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ature oocytes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3초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선발된 한우로부터 초음파 유래 체외수정란 이식에 의한 고품질 한우 생산기술의 실용화 II. DNA 검정우로부터 초음파 유래 체외수정란의 생산에 관한 연구 (Practical Applications of DNA Marker-Assisted Selection and OPU-Derived IVF Embryo Transfer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Meat in Hanwoo II. Production of IVF Embryos Derived Transvaginal Ovum Pick-up from DNA Marker-Proved Hanwoo)

  • 박희성;이지삼;진동인;박준규;홍승표;이명열;정장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20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DNA marker가 검정된 한우로부터 생산한 체외수정란을 이식하여 육질 및 육량의 유전적 능력이 우수한 한우를 대량생산하여 고품질 한우 쇠고기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DNA marker 검정 한우로부터 초음파유도 난포란을 채란하여 체외수성 및 수정란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각종 요인들과 배반포기 수정란의 부화율 개선을 위하여 투명대를 laser로 drilling을 실시하여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초음파유래 체외수정란의 분할률은 swim-up과 percoll 방법이 각각 75.0%(48/64) 및 71.4% (45/63)로써 이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도축장유래 체외수정란의 분할율도 각각 69.9% (121/173) 및 62.2%(l12/180)로써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을 초음파유래 체외수정란이 25.0%(swim-up; 12/48) 및 22.2%(percoll; 10/45)로써 정자의 처리방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초음파유래 체외수정란도 각각 29.8%와 28.6%로써 차이가 없었다. 초음파유래 난포란을 등급별로 분류하여 체외수정을 실시하였을 때 1(G I), 2(G II) 및 3(G III)등급 난포란의 분할율은 각각 60.0%(3/5), 69.2%(18/26) 및 62.1%(59/95)로써 이들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4등급 난포란의 36.2%(25/69) 보다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은 1 및 2등급이 33.3% (1/3) 및 38.7%(7/18)로써 3 및 4등급의 16.9% (10/59) 및 4.0%(1/25)보다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초음파유래 난포란을 체외수정 후 TFB, HT 및 HTB 배양액으로 체외배양을 실시하였을 때 분할율은 68.7%(55/80), 65.0%(13/20) 및 68.2% (15/22) 로써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초음파유래 체외수정란의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은 TFB (25.5%), HT(23.1%) 및 HTB(20.0%)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Laser system 으로 zona drilling을 실시한 EB, ExB 및 ExBO 수정란의 부화율은 각각 65.8%(25/38), 82.9%(29/35) 및 80%(16/20)로써 초음파유래 ExB 수정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zona drilling 을 하지 않은 배반포기 수정란은 각각 25.0%(EB; 12/48) 및 35.7%(ExB; 15/42)로서 이들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zona drilling한 배반포기 수정란은 bona drilling을 하지 않은 배반포기 수정란에 비하여 부화율이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돼지에서 Open Pulled Straw(OPS) 방법에 의해 동결-융해한 수정란의 생존능력 (Survival and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Produced in vitro Using Open Pulled Straw Methods)

