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C

검색결과 391건 처리시간 0.032초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한 비접촉 방식의 심박 및 호흡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oncontact Heartbeat and Respiration Detection Using the Doppler Radar)

  • 신재연;조성필;장병준;박호동;이윤수;이경중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6권1호
    • /
    • pp.1-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접촉식 센서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이 아닌 비접촉 방식으로 심박과 호흡을 추출하기 위해 2.4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도플러 레이더 센서와 베이스 밴드 모듈로 구성된 도플러 레이더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설계된 도플러 레이더 시스템은 인체표면의 변위변화에 의해 반사되는 위상변화를 이용하여 심폐 활동을 검출할 수 있다. 도플러 레이더 센서의 I/Q 채널에서 획득한 신호는 베이스 밴드 모듈의 전처리 필터부, 증폭부, 옵셋조정부를 통과하여 호흡과 심박 신호로 분리된다. 도플러 레이더 시스템으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와 기존의 생체신호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호흡과 심박 대역이 각각 다른 쥐, 토끼, 사람을 대상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설계된 도플러 레이더 시스템에서 분리된 호흡 및 심박 신호는 측정 대상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에서는 높은 검출률을 보였으며, 도플러 레이더에서 심박과 호흡 신호를 검출한 결과 거리, 호흡과 심박의 변이량, 호흡과 심박대역에 따라 검출률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전력 동작을 위한 지연된 피드-포워드 경로를 갖는 3차 시그마-델타 변조기 (Third order Sigma-Delta Modulator with Delayed Feed-forward Path for Low-power Operation)

  • 이민웅;이종열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0호
    • /
    • pp.57-63
    • /
    • 2014
  • 본 논문은 전력소모와 면적을 줄인 지연된 피드-포워드 경로를 갖는 3차 SDM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SDM은 기존의 적분기 2개로 구현된 3차 SDM(Sigma-Delta Modulator) 구조를 개선하였다. 제안된 구조에서는 기존 구조의 둘째 단에 지연된 피드-포워드 경로를 삽입함으로써 첫째 단의 계수 값을 2배로 증가시킬 수 있어 기존구조에 비하여 첫째 단 적분기 커패시터($C_I$)를 1/2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첫째 단 적분기의 부하 커패시턴스가 1/2로 작아지기 때문에 첫째 단 연산증폭기의 출력전류는 51%, 첫째 단의 커패시터 면적은 48% 감소되어 제안한 구조는 전력과 면적을 최적화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구조를 이용하여 설계된 3차 SC SDM은 $0.18{\mu}m$ CMOS 공정에서 공급전압 1.8V, 입력신호 1Vpp/1KHz, 신호대역폭 24KHz, 샘플링 주파수 2.8224MHz 조건으로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 결과 SNR(Signal to Noise Ratio) 88.9dB, ENOB(Effective Number of Bits) 14비트이고 SDM의 전체 전력소모는 $180{\mu}W$이다.

Acanrhamoeba sp. YM-4의 미토콘드리아 DNA의 RFLP분석 (Restriction endonuclease analysis of mitochondrial DNA of Acanthamoebn sp. YM-4 (Korean isolate))

