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ature rats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8초

Rat 비장에서 MT1 과 MB2 항체의 양성반응세포 분포 (Distribution of positive cells by two monoclonal antibodies (MT1, MB2) in rat spleens)

  • 곽수동;고필옥;김종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55-460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s of the positive cells in rat spleens by two monoclonal antibodies of MT1 and MB2. The spleens of immature 10 rats (Sprague Duwely, approximately 200gm) were collected and paraffin-embedded sections of spleens were stained with immunohistochemical methods. Higher proportions of MT1-positive cell number in spleens were ordered as marginal zone(8.5~18.1%), red pulp(2.1~8.8%) and periarterial lymphoid sheath(0~1.6%) in white pulp, and those of MB2-positive cell number are ordered as the central area of the periarterial lymphoid sheath(100%), red pulp(29.1~45.0%), marginal zone(15.2~30.4%), and peripheral area of periarterial lymphoid sheath(2.3~3.5%). The positive cells by MB2 are more numerous in number than by MT1. The above results were concluded that the positive cells by above two monoclonal antibodies were scattered throughout the red pulp and marginal zone, but in the central area of the periarterial lymphoid sheath, the MB2-positive cells only were present.

  • PDF

Munc18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Glutamate Release during Female Puberty Onset

  • Kim, Byung U.;Choi, Jungil;Ahn, Kook Hee;Jeong, Jin Kwon;Ha, Chang Man;Jeong, Choon Soo;Lee, Chae Kwan;Kang, Sung Goo;Lee, Byung Ju
    • Molecules and Cells
    • /
    • 제22권1호
    • /
    • pp.30-35
    • /
    • 2006
  • Munc18, a mammalian homolog of C. elegans Unc, is essential for neurotransmitter rel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strogen-dependent expression of Munc18-1 and its role in the regulation of glutamate release for puberty onset. Hypothalamic munc18-1 mRNA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estrogen treatment in ovariectomized, immature female rats. During pubertal development, the munc18-1 mRNA levels dramatically increased between the juvenile period and the anestrous phase of puberty. Intracerebroventricular administration of an antisense oligodeoxynucleotide against munc18-1 mRNA significantly decreased glutamate release and delayed the day of puberty ons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nc18-1, expressed in an estrogen-dependent mann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onset of female puberty via the regulation of glutamate release.

백서에서 Serine Protease 억제제가 난포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 of Serine Protease Inhibitor on Follicular Development in the Rat Ovary)

  • 윤병구;이진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0권1호
    • /
    • pp.19-29
    • /
    • 1993
  • Plasminogen activator (PA)-plasmin system in follicular fluid is involved in the process leading to follicular rupture at ovulation. It is well known that PA is closely associated with cellular differentiation and tissue remodeling on evidences from the study of normal and malignant tissu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certain a potential role of PA in the ovarian folliculogenesis. Immature Sprague-Dawley rats were injected with 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in, followed by injection of serine protease inhibitor (SPI; mixture of 1 mol/L benzamidine and 1 mol/L amino-caproic acid) into the unilateral ovarian bursa. In the control study, mechanical effect of bursal injection and contralateral ovarian effect SPI were ruled out. Total antral follicular areas relative to total ovarian cross-sectional areas was siginificantly lower in SPI-injected ovary than in saline-injected ovary. SPI injection decreased the relative antral follicular area by 33 % respectively. Electron microscopic finding of granulosa cell in the atretic follicle showed the presence of pyknotic nucleus, blurring of neucleolemma, degeneration of mitochondria and dilation of endoplasmic reticulum. After induction of ovulation with hCG, the number of oocytes release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PI-injected oviduct than in saline-injected oviduct. From above results, author discussed that PA may play a role not only in ovulation but also in some processes of folliculogenesis.

  • PDF

흰쥐 난소내 Leptin 및 Leptin 수용체의 발현 (Expression of Leptin and Its Receptor in Rat Ovary)