  • 이상영;유재숙;사수진;박춘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5-262
    • /
    • 2006
  • 본 연구는 Open Pulled Straw(OPS)방법에 의해 동결-융해한 돼지 수정란의 체외 생존 능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미성숙 난자의 체외 성숙을 위하여, 돼지 난소는 도축장에서 회수하였으며, 난구세포로 쌓여있는 난자는 직경 $2{\sim}6mm$의 난포로부터 난포액과 함께 흡입에 의하여 회수하였다. 회수된 미성숙 난자의 체외 성숙을 위하여 5 mM hypotaurine, 0.57 mM cysteine, 10% 난포액, 10 IU/ml PMSG 및 10 IU/ml hCG가 함유된 NCSU-23 배양액 내에서 $21{\sim}22$ 시간 배양 후, 호르몬 물질을 제거한 성숙 배양액 내에서 $21{\sim}22$ 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한편 체외 수정을 위하여 동결-융해한 정액은 5.56 mM glucose, 0.33 mM na-pyruvate, 100 IU/ml penicillin, $100 {\mu}g/ml$ streptomycin 및 4 mg/ml BSA가 첨가된 D-PBS 액을 가지고 1,500 rpm에서 10분간 2회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세척하였다. 체외 수정을 위한 배양액은 pH $7.2{\sim}7.4$에서 2 mM caffeine과 2 mg/ml BSA가 첨가된 mTBM 배양액을 이용하였다. 체외 수정시 정자의 최종 농도는 $2.5{\times}10^6cells/ml$로 조정하였다. 수정 8시간 후, 체외 발육을 위하여 5.0 mM hypo-taurine, 4 mg/ml BSA 및 10 ng/ml EGF가 첨가된 NCSU- 23액으로 옮겨 7일간 배양을 계속하였다. 그 후 배반포의 여러 단계에서 OPS 법에 의해 동결-보존하였다. 그 결과, 동결-융해 후 형태학적으로 정상적인 수정란의 비율은 초기 배반포(28.3%)보다는 확장 배반포(38.9%)단계에서 동결했을 때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한편, 동결-융해 후 상해를 입은 수정란의 비율은 확장 배반포보다는 초기 배반포 단계에서 동결된 수정란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성적을 보였다(p<0.05). 또 다른 실험에서, 수정란의 동결-융해 후 형태학적으로 정상인 수정란을 48시간 추가 배양했을 때, Hatching 된 수정란의 비율은 초기 배반포, 배반포 및 확장배반포기 단계에서 동결-융해한 수정란에서 각각 6.7, 20.0 및 33.3%로 발육 단계가 높을수록 동결-융해 후의 생존율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돼지에서 수정란의 동결-융해 후 생존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발육 단계가 높은 배반포기 단계에서의 동결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 이용된 OPS 동결 방법이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Epidermal Growth Factor가 돼지 미성숙난포란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IV. 체외 배발달에 미치는 Epidermal Growth Factor의 효과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on In Vitro Maturation in Pig Immature Oocytes;IV.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on In Vitro Development)

  • 엄상준;김은영;김묘경;김태완;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3호
    • /
    • pp.303-310
    • /
    • 1996
  • 본 연구는 epidermal growth factor (EGF)가 처리된 돼지 체외성숙란의 채외수정 후 배발달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난구세포가 치밀한 미성숙란은 TCM 199 배양액에 (1) 무처리군 (2) 10 ng/ml EGF 처리군 (3) 10 ${\mu}g/ml$ FSH와 10% FBS 처리군 (4) 10 ng/ml EGF와 10 ${\mu}g/ml$ FSH 그리고 10% FBS 처리군으로 나누어 4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 1은 이들 처리군을 수정 후 NCSU (0.4% BSA) 배양액에서 배양하여 후기 배발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과 (4)처리군 (13.4, 18.3%)의 배반포로의 발달율이 (2) 처리군(5.2%, p < 0.005)보다 현저하게 높았지만, (2) 처리군의 경우 (1) 처리군(1.2%, p < 0.005)의 배반포로의 발달보다는 현저하게 높았다. 실험 2는 수정 이후 6일째 이들 처리군에서 생산된 배반포기배를 double staining (propidium iodide and bisbenzimide)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4) 처리군 (58.80 ${\pm}$ 11.90)의 배반포의 total 세포수가 (2)와 (3) 처리군 (42.17 ${\pm}$ 9.97, 49.07 ${\pm}$ 9.77, p < 0.05)보다 현저하게 많았으며, 배반포의 ICM 수에 있어서도 (4) 처리군 (11.69 ${\pm}$ 5.56)이 (2)와 (3) 처리군 (5.00 ${\pm}$ 4.24, 6.77 ${\pm}$ 4.92, p < 0.05)보다 현저하게 많았다. 더 우기 (4) 처리군 (19.0 ${\pm}$ 1.6)의 total 세포수에 대한 ICM의 비율이 (2)와 (3) 처리군 (11.1 ${\pm}$ 3.0, 12.7 ${\pm}$ 2.1) 보다 높았다. 이들의 결과로서, EGF가 단독 처리된 돼지 체외성숙란은 비록 낮았지만 배반포로 발달할 수는 있으나, 체외성숙시 FSH와 FBS의 추가 첨가는 높은 배반포로의 발달과 total 세포수와 ICM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음을 알수 있었다.

  • PDF

한국 동해안 대구(Gadus macerocephalus)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East Sea)

