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onatremia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3초

결핵성 뇌수막염에 동반된 뇌성 염분소실증후군(Cerebral salt wasting syndrome) 1예 (A Case of Cerebral Salt Wasting Syndrome Associated with Tuberculous Meningitis)

  • 이자영;이은실;이재형;임은주;김형수;장지선;김현규;김두만;박용범;이재영;모은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3호
    • /
    • pp.306-310
    • /
    • 2005
  • 저자들은 결핵성 뇌수막염을 가진 31세 남자환자에서 심한 다뇨와 저나트륨혈증, 저혈압, 요중 염분소실이 동반되어 있어 CSWS로 진단하고 항결핵제 투여와 식염수, 염류코르티코이드의 투여 후 임상적 호전을 보인 증례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Coexistence of Central Diabetes Insipidus and Prolonged Cerebral Salt Wasting Syndrome after Brain Tumor Surgery: A Case Report

  • Lee, Ji Sun;Baek, Hee Jo;Kim, Chan Jong;Yang, Eun Mi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4권1호
    • /
    • pp.42-46
    • /
    • 2020
  • Disturbances in water and salt balances are relatively common in children after brain tumor surgery. However, the coexistence of different diseases of water and sodium homeostasis is challenging to diagnose and treat. The coexistence of combined central diabetes insipidus (CDI) and cerebral salt wasting syndrome (CSWS) is rare and may impede accurate diagnosis. Herein, we report the case of an 18-year-old girl who underwent surgery for a germinoma and who presented prolonged coexistence of CDI and CSW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panhypopituitarism with CDI at presentation and was treated with hydrocortisone, levothyroxine, and desmopressin. Postoperatively, she developed polyuria of more than 3L/day, with a maximum daily urine output of 7.2 L/day. Her serum sodium level decreased from 148 to 131 mEq/L. Polyuria was treated with desmopressin at incremental doses, and hyponatremia was managed with fluid replacement. At 2 months after surgery, she presented with hyponatremia-induced seizure. Polyuria and hyponatremia combined with natriuresis indicated CSWS. Treatment with fludrocortisone were initiated; then, her electrolyte level gradually normalized. CSWS is self-limiting and generally resolves within 2 weeks. However, the patient in this study still required treatment with vasopressin and fludrocortisone at 16-months after surgery. Hyponatremia in a patient with CDI may be erroneously interpreted as inadequate CDI control or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secretion, leading to inappropriate treatment. The identification of the potential combination of CDI and CSWS is important for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저나트륨혈증으로 이뇨제를 중단한 간경변 환자 복수에 대한 한방치료 1례 (A Case Study of a Patient Who Discontinued Diuretics due to Hyponatremia and Wa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for Ascites)

  • 배인후;김근영;정성훈;조기호;문상관;정우상;권승원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198-1207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a case of an 80-year-old woman with extensive ascites and hypervolemic hyponatremia due to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Methods: The patient was first treated with a diuretic to treat her ascites. However, during hospitalization, she developed hypervolemic hyponatremia due to liver cirrhosis. Therefore, we discontinued the diuretic and treated her with Korean herbal medicine (Insamyangyoung-tang with Oryeong-san). We measured her abdominal circumference, followed by radiography, to evaluate the effect of Korean herbal medicine. Result: We treated the patient only with Korean medicine and without diuretics, and her ascites was successfully reduced. No recurrence was observed. Conclusion: Korean herbal medicine can be used as an adjuvant therapy for patients with ascites and hyponatremia.