  • 신호준;임경일;전광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2호
    • /
    • pp.119-126
    • /
    • 1997
  • Accnthamoebn sp. W-4는 영양형 및 포낭의 형태학적 특징이 A. culbefson가 비슷하지만. 마우스에 대한 병원성. in vitro 세포독성. isoenzyme pattern 비교 분석 및 콩-특이성 난세포군 항체 교차반응 등에 의하변 A. culbensoni와는 조금 다르다. 많은 아메바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로 분리됨으로써 종 농정에 있어서 좀더 다양한 정보를 얻고자 분자유전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실험은 Acanthcmoebc sp. YM-4(한국 분리수)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DNA(mtDNA)를 분리하여. 여러 종의 제한효소를 처리함으로써 mtDNA의 단편들을 얻은 다 전체 크기 및 제한효소 절단 단편길이 다형성(RFLP) 분석을 하였다. 5가지의 제한효소 즉 Hce III. Hind III . Cla I. pvu II 빛 Sal I으로 처리된 Acanthamoebn의 mtDNA는 최소 3개의 단편들고부터 많은 것은 15개의 단편들로까지 나뉘어졌다. 단편들을 합산한 mtDNA의 전체 크기는 Acnnthcmoebc sp. YM-4가 평균 46.4 kbp였으며 A. culbertsoni 및 A. potwphcgc는 각각 48.3 kbp 및 48.8 kbp로 관찰되었다 제한효소 단편길이들은 0. 6 kip초부터 34. 4 kbp가시 다양하였으며. Accnthcmoebc sp. YM- 4의 mtDNA 단편들을 A. culbertsorli 및 A. polyphnbc와 비교해 볼 때 각각 총 67개 및 65개 중에서 총통으로 갖은 단편들이 각각 9개 및 7개로 관찰되었다. 그것을 토대로 genetic divergence를 계산한 결과 Accnthnmoebn sp. YM-4차 A. culbertsoni 간에는 10.1%였으며 A. poIWphogc와는 0.99%였다. 이런 다형성의 결과는 Acnnthcmoebc sp. YM-4가 A. culbertsoni 및 A. poIMphafc와는 종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 PDF

Photovoltaic Characteristic of Thin Films Based on MEH-PPV/DFPP Blends

  • 문지선;김수현;이재우;이석;김선호;김동영;최혜영;윤성철;이창진;김유진;이긍원;변영태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28-2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MEH-PPV와 DFPP의 폴리머 물질을 이용하여 photovoltaic device가 제작되었고, 그림 1에 두 물질의 분자 구조가 보여진다. Photovoltaic cell의 전기-광학적 특성은 활성층의 폴리머 물질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홉수 스펙트럼이 측정되었다. DFPP는 chloroform, chlorobenzen, THF, acetone에 잘 녹았으며, 본 논문에서는 chloroform이 용매로 사용되었다. 제작 공정은 다음과 같다. 인듐 주석 산화물 (ITO)이 증착된 유리기판은 photolithography 공정을 거친 후, 왕수(HNO$_{3}$ + HCL)로 식각됨으로서 전극의 패턴이 제작되었다. 그리고 ITO 전극 패턴 된 유리기판 위에 PEDOT (CH8000, Baytron)이 코팅된 후 Ar이 주입되는 Convection Oven을 이용하여 120$^{\circ}$C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되어 수분이 제거되었다. 활성층에는 MEH-PPV와 DFPP가 9:1과 2.33:1로 혼합된 폴리머가 사용되었고, 이것은 0.3 %w.t.가 되도록 chloroform에 넣어 5시간 동안 스핀바를 돌려서 용해되었다. 이 용액은 ITO 전극 패턴이 형성된 글라스 위에 3000 rpm으로 45 초간 스핀코팅 되었다. 이 때 얻어진 유기물 박막층은 80$^{\circ}$C의 Ar이 주입되는 convection oven에서 3시간 동안 경화되었다. 경화된 단층 유기물 박막층 위에 Li-Al이 1000 ${\AA}$의 두께로 증착되어 전극이 형성되었고, 이후 질소가 채워진 globe box에서 소자는 encapsulation되어 산소와 수분에 대한 영향으로부터 차단되었다. 상기의 공정으로 제작된 소자의 박막구조는 그림 2에서 보여진다. 그림 3은 MEH-PPV와 DFPP를 혼합했을 때의 흡수 스펙트럼이다. 최대 흡수 파장은 511 nm였다. 그리고 photovoltaic cell의 V-I 특성 결과가 그림 4와 같이 측정되었다. 측정에서는 300${\sim}$700 nm의 파장대를 갖는 태양광 모사계가 사용되었고, 셀의 면적은 10 mm$^{2}$였다. 그림 5의 I-V 특성으로부터 MEH-PPV와 DFPP가 9:1 로 혼합했을 때보다 2.33:1 로 혼합했을 때, photovoltaic device의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빛이 75 mW/cm$^{2}$ 의 세기로 조사될 때 9:1과 2.33:1로 혼합된 소자의 open circuit voltage (V$_{oc}$)는 비슷하지만, short circuit current Density (J$_{sc}$)는 각각 -1.39 ${\mu}$A/cm$^{2}$ 와 -3.72${\mu}$A/cm$^{2}$ 로 약 2.7배 정도 증가되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electron acceptor인 DFPP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photovoltaic cell의 conversion efficiency가 더 크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효율이 최대가 되는 두 폴리머의 혼합 비율이 최적화되는 조건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다.

