonella는 오히려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인 유의차(P<0.05)가 인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중요한 점은 유기축산 사료용 항생제 대체 물질로써 이눌로프리바이오틱스 300ppm 수준을 브로일러 사료에 첨가 급여해 줌으로서 브로일러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