소아 경련 환자에서 carbamazepine과 oxcarbazepine 치료 시 환자 연령과 약물 용량과 저나트륨혈증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The age and dose-related hyponatremia during carbamazepine and oxcarbazepine therapy in epileptic children)

  • 이규하;송준혁;차성호;정사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4호
    • /
    • pp.409-414
    • /
    • 2008
  • 목 적 : Carbamazepine은 전신 긴장간대 발작과 부분발작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나 부작용으로 항이뇨 작용과 저 나트륨 혈증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oxcarbazepine도 carbamazepine의 케톤 유도체로서 저 나트륨 혈증을 유발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carbamazepine과 oxcarbazepine을 복용한 환자의 연령, 혈중 carbamazepine 농도, oxcarbazepine의 복용량과 저 나트륨 혈증과의 관계, 저 나트륨 혈증 증상의 유병률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경희대학교 소아청소년과 외래에서 carbamazepine을 단독 투여한 환자와 oxcarbazepine 단독 투여한 환자와 carbamazepine 또는 oxcarbazepine과 다른 항경련제를 병용한 환자 1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arbamazepine을 단독 투여한 군( I군, 67명), oxcarbazepine 단독 투여한 군( II군, 75명), carbamazepine 또는 oxcarbazepine과 다른 항경련제를 병용 투여한 군( III군, 55명)으로 구분하여서 연령과 항경련제 투여 후의 혈중 나트륨 농도를 비교하고 I군에서는 carbamazepine의 혈중 농도와 혈중 나트륨 농도를, II군에서는 oxcarbazepine의 투여 용량과 혈중 나트륨 농도 변화를 비교하였다. 각 그룹의 저 나트륨 혈증의 의한 증상(두통, 구토, 피로감, 경련, 불안, 섬망, 정신 착란)을 기록하였다. 결 과 : 전체 조사 대상의 항경련제 투여 후 저 나트륨 혈증은 41명(20.8%)에서 발견되었고 각각 I군은 12명(17.9%), II군은 17명(22.6%), III군은 12명(21.8%)에서 저 나트륨 혈증이 나타났다. II군과 III군은 항경련제 투여 전과 비교 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 혈중 나트륨 농도 변화와 환자의 연령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혈중 carbamazepine 농도 증가와 혈중 나트륨 농도의 변화, oxcarbazepine의 하루 투여량 증가에 따른 혈중 나트륨 농도의 변화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혈중 농도 135 mEq/L 미만의 저 나트륨 혈증을 보인 41명의 환자 중에서 저 나트륨 혈증 증상을 보인 환자는 7명(17.1%) 였고 혈중 나트륨 농도가 120 mEq/ L 이상 125 mEq/L 이하 인 환자는 5명으로 오심과 구토, 피로감, 두통을 호소하였다. 혈중 나트륨 농도가 120 mEq/L 미만의 2명의 환자들은 반복되는 경련, 의식 혼란, 불안감, 망상 증세를 보였다. 결 론 : Carbamazepine의 단독 투여 시 보다 oxcarbazepine이나 다른 항경련제와 병용 투여 시 저 나트륨 혈증의 발생율이 높았다. 연령과 carbamazepine과 oxcarbazepine 투여 후 혈중 나트륨 농도 사이에는 별 상관 관계가 없는 반면 carbamazepine의 혈중 농도 증가와 oxcarbazepine의 투여량 증가 시 혈중 나트륨 농도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혈중 나트륨 농도가 125 mEq/L 미만인 환자에서 심한 임상 증상을 보였다.

Preoperative Extrapontine Myelinolysis with Good Outcome in a Patient with Pituitary Adenoma

  • Zhou, Ying;Zhu, Yicheng;Wang, Wenze;Xing, Bi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2호
    • /
    • pp.161-164
    • /
    • 2016
  • Few preoperative extrapontine myelinolysis (EPM) cases with pituitary adenoma have been reported. No such case had long follow-up to see the outcome of EPM. We reported a 38-year-old man complaining of nausea, malaise and transient loss of consciousness who was found to have severe hyponatremia. Neurologic deficits including altered mental status, behavioral disturbances, dysarthria and dysphagia developed despite slow correction of hyponatremia. Endocrine and imaging studies revealed hypopituitarism, nonfunctional pituitary macroadenoma and extrapontine myelinolysis. Transsphenoidal surgery was performed after three weeks of supportive therapy, when neurological symptoms improved significantly. The patient recovered function completely 3 months after surgery. Our case indicates that outcome of EPM can be good even with prolonged periods of severe neurologic impairment.