  • PDF

개인용 피부미용 복합자극기 개발 (Development of a Personal Compound Stimulus Device for Skin-care)

  • 이전;김지현;정금희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9권1호
    • /
    • pp.12-19
    • /
    • 2012
  • 국내외적으로 경제수준의 향상과 웰빙 트렌트로 인해 피부미용기기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형기기 및 일부 보급된 개인용 피부미용기기와 차별화된 개인용 피부미용 복합자극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복합자극의 종류로 한약재 추출액의 생화학 자극, 피부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온열 자극, 다양한 피부미용 효과가 보고되고 있는 광 자극을 선택하였으며, 이들이 동시에 제공 가능하도록 복합자극부 구조를 설계하였다. 생화학 자극은 탈지면 패드에 함유된 한약재혼합추출물이 온열에 의해 기화됨으로써 피부에 공급되도록 하였으며, 온열자극은 탄소섬유 면상 발열체를 통해, 그리고 광자극은 850nm 파장을 갖는 고출력 근적외선 LED를 통해 공급되도록 하였다. 제작된 시제품의 보완 및 성능평가를 위하여 온열자극부 및 광 자극부를 테스트하였다. 온열자극의 경우 목표온도 도달시간, 제어 오차가 각 2분 이내, ${\pm}1.5^{\circ}C$ 이내로 적절히 동작하였으며, 광 자극의 경우 근적외선 LED와 발열체가 결합된 구조로 인해 정상 동작범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 확인되어 방열체 제작 추가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마지막으로, C2C12 mouse myoblast을 대상으로 한약재 자극을 제외한 복합자극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RT-PCR분석 결과 $37^{\circ}C$ 온열자극과 광 자극의 복합자극을 인가한 그룹에서 대조군에 비해 collagen I mRNA 발현량이 4.9배, collagen III mRNA 발현량이 1.3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흰쥐 성주기간동안 Prolactin mRNA의 변화:Naloxone (Alterations in Prolactin Messenger Ribonucleic Acid Level During the Rat Estrous Cycle: Effect of Naloxone)

  • 안혜영;유선경;조병남;김경진;유경자;조완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3-190
    • /
    • 1990
  • 본 연구는 prolactin(PRL)유전자 발현, 분비의 생리적 변화와 성주기 특정 시기의 PRL mRNA수준 및 분비에 미치는 내인성 오피오이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최소한 두번의 연속적인 성주기를 거친 성숙한 흰쥐에서 성주기의 각 시기(10:00시)에, proestrus시기에는 10:00-20:00 시동안에는 2시간 간격으로 도살하였고, naloxone (2mg/kg b.w.)은 도살 30분전에 피하주사 하였다. PRL mRNA의 수준의 흰쥐의 PRL cDNA를 probe로 하여 RNA-blot hybridization방법에 의해서, 혈중 PRL농도 변화는 방사면역측정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뇌하수체 PRL mRNA의 수준과 혈중 PRL수준은 diestrus I, II and proestrus그리고 estrus시기의 10:00시에는 급격한 변화를 보이이 않았다. 이때 naloxone처리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proestrus시기를 세분화하여 조사한 결과 PRL mRNA의 수준은 정오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였고, 오후 6:00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그후 8:00시에 다시 증가하였다. estrus동안 naloxone은 혈중의 PRL수준을 명백히 억제하였으나 PRL mRNA수준에는 영향이 없었다. proestrus시기 동안 혈중 PRL변화와 뇌하수체 PRL mRNA변화는 서로 상이하게 조절되며,PRL mRNA수준이 흰쥐 성주기 동안 변화하고 있는 사실에서 PRL 유전자 발현이 생리적으로 조절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

