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ntification of Acer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1초

대부도2호선 목부재의 수종과 위글매치를 이용한 방사성탄소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Radiocarbon Dating for the Wooden Board from Daebudo Shipwreck No.2 Using Wiggle Matching)

  • 남태광;윤용희;김응호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59-36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도에서 발굴된 대부도2호선의 목부재와 초본류의 수종분석과 방사성탄소연대분석을 통해 사용된 목재의 재질과 고선박이 난파된 시기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수종분석을 통해 선체부재로 사용된 목재는 모두 소나무속의 경송류로 식별되었으며, 기타 선체부재와 나무못은 경송류, 밤나무속, 참나무속 상수리나무아속 상수리나무류, 느티나무, 오리나무속의 사용을 확인하였다. 동반 출토된 목제빗과 참빗은 단풍나무속과 대나무아과로 확인되었고, 밧줄은 칡으로 만들어졌음이 밝혀졌다. 선수재와 받침목 그리고 씨앗류(감씨)의 방사성탄소연대측정과 위글매치 분석을 통해 대부도2호선은 AD 1151~1224년 사이에 난파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고선박은 12~13세기 초중반에 난파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출토된 도자기의 편년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설악산의 식물군락연구 제1보 : 계통 및 군업의 분류 (Investigation Report on Plant Communities of Mt. Sulak. Report I. Researches on the Classification of Formation and Association)

  • 박만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권2호
    • /
    • pp.1-21
    • /
    • 1959
  • 1. The plant communities on Mt. Sulak, a typical alpine mountain in central Korea was researched from the standpoint of ecological survey. 2. The plant on this mountain can largely be classified into 2 categories, the warm zone (below 1100m) and the frigid zone. The former is again classified into a broad-leaved tree formation and a needle-leved tree formation, and the latter is calssified into a broad-leaved tree formation and needle-leaved tree formation, and shrub formation. 3. The broad-leaved tree formation in the warm zone can largely be classified into a Carpinus laxiflora-syringa Palibiniana var. kanibayashi association(1), a Carpinus erosa-Acer Pseudo-sieboldianun association(2), and a Quercus mongolica- Tripterygium Regelii association(3). 4. The needle-leaved tree formation in the warm zone can also largely ben classified into a Pinus densiflora- Miscanthus sinensis association(4), Abies holophylla- Tripterygium regelii association(5), Pinus kordiensis-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ssociation(6) In the association(4), the canopy of the Pinus densiflora is gradually being occupied by the Quercus mongolica which is one kind of broad-leaved trees. 5. We can fully see a DryoPteris type of the flour layer plant type in the association (3) and also see a Sasamorpha type in the association (5). 6. The broad-leaved tree formation in the frigid zone can largely be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ssociation (8). The constituents of tree and subtree layers in (7) and (8) associations are similar to those association (3), but the constituents of the shrub layer are different from those of associtation (3) due to the difference in height. 7. The needle-leaved formation in the frigid zone can largely be classified into Thuja koraiensisRodgersia podophylla var. viritis association (9) and Abies nephrolepis-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asscciation (10). The species of alpine plants or subalpine plants are gradually increased in this formation. 8. The shrub formation can also largely be classified into a Rhododendron mucronulatum- Patrinia saniculaefolia association (11) and Pinus pumila associatio (12). Association (12) has largely developed on the windy place. Association (12) was burned due to the bombing during the Korean war, but now we recoginized there occurred an invasion of Tripterygium Regelii in such a place. 9. The herb layer species which constitute the shrub formation are mostly alpine or subalpine plants of small size, and their kinds are also very few. 10. The growth of the Moss layer is especially good because of the varied conditions of the habitat. The kinds which can easily be seen are the genus of Thunidium, Haplocladium, Brachythecium, Macromitrium, Holonitrium, Atrichum, Schwstchkeopsis, Grimmia, Hedwigia, Rhynchostegium and Mnium. 11. The genus of the Sphagnum densly grows like a mat at the acid and moisturous place above 1100m. The authors should express their thanks to father. Yang Kisup, Dean of Catholic Medical College, Prof. Yoon Doksuen, from their valuable advice. Thanks arealso due to Prof. Numata, Chiba University, Prof. Takagi, Nagoya University and Prof. Ando, Hiroshima University in Japan for his kind help and identification of Bryophytes.

  • PDF

거제도 가라산·노자산 일대 낙엽활엽수림의 생태적 특성 규명 (Identification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Garasan(Mt.)·Nojasan(Mt.) at GeoJae)

  • 이수동;조봉교;이광규;염정헌;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04-219
    • /
    • 2021
  • 본 연구는 남해안에 분포하는 양호한 산림 식생의 복원과 관리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측면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자 가라산과 노자산 서사면에 분포하는 식생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86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군락을 분류한 결과, 저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곰솔-굴피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계곡부 및 전석지대를 중심으로 출현하는 개서어나무-낙엽활엽수군락, 때죽나무-낙엽활엽수군락, 고로쇠나무-낙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 느티나무군락, 상대적으로 해발고가 높고 급경사 사면에 분포하는 졸참나무군락, 졸참나무-때죽나무군락, 때죽나무-소사나무군락, 참회나무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천이경향상 상록침엽수는 낙엽활엽수로의 천이가 진행될 것이나 수령이 약 50년인 개서어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등 낙엽활엽교목림은 층위구조가 발달되었을 뿐만 아니라 생태적으로 안정되어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요인으로는 표고, pH, 점토와 실트의 함량, Mg++, Ca++ 등이 식물 군락 분포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vitro Screening of Jeju Medicinal Plants for Cosmeceutical Materials