  • 이채성;허영희;이정용;김완기;홍승현;황선재;최수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45-250
    • /
    • 2005
  • The maturity and spawning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was studied using samples caught by gillnets in the East S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03. Monthly changes of maturity observed with the naked eyes for females showed that maturing Pacific cod appeared from August, and their numbers increased to $83\%\;and\;100\%$ in November and December, respectively. In January, mature and spawning Pacific cod were observed for the first time and composed over $40\%$ of the population. In February, the proportion of spawning individuals increased to over $50\%$, however, the mature individuals decreased to less than $10\%$. In March, mature fish were not found, and all were in an immature (spent) or spawning state. From April to July all fish remained in immature condition. The males maintained this trend with the females, whereas, mature males appeared from November to March. Monthly changes in the gonadosomatic index (GSI) of females and males showed higher values both in January and February and declined sharply in March. The lower value remained until October and then began to increase from November for the female population. For the males, however, this value remained lower until August, and then began to increase from September, and showed higher values in October through December than in January and Februar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pawning season of Pacific cod was from December to March, and the main spawning season was from January to February, and the period of the spawning season was longer for males than the females. The diameter of the matured oocytes was 0.80-1.10 mm with a single mode of 0.95 mm. Fecundity was 1,300,000-9,400,000 in total length of 65-95 c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length (TL, cm) and fecundity (Fc) was Fc= $180,248\timesTL-10,883,638$. The total length at first maturity was observed at 57 cm for females and 47 cm for males. The size at $50\%$ group maturity was estimated to be 63.9 cm for females and 56.0 cm for males.

돼지 체세포 복제 수정란의 자가 사멸 분석 (Analysis of Apoptosis on the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embryos in porcine)

  • 류지은;윤종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19-12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d the electrofusion and activation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porcine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embryos. In this study, immature oocytes were cultured in TCM-199 with and without hormones for 22 hours. Skin fibroblasts cells of porcine were transferred into the perivitelline space of enucleated in vitro matured oocytes. Cell fusion was performed with two different pulses that each one pulse (DC) of 1.1 kV/cm or 1.5 kV/cm for $30{\mu}sec$. After fusion subsequent activatio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n-treatment (control) and treatment with 2 mM 6-DMAP or $7.5{\mu}g/ml$ cytochalasin B for 4 hours. Transferred embryos were cultured in PZM-3 (Porcine Zygote Medium-3) in $5%\;CO_2$ and 95% air at $39^{\circ}C$ for 7 day. Apoptosis-related genes (Caspase-3, BCL-2, mTOR, and MMP-2) were analyzed by immunofluorescence stai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different electrofusion stimuli in the cleavage rate; $64.9{\pm}4.8%$ in 1.1 kV/cm and $62.7{\pm}4.0%$ in 1.5 kV/cm. However, blastocyst formation rate (%)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different activation groups (no treatment, 2 mM 6-DMAP or $7.5{\mu}g/ml$ cytochalasin B) combined with electrofusion of 1.1 kV/cm.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 was $12.6{\pm}2.5$, $20.0{\pm}5.0$, and $34.9{\pm}4.3%$ in control, 2 mM 6-DMAP, and $7.5{\mu}g/ml$ cytochalasin B, respectively. Immunofluorescence data showed that expression levels of caspase-3 in SCNT embryos undeveloped to blastocyst stage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blastocyst stage embryos. Expression levels of Bcl-2 in blastocyst stage embryo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arrested SCNT embryo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an electric pulse (1.1 kV/cm for $30{\mu}sec$) and $7.5{\mu}g/ml$ cytochalasin B treatment was effective for production of the porcine SCNT embryos.

Improved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Porcine Cloned Embryos by Flavone Supplement as Antioxidant

  • Fang, Xun;Qamar, Ahmad Yar;Yoon, Ki-Young;Cho, Jongki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5-264
    • /
    • 201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effects of flavone supplementation on the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in-vitro produced porcine embryos. During in-vitro development, immature oocytes and early embryos were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lavone (0, $1{\mu}M$, $25{\mu}M$, $50{\mu}M$, and $100{\mu}M$ respectively). Results showed that $100{\mu}M$ of flavone significantly reduced the intracellular ROS levels of oocytes accompanied with a significant rise in GSH level. In parthenogenesis, no significant change was observed in the cleavage rates whether flavone was supplemented in IVM or IVC media. In IVM supplemented group, the blastocyst development rate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1{\mu}M$ concentration than other groups (51.5% vs. 41.3%, 44.0%, 36.3%, 31.7%; P<0.05) respectively. However, in IVC group $1{\mu}M$ concentration significantly improved the blastocysts production than $50{\mu}M$ and control groups (50.0% vs. 40.5%, 38.0%; P<0.05) respectively. Following nuclear transfer, the cleavage rate of IVM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in $1{\mu}M$ than $50{\mu}M$ and $100{\mu}M$ groups (92.9% vs. 89.7%, 87.8%; P<0.05), followed by similar pattern of cloned blastocysts production being significantly higher in $1{\mu}M$ group than $50{\mu}M$, $100{\mu}M$ and control groups (16.8% vs. 9.0%, 7.1%, 12.8%; P<0.05) respectively. In IVC group, $1{\mu}M$ concentration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cleavage rate than $25{\mu}M$ and $50{\mu}M$ groups (91.7% vs. 87.8%, 88.8%; P<0.05) respectively. However, the blastocyst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100{\mu}M$ group than others (26.2% vs. 13.6%, 14.0%, 18.2%; P<0.05) respectively.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flavone significantly enhanced the percentages of ICM:TE than control group (43.8% vs. 37.6%; P<0.05) accompanied with significantly higher expression levels of reprogramming related genes. In conclusion, the optimal concentrations of $1{\mu}M$ during IVM and $100{\mu}M$ during IVC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production of porcine in-vitro embryos.