급성 위염 동물 모델에서 감국(甘菊) 추출물과 아마인유(亞麻仁油) 혼합물의 위 점막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hrysanthemi Indici Flos Extract and Flaxseed Oil Mixture on HCl/ethanol-induced Acute Gastric Lesion Mice)

  • 이진아;김수현;김민주;안정현;박해진;이우락;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9-28
    • /
    • 2018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Flaxseed oil and Chrysanthemi Indici Flos 50% ethanol extract in an HCl/ethanol induced acute gastritis model. Methods : ICR mice were divided into 6 groups; normal mice (Nor), gastritic mice with distilled water (Veh), gastritic mice with 10 mg/kg sucralfate (SC), gastritic mice with 16 g/㎏ Flaxseed oil (FO), gastritic mice with FO + 50 mg/kg Chrysanthemi Indici Flos (FCL), and gastritic mice with FO + 100 mg/kg Chrysanthemi Indici Flos (FCH). Then,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150 mM HCl/60% ethanol and caused acute gastritis. After 1 hr, mice were sacrificed, and blood and stomach tissue were collected. Results : Administration of FCL and FCH to mice prior to the induction of gastritis was found to reduce gastric injur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peroxy nitrite ($ONOO^-$) levels of stomach tiss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FO, FCL, and FCH compared to Veh group. As results of stomach protein analyses, FCL and FCH effectively reduce inflammatory-related factor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interleukin-6 (IL-6), and interleukin 1 beta ($IL-1{\beta}$) in gastric lesion mice. In addition, nuclear factor kappa B p65 ($NF-{\kappa}B$ p65) and phosphorylation inhibitor of nuclear factor kappa $B{\alpha}(p-I{\kappa}B{\alpha})$ were down-regulated in FCL and FCH administrated gastric lesion mice.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FCL and FCH has an inhibitory effect against gastric injury. Therefore, FCL and FCH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natural therapeutic drug.

국내, 외 광우병의 발생 현황과 대응 방안 (The current status and control measures of BSE in the worldwide)

  • 유한상
    • 한국환경농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농학회 2009년도 정기총회 및 국제심포지엄
    • /
    • pp.273-282
    • /
    • 2009
  • The 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ies (TSEs) disease group are fatal neurodegenerative disorders affecting a wide range of hosts. The group includes kuru and Creutzfeldt-Jakob disease (CJD) in humans, scrapie in sheep and goats and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BSE) in cattle. The exact nature of the infectious agent involved in the transmission of these diseases remains controversial. However, a central event in their pathogenesis is the accumulation in infected tissues of an abnormal form of a host-encoded protein, the prion protein (PrP). Whereas the normal cellular protein is fully sensitive to protease ($PrP^{sen}$), the disease-associated prion protein ($PrP^d$) is only partly degraded ($PrP^{res}$), its amino-terminal end being removed. BSE was first reported in the mid-80s in the UK. Ten years later, a new form of human prion disease, variant CJD (vCJD) developed in the wake of the BSE epidemic, and there is now strong scientific evidence that vCJD was initiated by the exposure of humans to BSE-infected tissues, thus indicating a zoonotic disease. However, the ban on the feeding of animal-derived proteins to ruminants, and the apparent lack of vertical transmission of BSE, have led to a decline in the incidence of the disease within cattle herd and therefore, an assumed decreased risk for human contacting vCJD. The origin of the original case(s) of BSE still remains an enigma even though three hypotheses have been raised. Hypotheses are i) sheep- or goat-derived scrapie-infected tissues included in meat and bone meal fed to cattle, ii) a previously undetected sporadic or genetic bovine TSE contaminating cattle feed or iii) originating from a human TSE through animal feed contaminated with human remains. A host cellular membrane protein ($PrP^C$), which is abundant in central nervous system tissue, appear to be conformationally altered in the diseased host into a prion protein ($PrP^{Sc}$). This $PrP^{Sc}$ is detergent insoluble and partially protease-resistant ($PrP^{res}$). The term $PrP^{res}$ is normally used to describe the protein detected after protease treatment, in techniques such as Western immunoblotting, and enzyme-linked immunosorbant assay using fresh/frozen tissue. Immunohistochemistry may performed with formalin-fixed tissues. Also, clinical signs of the BSE are one of the major diagnostic indicators. Recently, atypical forms (known as H- and L-type) of BSE have appeared in several European countries, Japa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An unusual case was also reported in a miniature zebu. The atypical BSE fall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relative molecular mass (Mm) of the unglycosylated $PrP^{res}$ band relative to that of classical BSE, one of the higher Mm (H-type) and the other lower (L-type). Both types have been detected worldwide as rare cases in older animals, at a low prevalence consistent with the possibility of sporadic forms of prion diseases in cattle. This raises the unwelcome possibility that vCJD could increase in the human population. Now, active surveillance program against BSE is going on in Korea. In regional veterinary service lab, ELISA is applied to screen the BSE in slaughter and confirmatory tests by Western immunoblotting and immunohistochemisty are carried out if there are positive or suspect in the screening test. Also, the ruminant feed ban is rigorously enforced. Removal of specified risk materials such as brain and spinal cord from cattle is mandatory process at slaughter to prevent the infected material from entering the human food chain.

