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gneous rock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5초

화성암반에서 터널발파 진동측정치의 분석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unnel Blasting in Igneous Rock)

  • 윤성현;안명석;이광열
    • 화약ㆍ발파
    • /
    • 제21권1호
    • /
    • pp.69-76
    • /
    • 2003
  • 터널 발파에 있어서 진동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V-cut 심발패턴으로 시험발파를 수행하고, '터널 진행방향'과 '터널 진행직각방향'의 두 방향에서 발파진동을 계측하였다. 최대지발당 장약량을 기준으로 지반의 진동 전달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승근 환산거리와 삼승근 환산거리로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허용진동속도 3mm/sec에서 교차점은 62m였으며, 5mm/sec에서 교차점은 46m였다. 또한 터널 진행방향에서 측정한 경우가 터널 진행직각 방향에서 측정한 경우보다 진동수준은 크게 나타났으며, 삼승근 환산거리 적용시 감쇠특성이 더욱 우세하였다.

화강풍화토의 변형계수와 상대침하 관계식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formation and Relative Settlement for Weathered-granite)

  • 박용부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1호
    • /
    • pp.125-131
    • /
    • 2013
  • 얕은 기초 설계와 시공을 위해 실시하는 평판재하시험 결과로부터 실제 기초지반의 침하량을 산정하고 있는데 국내에서 많이 시공되는 화강풍화토나 풍화암에 대한 현장 예측식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강풍화토와 풍화암을 대상으로 현장 평판 재하시험을 실시하여 기초 크기별 침하량 거동을 분석하였다. 모형토조와 현장 재하시험에서 측정한 하중 ~ 침하 곡선을 일반적인 항복하중 판정법을 사용하지 않고 하중 ~ 상대침하(s/B, s : 침하량, B : 재하판폭) 관계로 정규화(Normalization)하여 분석하였다. 즉, 하중 ~ 상대 침하 개념으로 정규화한 결과, 재하판 직경에 관계없이 일정한 형태의 곡선을 나타내므로 현장의 지반조건과 상관성을 제시하였다.

경상분지 고성지역의 화성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I. 주성분원소 지구화학과 K-Ar 방사성 연대 (Petrology of the Igneous Rocks in the Goseong Area, Gyeongsang Basin I. Major Element Geochemistry and K-Ar Radiometric Age)

  • 좌용주;박정미
    • 자원환경지질
    • /
    • 제29권5호
    • /
    • pp.561-573
    • /
    • 1996
  • The igneous rocks in the Goseong area,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are composed of the volcanic rocks, Bulgugsa granites and intrusive andesites. The volcanic rocks are andesitic lapilli tuff, dacite and rhyolite. The granites are mainly of hornblende-biotite granite and intruded into the sedimentary basement and the volcanic rocks. The intrusion of andesitic dyke is thought to be the latest igneous activity in the area. In the variation diagrams of the major oxides, the three igneous rock types show different variational trends, indicating that they were from the different magmatic pulses. K-Ar radiometric ages suggest that the igneous activity in the Goseong area had occurred during late Cretaceous period. The ages of the volcanic rocks seem likely to have become younger due to the thermal effect by the granitic intrusion. The major element compositoinal variation of the granites from the Goseong area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Jindong, Geoje and Masan areas. By the comparison, it is easily understood that the Jindong granites are fairly different from the other three granites. On the other hand, the Goseong, Geoje and Masan granites generally show similar variational trends with each other, suggesting that they are of similar genetic origin. Combining the similarity of the geochemical features and the difference of the intruding ages between the Goseong and Masan granites, it seems like that the magma generation from the same source materials had occurred at a temporal interval.