A Pediatric Case of AVPR2-related Nephrogenic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sis

  • Bae, Hyunwoo;Baek, Hee Sun;Jang, Hae Min;Lee, Eun Joo;Cho, Min Hyu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4권2호
    • /
    • pp.126-130
    • /
    • 2020
  • Nephrogenic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sis (NSIAD) is a rare X-linked genetic condition caused by a gain-of-function mutation of arginine vasopressin receptor 2 gene, AVPR2. We report the case of a male neonate diagnosed with NSIAD based on his DNA sequence of the AVPR2 gene and the clinical course. He demonstrated a complete correction of hyponatremia using oral urea. We suggest that (1) sequencing analysis of the AVPR2 gene ought to be done in newborns with prolonged euvolemic hyponatremia, hypo-osmolality, high urinary sodium and normal/low or undetectable AVP levels, and that (2) oral urea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option in infants diagnosed with NSIAD until the patients are grown-up.

Cerebral salt wasting syndrome caused by external lumbar drainage in a patient with chronic hydrocephalus

  • Yoo, Je Hyun;Park, Ki Deok;Lim, Oh Kyung;Lee, Ju Kang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24권1호
    • /
    • pp.30-34
    • /
    • 2022
  • In cases of hyponatremia induced by brain damage,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the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secretion (SIADH) and cerebral salt wasting syndrome. A ventriculoperitoneal (VP) shunt is the standard treatment for hydrocephalus, and external lumbar drainage (ELD) is an option to evaluate the effect of a VP shunt. However, ELD has potential complications, such as subarachnoid hemorrhage, meningitis, and rarely hyponatremia. Therefore, we report a case of a patient with cerebral salt-wasting syndrome resulting from ELD to treat normal-pressure hydrocephalus during the rehabilitation of acute ischemic stroke.

Relationship between serum sodium level and coronary artery abnormality in Kawasaki disease

  • Park, Sora;Eun, Lucy Youngmin;Kim, Ji H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2호
    • /
    • pp.38-44
    • /
    • 2017
  • Purpose: Kawasaki disease (KD) is an immune-related multisystemic vasculitis that occurs in children, especially ensuing from a coronary artery abnormality. Sodium level is known to be related to vascular injury, which could affect the progress of K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erum sodium levels that could predict the occurrence of cardiac and coronary artery events in K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for 104 patients with KD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15. Patients with serum Na levels of <135 mEq/L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were assigned to the hyponatremia group. Laboratory findings and echocardiographic data were analyzed for various aspects. Results: Among the 104 patients with KD, 91 were included in the study, of whom 48 (52.7%) had hyponatremia. The degree of fever, white blood cell count, percentage of neutrophils, percentage of lymphocytes, total bilirubin level, brain natriuretic peptide level,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level were higher in the patients with hyponatremia. They also demonstrated a trend of larger coronary artery diameters based on Z scores. Conclusion: The severity of vascular inflammation in acute KD with hyponatremia might worsen the prognosis of coronary vasculature. Althoug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initial serum sodium levels and coronary arteriopathy in the patients with KD in this study, a long-term follow-up study with a larger number of enrolled patients should be designed in the future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sodium level and coronary arteriopathy in patients with KD.