  • PDF

윤영선 희곡 연구: 죽음과 애도의 글쓰기 (Une étude sur les textes théâtrals de Young-Sun Yun: L'écriture théâtrale sur la mort et le deuil)

  • 안치운
    • 한국연극학
    • /
    • 제52호
    • /
    • pp.117-157
    • /
    • 2014
  • Cette ${\acute{e}}tude$ est pour l'objectif de rechercher sur $l^{\prime}{\acute{e}}criture$ $th{\acute{e}}{\hat{a}}trale$ de la mort et le deuil dans les $th{\acute{e}}{\hat{a}}tres$ chez Young-sun Yun(1954-2007) ${\grave{a}}$ travers des textes dramatiques ${\acute{e}}crits$ par $lui-m{\hat{e}}me$, qui ${\acute{e}}tait$ aussi le metteur en $sc{\grave{e}}ne$ depuis 1994 dans le $th{\acute{e}}{\hat{a}}tre$ contemporain en $Cor{\acute{e}}e$. Cette $th{\grave{e}}se$ est $commenc{\acute{e}}$ ${\grave{a}}$ ${\acute{e}}crire$ pas pour apprendre ses textes mais pour comprendre la ralation entre les textes et les ${\exp}{\acute{e}}riences$ de l'auteur. Ici, pour cela, j''ai $analys{\acute{e}}$ ses 4 $pi{\grave{e}}ces$ $th{\acute{e}}{\hat{a}}trales$ produites ${\grave{a}}$ cette ${\grave{e}}poque$, dont (1994), (2000), $d{\acute{e}}biteur$, mon $p{\grave{e}}re$ est $progress{\acute{e}}$ de cancer>(1996), (2005), en referrant les rapports entre $l^{\prime}{\acute{e}}criture$ dramatique et de la mort et le deuil de $p{\grave{e}}re$. Cette ${\acute{e}}tude$ $pr{\acute{e}}suppose$ un certain situation psychologue de l'auteur sur la mort et le deuil de personnage '$p{\grave{e}}re$'. L'auteur dramatique et le metteur en $sc{\grave{e}}ne$ du $th{\acute{e}}{\hat{a}}tre$ Young-sun Yun propose certaines orientations de la mort de son $p{\grave{e}}re$ dans ses texts dramatiques: le sentiment de victime sous le pouvoir absolu de son $p{\grave{e}}re$. Chez lui, ${\acute{e}}crire$ le texte dramatique, c'est transmettre les amertumes d'esprit et une forme de $r{\acute{e}}flextion$ vis-${\grave{a}}$-vis de la relation avec son $p{\grave{e}}re$ surtout le $probl{\grave{e}}me$ $inachev{\acute{e}}$ de deuil. c'est-${\grave{a}}$-dire fournir des sentiments coupables et des $anxi{\acute{e}}t{\acute{e}}s$ qui $r{\acute{e}}sident$ au fond de son coeur, tout au long de sa vie. Pour cette objecif, il est ${\acute{e}}vident$ qu'il faudra toujours partir du texte et y revenir. J'ai $essay{\acute{e}}$ de ne pas $r{\acute{e}}duiser$ $l^{\prime}{\acute{e}}tude$ des textes au respect myope des paroles des personnage et rester la $r{\acute{e}}flextion$ pshchologique sur la mort et le processu de deuil. J'ai $essay{\acute{e}}$ d'appuyer mes remarques sur les sources $autoris{\acute{e}}es$: psychanalytiques en la $mati{\grave{e}}re$. C'est pourquoi j'ai cru devoir $pr{\acute{e}}senter$ cette recherche de l'analyse sous la forme d'une $synth{\grave{e}}se$ des principaux concepts de la $th{\acute{e}}orie$ de la pshchologie moderne qui permettent l'analyse des textes dramatiques.(Dany Nobus, David K. Switzer, Fritz Riemann, Giles Deleuze, Sigmund Freud, Julia Kristeva) Et auiss j'ai $essay{\acute{e}}$ de explorer l'imaginaire des paroles dans les textes en ses rapports avec l'auteur et les personnages et entre les personnages. Ainsi conçu, j'ai $analys{\acute{e}}$ les formes de paroles en ce qui concerne la mort de $p{\grave{e}}re$ et le deuil. Cette $mani{\grave{e}}re$ s'est $r{\acute{e}}v{\acute{e}}l{\acute{e}}e$ efficace pour montrer comment des traces de sentiment se transforment dans des textes. Dans les pluparts des personnages chez les textes de Young-sun Yun, on peut voir si $d{\acute{e}}finitivement$ leur cicatrices personnelles, $sensibilit{\acute{e}}s$ $m{\hat{e}}l{\acute{e}}s$, ce 'je-ne-pourrai-rien-contre-mon-$p{\grave{e}}re$' ou 'je-ne-sais-quoi-et-presque-$apr{\grave{e}}s$-la mort-de-mon pere'. Pour $d{\acute{e}}pouiller$ cet aspect, j'ai $montr{\acute{e}}$ qu'il n'y avait pas de $v{\acute{e}}rit{\acute{e}}s$ objectives, mais que la $subjectivit{\acute{e}}$ doit trouver le jeu triangulaire entre l'inconscient de l'auteur par les paroles des textes et par les rapports entre le symbolisant et le $symbolis{\acute{e}}$ dans les $repr{\acute{e}}sentation$ socio-culturelle en $Cor{\acute{e}}e$ d'aujourd'hui.