  • 김명신;양현원;권혁찬;황경주;윤현숙;박금자;김세광;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2호
    • /
    • pp.173-178
    • /
    • 1998
  • 비만유전자 산물인 leptin은 지방 조직에서 생성되어 혈액으로 분비되며, 신진대사, 식욕, 체열 등을 조절하여 비만의 억제 조절 물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leptin은 비만 뿐만 아니라 생식 생리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leptin의 작용이 난소에 직접적인지 혹은 시상하부나 뇌하수체를 매개로 하는지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난소에서의 leptin 및 leptin 수용체의 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 또한 미진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후 3주령과 8주령의 흰쥐 난소에서 leptin과 leptin 수용체의 발현 양상을 면역조직화학방법과 RT-PCR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면역조직화학방법 결과 3주령과 8주령 흰쥐 모두에서 leptin은 협막세포와 폐쇄 난포의 일부 과립세포에 염색되었고, leptin수용체는 협막세포, 간질세포와 난포강이 형성되지 않은 난포의 난자에 염색되었다 RT-PCR 결과 3주 및 8주 흰쥐 난소에서 leptin mRNA는 모두 발현되지 않은 반면, leptin 수용체 mRNA는 모두 발현되었다. 결론적으로 leptin mRNA가 난소에서 발현되지는 않지만,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leptin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leptin 수용체는 난소에서 RT-PCR 방법과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혈액에서 난소 내로 유입된 leptin이 협막세포, 간질세포와 난자의 leptin 수용체에 결합하여 난소의 생리적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미성숙 암흰쥐에 있어서 편측난소척출이 난포발육, 황체 및 혈청 Progesterone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ilateral Ovariectomy on Development of Ovarian Follicle, Corpus Luteum and Serum Progesteron Level in Immature Female Rats)

  • 정재혁;김종대;정영채;김창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7-104
    • /
    • 198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ilateral ovariectomy on the weight of the remaining ovary, the change of number of ovarian follicle, number of corpus luteum and serum progesterone level. Sixty Sprague-Dawley female rats, 23$\pm$2 days old, were divided into 2 groups (control and unilaterally ovariectomized goup) with 30 heads per groups. Each group was again subdivided into 6 groups according to 6 experimental periods; Day 4, 8, 12, 16, 20 and 24 after uniteral ovariectomy. Five arts at every 4 day intervals were sacrificed for the measuring of ovarian weight and for quantitative histologic examination of ovary and at the same time, blood samples were taken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progesterone level of radioimmunoass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s, a significant hypertrophy occured in the remaining ovary of unilaterally ovariectomized group from day 16 after operation. The average ovarian weight of control group at day 16 was 21.0$\pm$1.7mg, which is samller than that of unilaterally ovariectomized group weighing 50.5$\pm$8.4mg(P<0.01). The ovarian weight of the unilaterally ovariectomized rats at day 20 and day 24 was 75.9$\pm$2.2 mg and 63.3$\pm$7.0 mg, which is heavi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29.1$\pm$2.3 and 26.3$\pm$1.7 mg(P<0.01 and P<0.01). 2. A same degree of ovarian follicle development was observed in the unilaterally ovariectomized group. Following unilateral ovariectomy and there was no change in total number of follicles larger than 130$\mu$ during the period from day 4 till day 24 after operation. 3. Although the size fo ovarian follicle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between two groups from day 4 till day 16, the size of vesicular follicle in unilaterally ovariectomized group (406.3$\pm$26.2$\mu$) was significantly greater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323.8$\pm$19.3$\mu$)(P<0.05). 4. Corpus luteum in unilaterally ovariectomized and control group began to a, pp.ar from day 16 after operation and then the number of corpus luteum slightly increased. The number of corpus luteum in unilaterally ovariectomized group at day 24 ws remarkably increased (13.7$\pm$1.41) than that of control (5.2$\pm$2.01)(P<0.01). 5. Serum progesterone levels in unilaterally ovariectomized group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groups.

  • PDF

ELISA법을 이용한 폐흡충 감염 백서의 혈청내 항원 검출 (Detection of circulating antigens in rat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Paragonimus westermani by ELISA)

  • 용태순;김동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2호
    • /
    • pp.141-148
    • /
    • 1987
  • 실험적으로 폐홉춘을 감염시킨 백서의 혈청내 항원을 ELISA 법으로 측정하였다. 시험용 혈청은 폐흡충의 피낭유충을 마리당 25개씩 먹인 총 22마리의 백서에서 감염후 12주가 될 때까지 채혈하여 얻었다. 폐흡충에 대한 특이항체는 폐흡충 감염 고양이의 혈청으로부터 ammonium sulfate 침전과 anionezchange chromatography를 이용, IgG를 분리한 후 affinity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순수분리하였다. 항원을 찾기 위한 ELISA는 소위 "double antibody sandwich method"를 사용하였다. 대조로서 사용한 감염전 혈청의 O.D.치 평균값은 0.04(표준편차 0.04)이었으며 감염후 O.D.치 (표준편차)의 변화를 보면 0.5주(3일)는 0.03(0.01), 1주는 0.55(0.50), 1.5주는 0.69(0.45), 2주는 0.20(0.19), 2.5주는 0.13(0.10)이었고 감염 3주 이후는 대조 혈청의 값으로 떨어졌다. 대조혈청의 $평균간+3{\times}$ 표준편차, 즉 0.16이하를 이 system에서의 비특이적 수치로 잡았을 때 이 이상의 수치를 나타낸 경우는 감염 후 1주부터 2.5주까지의 혈청에서만 관찰되었다. 한편 감염 12주 후에 총 10마리의 백서를 희생시켜 유충을 회수하여 보았다. 폐와 흉강에서는 평균 2.2마리, 근육에서는 평균 6.2마리의 유충을 회수할 수 있었다. 폐흡충 감염 백서에 있어 충체가 생산하는 항원은 감염 1주 후부터 혈청 내에서 검출되었다. 그러나 감염 3주후부터는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것은 항원-항체 복합체 형성에 의한 반응 저해 현상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랫드에 있어서 클로미펜 시트레이트가 난소기능 및 수정란 발육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omiphene citrate on ovarian function and embryo developmental capacity in the rat)