  • Kim, Sang-Suk;Hyun, Chang-Gu;Lee, Jong-Sung;Lim, Ji-Hee;Kim, Ji-Young;Park, Deok-Ho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15-220
    • /
    • 2007
  •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of skin is protection from harmful environments. Many studies have explored how to prevent skin from wrinkling and the occurrence of pigmentation changes. Skin wrinkling and pigmentation changes could be caused by unusual disruption of connective tissue, the formation of free radicals and ultraviolet radiation. In this study, extracts obtained from 254 different kinds of Jeju medicinal plants were screened for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and elastase, and for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Four herbs, Phormium tenax, Morus bombycis,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were potent inhibitors of tyrosinase ($IC_{50}$ values 4.62, 5.46, 8.17, and 64.17 ${\mu}g$/mL, respectively). Aleurites fordii [$IC_{50}$: 5.29 ${\mu}g$/m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Distylium racemosum ($IC_{50}$: 6.14 ${\mu}g$/mL), Acer palmatum ($IC_{50}$: 5.44 ${\mu}g$/mL), and Spiraea salicifolia ($IC_{50}$: 5.25 ${\mu}g$/mL) showed good antioxidative effects. Furthermore, Distylium racemosum ($IC_{50}$: 7.51 ${\mu}g$/mL), Diospyros kaki ($IC_{50}$: 15.1 ${\mu}g$/mL), Cornus macrophylla ($IC_{50}:$ 16.59 ${\mu}g$/mL), and Psidium guajava ($IC_{50}$: 40.25 ${\mu}g$/mL) exhibited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elast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dicinal plants possessing several biological activities may be potent inhibitors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pigmentation increases and aging. Further investigations will focus on in vivo assays and on the chemical identification of the major active components responsible for whitening and anti-aging activity in the screened efficacious extracts.

HSI 색상모델을 이용한 마루판 무늬목의 색상분류에 관한 연구(1) (Studies on Color Classification of Fancy Veneer Flooring Board with HSI Color Model)

  • 서준원;박병수;정성호;박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4호통권132호
    • /
    • pp.23-29
    • /
    • 2005
  •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목질판상 재료인 마루판은 육안 분류 작업에 의한 오차로 마루판 시공 시에 무늬목간의 색상 차가 생기고 있다. 이는 조건등색(metamerism)에 의해 식별 후 혹은 마루판 시공 시에 오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ght와 Dark 두 단계로 육안 식별한 피나무, 자작나무, 단풍나무 3수종의 무늬목을 사용한 마루판을 CIELAB를 이용하여 분류하고, CIERGB에서 각각의 문턱 값(threshold)을 조사하고, 인간의 색 인지에 기반을 둔 HSI (hue, saturation, intensity)색상모델을 응용하여 색상, 채도, 명도 값의 범위를 조사하였다. HSI색상모델의 색상과 채도, 명도를 이용하여 마루판의 색상분류에 사용할 경우 명도 값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색상의 범위가 3종류 모두 $45{\sim}55^{\circ}$ 사이 범위 값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RGB성분의 문턱값을 이용한 분류의 경우 특정 색상 성분 값만으로는 마루판 무늬목의 분류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고산지대(高山地帶) 산화적지(山火跡地)의 식물생태(植物生態)에 관한 연구(硏究) - 지리산(智異山)의 제석봉(1,806m)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 (Plant Ecological Studies of Burned Field at the High Mountain Region - Especially at Cheisuk-bong (1,806m) Area in Mt. Chiri -)

  • 박광우;정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1호
    • /
    • pp.33-41
    • /
    • 1990
  • 지리산(智異山) 제석봉(1,806m)의 산화적지(山火跡地)에서 고사입목(枯死立木)을 조사(調査)하여 산화발생(山火發生) 전(前) 임분(林分)의 구조(構造)를 추정(推定)하였고, 식생(植生)을 조사(調査)하여 종조성(種組成), 생활형(生活型) 조성(組成) 등(等)을 분석(分析)하였으며, 고산지대(高山地帶)에서 산화(山火) 발생(發生) 후(後) 일어나는 식물군락(植物群落)의 이차천이(二次遷移) 과정(過程)을 밝혔다. 산화(山火) 발생(發生) 전(前)의 임분(林分)은 잣나무 75%, 구상나무 15%, 가문비나무 %로 구성(構成)된 극성상림(極盛相林)의 상태인 고산성(高山性) 침엽수(針葉樹) 임분(林分)으로 추정(推定)되었으며, 산화(山火) 발생(發生) 후(後) 유일하게 생존(生存)한 종(種)은 거제수나무 1본(本) 뿐 이었다. 산화적지(山火跡地) 내(內) 식물(植物)은 13과(科) 23종(種)이 출현(出現)하였으며, 식물군락(植物群落)의 조성(組成)은 우점종(優占種)이 김의털(66.5%)이었고, 개나래새(38.9%), 산거울(24.6%), 곰취(21.4%) 등(等) 순(順)이었다. 식물(植物)의 생활형(生活型)은 직립형(直立型)이 47.8%, 속생형(束生型)이 30.4%, 분지형(分枝型)과 2차(次) Rosette형(型)이 각 각 8.7% 등(等) 이었다. 고산지대(高山地帶)에서 이차천이(二次遷移)가 진행(進行)되면서 우점종(優占種)의 변화(變化)는 화본과(禾本科) 식물(植物)(김의털, 개나래새), 산거울${\rightarrow}$마가목, 철쭉꽃, 딱총나무, 미역줄나무${\rightarrow}$좁은단풍, 거제수나무, 신갈나무${\rightarrow}$소나무과(科) 식물(植物)(잣나무, 구상나무, 가문비나무)림(林)으로 천이(遷移)가 진행(進行)될 것으로 예상(豫想)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