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cide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참당귀 밭 잡초방제(雜草防除) (Chemical Control of Weed for Angelica gigas NAKAI)

  • 서정식;손서규;김기식;서상명;김동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87-192
    • /
    • 1994
  • 참당귀(當歸) 이시재배시(移植栽培時) 몇가지 제초제(除草劑) 처리(處理)가 잡초발생(雜草發生)과 당귀(當歸)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코져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초제(除草劑) 처리(處理)가 출아기(出芽期)와 추대률(抽臺率) 및 생육상황(生育狀況)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나타나지 않았다. 2. Simazin Wp 와 Methabenzthiazuron Wp 처리(處理)는 도장(圖場) 약해(藥害)가 경미하게 나타났으며, Linuron Wp, Pendimethain Ec, Triflurain Ec 는 배양처리구(倍量處理區)에서도 약해발생(藥害發生)이 없었다. 3. 잡초(雜草) 방제가(防除價)는 Pendimethalin Ec, Linuron Wp 처리(處理)에서 89.6, 88.3 이었으며, 발생초종(發生草種)도 $5{\sim}7$종(種)으로 다른 약제처리에서 보다 적었다. 4. 발생잡초(發生雜草)는 광엽잡초(廣葉雜草) >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 > 쇠뜨기 순(順)으로 발생(發生)이 많았으며 우점초종(優点草種)은 명아주, 황새냉이, 쇠비름, 바랭이, 쇠뜨기 등(等)이었다. 5. 건근수량(乾根收量)은 기준량(基準量)과, 배량(倍量)에서 손제초(除草)에 비(比)해 Linuron Wp, Pendimethaine Ec 처리구(處理區)에서 다소(多少) 증가(增收)되는 경향이었다.

  • PDF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의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발달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resistance to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insecticides in Kangwon alpine vegetable croplands)

  • 조준모;김경주;김성문;한대성;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0-35
    • /
    • 2001
  •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에서는 동일한 살충제가 매년 수회씩 연용되고 있으며, 여러 살충제의 혼용살포로도 배추좀나방 방재가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에 대한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저항성 발달 정도를 구명하는데 있다. 강원도 계촌, 장평, 태백, 춘천, 홍천의 배추경작지에서 발생한 배추좀나방을 채집하여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 diazinon, fenitrothion, profenofos, phenthoate, flupyrazofos와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인 carbofuran, befuracarb, furathiocrb에 대한 $LC_{50}$을 감수성종과 비교하여 저항성 발달정도를 검정하였다.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에 대한 태백종과 홍천종의 $LC_{50}$은 216.9 ppm과 589.0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인 6.25 ppm과 비교하여 각각 35배와 94배 높았고, fenitrothion에 대한 태백종과 홍천종의 $LC_{50}$은 각각 240.3 ppm과 960.1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 3.9 ppm과 비교하여 70배와 254배 높았으며, profenofos에 대한 춘천종의 $LC_{50}$ 39.2 ppm은 감수성종의 $LC_{50}$ 1.1 ppm과 비교하여 37배 높았다. 그러나 diazinon, phenthoate, flupyrazofos에 대한 감수성종과 포장종의 $LC_{50}$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경우 befuracarb에 대해서만 저항성이 나타났는데, befuracarb에 대한 춘천중의 $LC_{50}$은 257.8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 13.34 ppm과 비교하여 19배 높았다. 본 실험의 결과는 약제간, 지역간차이는 있었으나 강원도 고랭지 배추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이 일부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달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