  • PDF

전남 금당도지역에 분포하는 중생대 화산암에 대한 K-Ar 연대 (K-Ar Ages for Mesozoic Volcanic Rocks in the Geumdang Island, Jeonam, Korea)

  • 김명지;강지원;김정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9-335
    • /
    • 2013
  • 금당도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은 구성광물, 야외증거와 산상을 근거로 유문암, 반정질유문암, 중성맥암으로 구분되어 진다. TAS(total alkali-silica) 다이아그램에서 유문암은 유문암-데사이트의 영역에 그리고 반정질유문암은 유문암 영역에 속한다. 유문암과 반정질유문암의 생성시기를 밝히기 위하여 전암을 이용한 K-Ar법으로 절대연대측정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전자는 76-78Ma로 백악기말 캄파니안에, 후자는 71-72Ma로 캄파니안과 마스트리크티안의 경계에 속한다. 이 지질연대는 백악기말 동안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유천층군의 화성활동에 대비된다. 한반도 서남부지역에 분포하는 화산암과 백악기층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시기와 성분을 갖는 화산암의 지질연대를 근거로 이 지역에서 108-71Ma 사이에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의 충돌에 의한 활발한 화성활동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을 지시한다.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s Geothermal Water in Relation to Its Geological and Geochemical Feature

  • Lee, Chung-Mo;Hamm, Se-Yeong;Lee, Cholwoo;Choi, Sung-Ja;Chung, Sang Yong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2호
    • /
    • pp.25-37
    • /
    • 2014
  • The volcanic type of geothermal water is linked intimately to active or potentially active volcanoes and takes place near the plate boundaries. In contrast to the volcanic type, the geothermal water in Korea has a non-volcanic origin. Korea's geothermal water is classified into the residual magma (RM) type and deep groundwater (DG) type according to the criterion of $35^{\circ}C$. This study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and chemical features of the 281 geothermal water sources in South Korea in terms of the specific capacity, water temperature,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wo different basements (igneous rock and metamorphic rock) as well as the geological structures. According to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geothermal holes and geological faults, the length of the major fault is considered a key parameter determining the movement to a deeper place and the temperature of geothermal water. A negligibl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fic capacity (Q/s) and temperature was found for both the RM type and DG type with the greater specific capacities of the RM- and DG-igneous types than the RM- and DG-metamorphic types. No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Q/s and the chemical constituents ($K^+$, $Na^+$, $Ca^{2+}$, $Mg^{2+}$, $Zn^{2+}$, $Cl^-$, $SO_4{^{2-}}$, $HCO_3{^-}$, and $SiO_2$) in the DG-igneous and DG-metamorphic types. Furthermore, weak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and chemical constituents was found for both the RM type and DG type.

국내 암석 열전도도 범위와 공간적인 분포 (Spatial analysis and ranges of thermal conductivity of rocks)

  • 심병완;박정민;백승균;김형찬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5-555
    • /
    • 2009
  • A web GIS based database system of thermophysical property of rocks in Korea is under construction. Rock samples were randomly collected over the whole country and sample spacings were generally 1 to 10 km. Thermal diffusivity, spedific heat, thermal conductivity, specific heat, density and porosity were measured on a collection of 1,560 rock samples in the laboratory. The sampled rocks were classified into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 types and th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tudied. The thermal conductivity were compared with thermal diffusivity, porosity and dry density to define any correlations and the distribution of thermal conductivity is characterized by the geostatistical analysis. The optimal mapping of thermal conductivity is very useful as a practical design component for any geothermal systems.

  • PDF

초중고 교육을 위한 딥러닝 기반 암석 분류기 개발 (Development of deep learning-based rock classifier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 박진아;용환승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63-70
    • /
    • 2019
  • 최근 딥 러닝(Deep leaning)을 이용한 이미지 인식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육안으로 관찰하여 분류하기 어려운 암석을 이미지만으로 분류하기 위해 딥 러닝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인 Tensorflow 기반의 CNN모델을 사용하여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암석 18종(화성암 6종, 변성암 6종, 퇴적암 6종)의 이미지를 통해 암석을 분류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암석의 이미지를 학습시켜 암석을 구별하는 분류기를 개발하여 분류 성능을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구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교실 내 학습 또는 현장체험학습 등에서 학생들의 학습 보조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암종별 산출량 변화 평가를 통한 수압파쇄기법의 타당성 연구 (A Study on Feasibility of Hydraulic Fracturing with Evaluation of Yield Variance by Rock Types)