  • 윤영원;권종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24
    • /
    • 1992
  • 클로미펜 시트레이트가 배란반응, 난자의 형태, 난소 스테로이드 생성 및 수정란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PMSG 처리한 랫드에서 조사하였다. 먼저 세가지 용량(0.05mg, 0.1mg 및 1.0mg)의 클로미펜 시트레이트 또는 부형제를 미성숙의 Sprague Dawley 암컷에 일령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투여하였다. 그후 28일령에 이들 모든 암쥐에게 4IU PMSG를, 30일령에는 1.0mg 클로미펜 시트레이트가 처치된 일부의 암쥐에게 10IU hCG를 추가로 투여하였고, 31일령에 모두 도살하였다. 한편 4IU PMSG와 더불어 0.1mg클로미펜 시트레이트 또는 부형제를 투여한 일부의 암쥐는 숫쥐와 교미시킨 다음 임신 2일부터 5일까지 매일 도살하였다. 클로미펜 시트레이트의 용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배란반응(배란율 및 평균 배란난자의 수)과 난소중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고 반면 배란난자의 변성율(%)은 그 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클로미펜 시트레이트에 의한 배란반응 및 난소중량의 억제적 반응은 10IU hCG 추가투여에 의하여 완전히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그리고 클로미펜 시트레이트의 투여용량의 증가는 프로제스테론과 안드로젠의 혈장치 감소와 더불어 에스트라디올의 혈장치를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hCG의 추가투여는 이러한 클로미펜 시트레이트 작용에 의해 증가된 에스트라디올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감소된 프로제스테론치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0.1mg의 클로미펜 시트레이트를 투여한 임신 랫드로부터 회수한 수정란은 전기간에 걸쳐 그 변성율(%)의 현저한 증가와 아울러 특히 임신 3일부터 그 수가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클로미펜 시트레이트 투여에 의한 수정란의 난분할 속도도 임신 3일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지연되었으며 아울러 회수된 수정란의 난분할율(%)도 전기간에 걸처 대조군보다 지속적으로 저하되었다. 위의 결과는 흰쥐에 있어서의 클로미펜 시트레이트 투여에 의한 배란억제반응과 아울러 그 작용기전에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억제 또는 차단작용이 포함됨을 증명하였고 이 약제의 투여에 의한 난자의 형태적 정상성과 수정란발육에 대한 유해효과는 수정이전 시기에 있어서의 난소스테로이드 생성 특히 에스트라디올의 증가에 기인함을 제시한다.

  • PDF

미성숙 암컷 흰쥐 시상하부-뇌하수체 축 상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Vinclozolin 투여 효과 (Effect of Vinclozolin Administration on the Gene Expressions in Hypothalamus-Pituitary Axis of Immature Female Rats)

  • 이우철;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97-105
    • /
    • 2008
  • Vinclozolin (VCZ)은 침투성 살균제로써 과일, 채소, 와인산업에 널리 사용된다. VCZ와 그것의 대사산물들인 butenoic acid (M1)과 enanilide (M2)는 안드로겐 수용체를 놓고 항 안드로겐 물질로 작용한다. VCZ가 수컷의 생식생리와 병리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 EDC)로 작용함에 대한 증거는 많이 있지만, 암컷 생식생리에 미치는 VCZ의 효과에 대한 증거는 전무하다. 본 연구자들은 이전 연구에서 VCZ가 미성숙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를 유의하게 지연시킴을 보고한 바 있는데, 이는 VCZ에 의해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hypothalamus-pituitary-ovary, H-P-O) 생식 호르몬 축의 활성이 지연되거나 약화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성숙 암컷 흰쥐들의 VCZ 투여가 암컷 흰쥐의 시상하부-뇌하수체 축의 생식 호르몬 관련 유전자들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VCZ (10 mg/kg/day)를 생후 21일부터 첫 번째 질구개방이 관찰되는 날까지 매일 복강주사하였다.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표적 유전자들의 전사적인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고 반 정량적 역전사 중합효소반응(RT-PCR)을 실시하였다. VCZ 투여군에서 시상하부의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의 분비를 조절함이 알려진 nitric oxide synthase-2 (NOS-2)의 전사활성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유사하게, VCZ 투여군의 시상하부에서의 KiSS-1, G protein-coupled receptor54 (GPR54) 그리고 GnRH mRNA 수준도 감소하였다(p<0.01). 예상대로, VCZ 투여군의 뇌하수체 luteinizing hormone-${\beta}$ (LH-${\beta}$)과 follicle stimulating hormone-${\beta}$ (FSH-${\beta}$) 전사활성도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이번 연구를 통해 미성숙 암컷 흰쥐의 VCZ 노출시 사춘기 개시의 지연효과는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 축의 GnRH와 KiSS-1같은 성선자극호르몬들과 그들의 상위조절인자들의 전사 활성의 감소에 의해 야기되고, 아마도 nitric oxide (NO) 신호전달경로에 의해 조절됨을 시사한다.