서해안에 서식하는 쏙(Upogebia major, de Hann 1841)과 가시이마쏙 (Austinogebia wuhsienweni, Yu 1931) 암컷의 생식 주기 (Annual gametogenic cycles of female mud shrimp Upogebia major (de Haan, 1841) and Austinogebia wuhsienweni(Yu, 1931)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안현미;강현실;송재희;조재권;황운기;정희도
    • 환경생물
    • /
    • 제41권3호
    • /
    • pp.298-307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안에 서식하는 쏙 (U. major)과 가시이마쏙(A. wuhsienweni) 암컷의 연중 번식 주기를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채집된 시료는 연령에 따른 성숙 및 번식생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흉갑장(carapace length, CL)을 기준으로 성체와 어린 개체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두흉갑장 25 mm 미만의 어린 쏙(U. major)의 경우에는 생식소 발달단계가 대부분 연중으로 초기발달기(62~100%)와 후기발달기(10~38%)로 관찰되어 번식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두흉갑장 25 mm 이상의 성체 쏙의 경우에는 뚜렷한 계절적 변화 패턴이 관찰되었다. 성체 쏙의 생식소 발달단계는 11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 초기발달기와 후기발달기가 관찰되고, 완숙기의 성숙난은 4월부터 10월까지 관찰되었다. 두흉갑장 15 mm 이상 가시이마쏙 성체의 경우에는 생식소 내 완숙된 성숙난이 연중 관찰되었으며, 완숙기는 1월부터 6월까지로 관찰되었다. 반면, 두흉갑장 15 mm 이하 어린 가시이마쏙의 경우에는 연중 미성숙 상태를 유지하였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두 종의 쏙류는 암컷 성체의 생식소 성숙기간이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또한 외포란 시기도 쏙은 월에서 4월, 가시이마쏙은 6월에서 9월로 전혀 다른 성 성숙 주기를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조직학적 방법을 이용한 국내 서식 쏙류의 번식 주기를 최초로 구명한 연구로 쏙류의 생리생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패류 양식장 내 쏙류의 구제 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IGF-I and EGF Supplemented to PZM3 Culture Medium on the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In vitro

  • Kim, J.Y.;Park, M.C.;Kim, S.B.;Park, H.D.;Lee, J.H.;Kim, Jae-Myeou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8호
    • /
    • pp.1117-1123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GF-I and EGF on the development of blastocysts or hatched blastocysts during the in vitro culture of embryos from immature porcine oocytes. After the in vitro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of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and their culture in vitro in PZM3 medium, we examined the embryo development rate for 168 h. Whe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IGF-I (0, 1, 10, 20 ng/ml) were supplemented to fertilized porcine embryos in vitr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eavage rate, blastocyst development rate or blastocyst hatching rate among the treated groups. On the other hand, whe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GF (0, 1, 10, 20 ng/ml) were supplemented to the in vitro culture medium, blastocyst development rate was highest in the group in which EGF was not supplemented and, specifically, it was higher than in the 20 ng/ml treatment group (p<0.05). When 10 ng/ml IGF-I and 1 ng/ml EGF were supplemented separately or simultaneous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reated groups in blastocyst hatching rate and the number of cells in each condit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ddition of IGF-I and EGF into PZM3 medium did not enhance development of the blastocyst stage and total cell number in blastocys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SCNT Pig Embryos Knocked-out of Alpha-1,3-Galactosyltransferase Gene