  • 김진훈;김형수;석희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6호
    • /
    • pp.10-19
    • /
    • 2005
  • 수압파쇄 기법은 암반 내에 파쇄를 수압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확장시키는 기술로서, 이렇게 생성된 파쇄대는 지반 안에서의 흐름의 통로 역할을 하며, 지하수가 자유롭게 흐르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수압파쇄 기법이 수행된 12개 관정 결과를 바탕으로 암종별 특성을 분명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7개의 관정에서 추가로 수압파쇄를 실시하였다. 총 19개소에 대해 화성암(9개소), 변성암(4개소), 퇴적암(6개소)으로 대분하여 암종에 따른 수압파쇄의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시험결과 화성암은 평균 $93.4\%$, 변성암은 평균 $103\%$, 퇴적암은 $42.2\%$의 산출량 증가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수압파쇄의 적용은 암종별로 차이를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관정의 산출량을 증대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경기편마암 복합체의 Rb-Sr 연대측정연구 (Geochronological Study on Gyeonggi Massif in Korea Peninsula by the Rb-Sr Method)

  • Seung Hwan Choo;Dong Hak Kim;Won Mok Ja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23-32
    • /
    • 1983
  • 한반도에 분포하는 암석으로서 최고기의 암석으로 알려지고 있는 경기편마암 복합체중, 양평지역에 분포하는 우백질 편마암과 화강편마암류 및 시흥 지역에 분포하는 호상-안구상 편마암류를 대상으로 Rb-Sr법에 의한 암석 연대측정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백질 편마암과 호상-안구상 편마암류의 생성연대는 22억 내지 23억년으로 밝혀졌고, 화강편마암류의 관입시기는 14억년으로 측정되었다. 양평지역에서 채취한 시료중, 심하게 변질된 편마암류의 연대는 5억년이었다. 이 연대는 아마도 열수작용을 동반한 Caledonian조산운동의 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다. 기타 여러지역에서 채취한 편마암류들에서 공통적으로 8-9억년의 년대가 측정된 것은 경기편마암 복합체가 받은 선캠브리아기의 화성 활동 혹은 광역변성 작용의 시기일 것으로 생각된다. 편마암류에서 분리한 흑운모는 시료 채취 지역에 다라 1억2천만년에서 2억7천만년으로 측정되었으며 이 연대는 본 지역에도 중생대 내지는 고생대 화성활동이 있었음을 뜻한다.

  • PDF

초등과학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지질 영역에 관한 내용 분석 (Analysis on the Contents about Geological Domain with Regard to the Change of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 조용남;권치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5호특별호
    • /
    • pp.546-557
    • /
    • 2005
  • 제1차 교육과정부터 지금까지 초등과학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지질 영역 관련 내용을 교과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내용의 변천 과정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지질 내용 분석틀을 기초로 지질영역 내용을 분석하였다. 지질 영역 관련 교육내용의 변천 과정은 내용의 구성과 학습 분량, 실험활동 학습 내용, 주요 용어의 변천과정, 삽화의 수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질 영역관련 내용 중 풍화와 토양,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 지표의 평탄화 작용, 습곡과 단층, 지진과 화산, 지층과 화서의 내용들은 전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졌다. 둘째, 학습 분량을 살펴보면 전 교육과정을 통하여 과학교육 전체 내용 중 5.1%에서 11.5%까지 평균 9.2% 정도 지질 영역관련 내용이 차지하고 있었다. 이 중 암석과 토양의 학습 분량이 전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다루어졌으며, 지각변동의 학습 분량이 뒤를 이었다. 셋째, 실험 활동의 내용들을 보면, 각 교육과정별로 비율의 차이는 있으나, 풍화와 토양, 화성암, 지표의 평탄화 작용, 지층과 화석 등은 꾸준히 실험 활동이 적용되고 있었다. 넷째, 주요 용어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암석관련 용어가 가장 많이 바뀐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용어가 생기거나 삭제되거나 같은 용어를 다르게 제시하여 혼돈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교과서 삽화를 분석해 본 결과, 예전에는 그림이나 도해수가 많았으나, 과학이나 교과서 편찬 기술이 발달할수록 사진 수가 점점 많아진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아동들의 학습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만화나 도표 수가 근래에 증가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