가와사끼병에서 저나트륨혈증의 관련인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factors causing hyponatremia in patients with mucocutaneous lymph node syndrome)

  • 김수연;김현정;최준석;허재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3호
    • /
    • pp.364-369
    • /
    • 2009
  • 목 적 : 가와사끼병의 급성기에 심장 합병증을 미리 예측하고자 하는 연구가 꾸준히 계속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확실하게 인정되고 있는 지표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저나트륨혈증이 가와사끼병 급성기에 나타나는 빈도와 다른 임상적 요인 및 관상동맥 합병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1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만 2년간 을지대학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가와사끼병으로 치료받았던 1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나이와 성별, 발열부터 면역글로불린 투여시까지의 기간, 치료부터 해열까지의 기간, 입원 당시의 백혈구수, 혈소판수,알부민, ESR, CRP, AST, ALT치와 무균성 농뇨 및 심초음파 결과 등을 저나트륨혈증군(1군) (n=30)과 정상 나트륨군(2군) (n=84)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 처리는 t-test와 교차분석, logistic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결 과 : 1) 1군의 환자들에게서 설사 증상이 나타났던 경우가 40%로 2군의 환자들보다 유의하게 많았으며 농뇨나 혈뇨의 빈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1군 환아들에서의 CRP 수치가 평균 12.2 mg/dL로 2군 환아들에서의 7.3 mg/dL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3) 1군에서 13.3%의 환아에서 1회의 IVIG 치료 후에도 발열이 지속되어 IVIG의 재투여가 필요하였으며 2군의 환아들에 비해 3배 가량 많았다. 4) 1군 중 53.3%에서 관상 동맥의 병변이 있었으며 2군의 20.2%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으며 1군 중 2명(6.7%)에서 중등도 크기의 관상동맥류가 있었다. 결 론 : 가와사끼병에서 입원 당시에 저나트륨혈증이 있거나 면역글로불린 투여 이후에도 저나트륨혈증이 지속될 때 관상 동맥의 합병증이 더 많이 발생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치료에 임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소아의 폐렴과 중추신경계 감염에서 급성 저나트륨혈증의 발생 양상 (Acute Hyponatremia in Pneumonia and CNS Infections of Children)

  • 신성현;엄태민;이윤진;손승국;김성헌;김수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6권2호
    • /
    • pp.89-94
    • /
    • 2012
  • 목적: 소아 입원 환자에서 유지용액을 기존의 저장성 수액 대신 등장성 수액으로 대체해야 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왔다. 소아에서의 폐렴과 중추신경계 감염은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 자극으로 인해 저나트륨혈증이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임상적인 상황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폐렴과 중추신경계 감염질환에서 저나트륨혈증의 발생률을 확인하고 유지용액 선택의 중요성과 관련 인자들에 대해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에 2008년 11월부터 2011년 8월까지 폐렴과 중추신경계 감염질환진단하에 입원하여 유지용액을 투여받고 혈장 나트륨 농도가 측정된 199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저나트륨혈증은 혈장 나트륨 농도가 135 mEq/L 미만일 때로 정의하였다. 검사결과를 포함한 임상적 자료는 후향적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기간 동안 1,992명 중 218명의 환아가 급성 저나트륨혈증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총 발생률은 10.9%였다. 저나트륨혈증의 발생률은 뇌염에서 가장 높았고 세균성 뇌수막염,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세균성 폐렴, mycoplasma성 폐렴, 바이러스성 폐렴 순으로 발생률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세균성 폐렴에서의 발생률은 바이러스성 폐렴의 발생률에 비해 의미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뇌염에서의 발생률은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의 발생률에 비해 의미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평균발생연령은 저나트륨혈증 환아군이 정상나트륨혈증 환아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 저나트륨혈증의 발생률은 D5 0.18% NS 투여군이 D5 1/2NS 투여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 입원기간 중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한 82명의 환아 중 78명이 SIADH의 진단에 필요한 모든 검사를 시행하였고, 이중 20.5%에서 진단되었다. 결론: 저나트륨혈증의 발생률은 폐렴과 중추신경계 감염질환에서 높게 나타나며 저장성 수액의 투여는 입원 후에 발생하는 저나트륨혈증의 중요한 원인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폐렴과 중추신경계 질환이 있는 환아에서 유지용액으로 D5 0.18% NS 보다 D5 1/2NS의 투여를 권장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