  • Shim, Joo-Hyun;Park, Mi-Rung;Yang, Byoung-Chul;Ko, Yeoung-Gyu;Oh, Keon-Bong;Lee, Jeong-Woong;Woo, Jae-Seok;Park, Eung-Woo;Park, Soo-Bong;Hwang, Seong-Soo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3권3호
    • /
    • pp.157-162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rehend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loned embryos knocked out (KO) of $\alpha$-1,3-galactosyltransferase (GalT) gene. Immature oocytes were collected and cultured for 40 hrs (1-step) or 20hrs (with hormone) + 20hrs (without hormone) (2-step). The embryos transferred with miniature pig ear fibroblast cell were used as control. The reconstructed embryos were cultured in PZM-3 with 5% $CO_2$ in air at $38.5^{\circ}C$ for 6 days.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blstocysts, TUNEL and quantitative realtime RT-PCR were performed. The embryos were transferred to a surrogate (Landrace) at an earlier stage of the estrus cycle. The maturat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step method than that of 1-step (p<0.05). The blastocyst development of GalT KO embryo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cloned embryos (p<0.05). The total and apoptotic cell number of GalT KO blastocysts was not different statistically from control. The relative abundance of Bax-$\alpha$/Bcl-xl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cloned blastocysts than that of in vivo blastocysts (p<0.05). Taken together, it can be postulated that the lower developmental potential and higher expression of apoptosis related genes in GalT KO SCNT embryos might be a cause of a low efficiency of GalT KO cloned miniature pig production.

낮은 농도의 Hypoxanthine과 FSH가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w Concentrated Hypoxanthine and FSH in 10% FBS Supplemented Medium on Immature Oocyte in vitro Maturatio)

  • 한혁동;임창교;염현식;현나영;이지향;홍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6권3호
    • /
    • pp.175-186
    • /
    • 2009
  • 목 적: Hypoxanthine (Hx)과 FSH가 미성숙난자의 배양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미성숙난자를 배양하여 GVBD, MII기 발생률을 비교 관찰하였다. 연구방법: 단순배양액인 BSAL-XI-HTF 배양액을 사용하여 (1) 0.3% BSA mBASAL-XI-HTF (0.3% BSA 배양액), (2) 0.1 IU/ml FSH를 첨가한 0.3% BSA mBASAL-XI-HTF (FSH 0.3% BSA 배양액), (3) 10% FBS mBASAL-XI-HTF (10% FBS 배양액), (4) 0.1 IU/ml FSH를 첨가한 10% FBS mBASAL-XI-HTF (FSH 10% FBS 배양액)의 4종류의 배양액을 만들었고, 각 종류의 배양액에서 생쥐 난구세포로 둘러싸인 미성숙난자의 성숙을 3, 6, 18시간별로 비교 관찰하였다. 각 배양액에 1 mM, 2 mM, 4 mM 농도의 미성숙난자성숙억제제인 Hx을 섞어 난자의 성숙억제양상을 관찰하였고 GVBD와 MII기 발생률을 비교 관찰하였다. 결 과: Hx을 첨가하지 않은 4종류의 배양액에서 미성숙난자의 자연성숙은 3시간 내에 대부분 GVBD가 발생하였고 MII기로의 발육은 6시간 이후 발생하였다. 18시간 후 각 군의 배양에서 모두 유사한 GVBD 발생률을 보였다. 1 mM, 2 mM, 4 mM Hx 농도의 0.3% BSA 배양액과 10% FBS 배양액에서 난자의 성숙억제양상을 비교해 보면 4 mM 농도의 Hx 배양액에서 18시간 동안 완전한 성숙억제를 보였다. 2 mM 농도의 Hx 배양액에서도 18시간 배양까지 억제를 보였으나 4 mM 농도의 Hx 배양액보다 작은 난자성숙억제양상을 보였다. 1 mM 농도의 Hx 배양액에서는 모두 난자성숙억제를 보이지 못했다. FSH를 첨가한 배양액에서는 2 mM 농도의 Hx 뿐만 아니라 1 mM 농도의 Hx 첨가에서도 초기 3시간까지 GVBD 성숙이 억제되었다. 또 같은 농도의 Hx을 함유하고 FSH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에 비해 FSH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3시간, 6시간 동안 GVBD 발생을 더 억제하였다. 그러나 18시간 배양 후 난자성숙이 회복됨을 보였다. 이 결과로 FSH가 배양초기에 난자성숙을 억제하나 후기에는 성숙을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18시간 후 MII기발육은 4 mM 농도의 Hx을 함유한 모든 배양액에서 낮은 발생률을 보였고, FSH를 함유한 10% FBS 배양액에 1 mM, 2 mM의 낮은 농도의 Hx을 첨가한 배양액은 다른 배양액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높은 MII기 발생률을 보였다. 결 론: 본 실험에서 낮은 농도의 Hx과 FSH는 FBS를 함유한 배양액에서 미성숙난자의 초기배양 동안 성숙을 억제한 후 MII기 성숙을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