  • PDF

떫은감 (Diospyros kaki Thumb.)이 흰쥐의 식이성 이상지질혈증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mb.) against diet-induced hypertriglyceridemia/hypercholesterolemia in rats)

  • 안영숙;;오은경;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3호
    • /
    • pp.225-235
    • /
    • 2017
  • 본 연구는 성숙도가 다른 떫은감 분말의 이상지질혈증 개선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Wistar계 흰쥐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이상지질혈증 유도를 위해 7주간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하였으며, 미성숙감과 성숙감 건분은 7%, 양성대조군으로 탄닌은 1%의 수준으로 식이에 함께 넣어 같은 기간 동안 제공하였다. 체중의 증가, 혈장과 간 조직의 지질 및 콜레스테롤 수준을 바탕으로 이상지질혈증 모델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탄닌, 성숙감, 미성숙감을 섭취한 경우에는 체중, 혈장 Apo B 및 ox-LDL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별히 미성숙감은 LDL-C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탄닌, 성숙감, 미성숙감의 섭취는 간에서 병리조직학적 손상과 총지질 및 중성지방의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유사한 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유전자 발현은 서로 다른 양상으로, 탄닌군은 콜레스테롤 합성과 관련된 HMGCR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고, 성숙감은 간에서 담즙산 생성을 통한 콜레스테롤 배출과 관련된 CYP7A1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미성숙감은 지방산 합성과 관련된 FAS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감은 탄닌 성분을 매개로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고, 성숙도에 따라 미성숙감은 중성지방합성을 억제하고 성숙감은 담즙산 생성을 통한 콜레스테롤 배출을 증가하는 기전으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대사 개선을 목적으로 한 기능성 소재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변에서 답즙산 분석 등을 통한 기전 확인이 필요할 것이며, 혈중 oxLDL 수준과 같은 항산화 기능과 지질대사 간 상호 영향을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ion by Larrea nitida on MCF-7 Cell Proliferation and Immature Rat Uterus

  • Ahn, Hye-Na;Jeong, Si-Yeon;Bae, Gyu-Un;Chang, Minsun;Zhang, Dongwei;Liu, Xiyuan;Pei, Yihua;Chin, Young-Won;Lee, Joongku;Oh, Sei-Ryang;Song, Yun Se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2권4호
    • /
    • pp.347-354
    • /
    • 2014
  • Larrea nitida is a plant that belongs to the Zygophyllaceae family and is widely used in South America to treat inflammatory diseases, tumors and menstrual pain. However, its pharmacological activity remains unclear.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roperty of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SERM) of Larrea nitida extracts (LNE) as a phytoestrogen that can mimic, modulate or disrupt the actions of endogenous estrogens, depending on the tissue and relative amount of other SERMs. To investigate the property of SERM of LNE, we performed MCF-7 cell proliferation assays, estrogen response element (ERE)-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human estrogen receptor (hER) binding assays and in vivo uterotrophic assay. To gain insight into the active principles, we performed a bioassay-guided analysis of LNE employing solvents of various polarities and using classical column chromatography, which yielded 16 fractions (LNs). LNE showed high binding affinities for $hER{\alpha}$ and $hER{\beta}$ with $IC_{50}$ values of $1.20{\times}10^{-7}$ g/ml and $1.00{\times}10^{-7}$ g/ml, respectively. LNE induced $17{\beta}$-estradiol (E2)-induced MCF-7 cell proliferation, however, it reduced the proliferation in the presence of E2. Furthermore, LNE had an atrophic effect in the uterus of immature rats through reducing the expression level of progesterone receptor (PR) proteins. LN08 and LN10 had more potent affinities for binding on $hER{\alpha}$ and ${\beta}$ than other fract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LNE had higher binding affinities for $hER{\beta}$ than $hER{\alpha}$, and showed SERM properties in MCF-7 breast cancer cells and the rat uterus. LNE may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estrogen-related conditions, such as female cancers and menopa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