Fipronil의 꿀벌 (Apis mellifera)에 대한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Fipronil on Honeybee (Apis mellifera))

  • 김병석;양유정;박연기;정미혜;유아선;박경훈;안용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44
    • /
    • 2009
  • 벼농사용 살충제인 fipronil의 비의도적 노출에 의한 꿀벌(Apis mellifera L.)의 피해를 확인하기 위해 급성독성시험, 엽상잔류독성시험, cage를 이용한 소규모야외시험을 실시하였다. 급성접촉독성시험에서 24시간과 48시간의 $LD_{50}$은 각각 0.008, $0.005{\mu}g$ a.i./bee 로 꿀벌에 매우 강한 급성독성을 보였으며 급성위해지수(QHc)는 12,500으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엽상잔류독성시험에서는 피프로닐 액상수화제 살포 후 28일까지 90%이상 치사율을 보여 장기간 꿀벌에 독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fipronil의 표면부착잔류량(dislodgeable foliar residue)을 분석한 결과 $DT_{50}$은 9일, $DT_{90}$은 31일이었다. 야외시험의 결과에서도 28일의 치사율이 40%로 조사되어 실내 엽상잔류독성시험과 유사한 잔류독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fipronil은 꿀벌에 대한 급성독성이 매우 강하면서 장기간의 잔류독성이 있어 잎 표면의 매우 낮은 잔류량으로 꿀벌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살충제이다. 따라서 재배작물뿐만 아니라 살포지역 인근의 밀원식물에 약제살포시 바람에 날려 오염될 경우 화분매개용 꿀벌과 자연생태계 유용곤충에 위해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꿀벌이 왕성한 활동을 하는 시기에는 야외살포를 금지하여야 하며, 궁극적으로 야외생태계 유용곤충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실내사용 목적으로만 사용되도록 제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