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erostosis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9초

Diagnostic Value of Susceptibility-Weighted MRI in Differentiating Cerebellopontine Angle Schwannoma from Meningioma

  • Seo, Minkook;Choi, Yangsean;Lee, Song;Kim, Bum-soo;Jang, Jinhee;Shin, Na-Young;Jung, So-Lyung;Ahn, Kook-Ji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4권1호
    • /
    • pp.38-45
    • /
    • 2020
  • Background: Differentiation of cerebellopontine angle (CPA) schwannoma from meningioma is often a difficult process to identify. Purpose: To identify imaging features for distinguishing CPA schwannoma from meningioma an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susceptibility-weighted imaging (SWI) in differentiating them.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10 and January 2015, this study pathologically confirmed 11 meningiomas and 20 schwannomas involving CPA with preoperative SWI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Generally, the following MRI features were evaluated: 1) maximal diameter on axial image, 2) angle between tumor border and adjacent petrous bone, 3) presence of intratumoral dark signal intensity on SWI, 4) tumor consistency, 5) blood-fluid level, 6) involvement of internal auditory canal (IAC), 7) dural tail, and 8) involvement of adjacent intracranial space. On CT, 1) presence of dilatation of IAC, 2) intratumoral calcification, and 3) adjacent hyperostosis were evaluated. All features were compared using Chi-squared tests and Fisher's exact tests. The univariate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imaging features that differentiate both tumors. Results: The results noted that schwannomas more frequently demonstrated dark spots on SWI (P = 0.025), cystic consistency (P = 0.034), and globular angle (P = 0.008); schwannomas showed more dilatation of internal auditory meatus and lack of calcification (P = 0.008 and P = 0.02, respectively). However, it was shown that dural tail was more common in meningiomas (P < 0.007). In general, dark spots on SWI and dural tail remained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P = 0.037 and P = 0.012,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combination of two features showed a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80% and 100% respectively, with an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0.9. Conclusion: In conclusion, dark spots on SWI were found to be helpful in differentiating CPA schwannoma from meningioma. It is noted that combining dural tail with dark spots on SWI yielded strong diagnostic value in differentiating both tumors.

Clinical Experiences and Usefulness of Cervical Posterior Stabilization with Polyaxial Screw-Rod System

  • Hwang, In-Chang;Kang, Dong-Ho;Han, Jong-Woo;Park, In-Sung;Lee, Chul-Hee;Park, Sun-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2권4호
    • /
    • pp.311-316
    • /
    • 2007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fety, surgical efficacy, and advantages of a polyaxial screw-rod system for posterior occipitocervicothoracic arthrodesis. Methods : Charts and radiographs of 32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cervical fixation between October 2004 and February 2006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osterior cervical polyaxial screw-rod fixation was applied on the cervical spine and/or upper thoracic spine. The surgical indication was fracture or dislocation in 18, C1-2 ligamentous injury with trauma in 5, atlantoaxial instability by rheumatoid arthritis (RA) or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 (DISH) in 4, cervical spondylosis with myelopathy in 4, and spinal metastatic tumor in 1.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and evaluated based on their clinical status and radiographs at 1, 3, 6 months and 1 year after surgery. Results : A total of 189 screws were implanted in 32 patients. Fixation was carried out over an average of 3.3 spinal segment (range, 2 to 7). The mean follow-up interval was 20.2 months. This system allowed for screw placement in the occiput, C1 lateral mass, C2 pars, C3-7 lateral masses, as well as the lower cervical and upper thoracic pedicles. Satisfactory bony fusion and reduction were achieved and confirmed in postoperative flexion-extension lateral radiographs and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in all cases. Revision surgery was required in two cases due to deep wound infection. One case needed a skin graft due to necrotic change. There was one case of kyphotic change due to adjacent segmental degeneration. There were no other complications, such as cord or vertebral artery injury, cerebrospinal fluid leak, screw malposition or back-out, or implant failure, and there were no cases of postoperative radiculopathy due to foraminal stenosis. Conclusion : Posterior cervical stabilization with a polyaxial screw-rod system is a safe and reliable technique that appears to offer several advantages over existing methods. Further biomechanical testings and clinical experiences are needed in order to determine the true benefits of this procedure.

Possible Role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 Osteolytic Intracranial Meningiomas

  • Moon, Hyung-Sik;Jung, Shin;Jung, Tae-Young;Cao, Van Thang;Moon, Kyung-Sub;Kim, In-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7권1호
    • /
    • pp.11-16
    • /
    • 2010
  • Objective: Abnormalities of the bone are frequently encountered in patients with meningioma, and hyperostosis and endostosis are common bone alterations in these tumors. Extensive bony destruction is very unusual in patients with meningioma. We report six cases of intracranial meningioma associated with an osteolytic lesion of the skull and discuss the underlying mechanisms that may be responsible for bone destruction in patients with meningioma. Methods: Six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evere, moderate and mild, according to the degree of osteolytic bony destruction. The tumor was classified as intracranial or extracranial, depending on its location.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role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in meningioma-associated osteolysis. The levels of MMP expression were determined by gelatin zymography, reverse transcription-quantitative PCR analysis (RT-PCR)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Results: Complete surgical removal of the lesion was performed in each patient.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benign meningioma in four cases, and two cases of atypical meningioma. Patients did not have a poor prognosis except one case of recurred atypical meningioma. Gelatin zymography and RT-PCR detected high levels of MMP-2 in almost all extracranial masses in comparison with the intracranial masses and MMP9 in two.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bone destructio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revealed MMP-2 expression in the vicinity of the bone destruction, and a few MMP-9-positive stainings were observed. Conclusion: Osteolysis of the skull in patients with meningiomas might not be indicative of malignant pathological features and poor prognosis. Invasion to the extracranial portion and osteolysis might be associated with MMP-2 expression in meningioma.

SAPHO 증후군에서 골신티그라피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Bone Scintigraphy in SAPHO Syndrome)

  • 임석태;손명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5-260
    • /
    • 2002
  • 목적: SAPHO 증후군은 전흉벽의 골관절에 주로 위치하는 혈청학적 검사상 음성을 보이면서 다양한 피부증상을 동반하는 골관절 질환으로 질병의 특성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통하여 조기진단을 함으로써 불필요한 수술이나 장기간의 비효율적인 항생제 치료를 피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점이라 할 수가 있겠다. 이에 저자들은 SAPHO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에서 골신티그라피의 소견의 특징을 알아보고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다발성 관절통과 반복적으로 재발되는 피부증상이 있어 임상적으로 SAPHO 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5명의 환자(모두 남자, $22.8{\pm}4.75$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저에너지 고해상도 조준기가 장착된 이중헤드 감마카메라(ECAM, Siemens, Germany)를 이용하여 전신영상을 얻었고, 2명의 환자에서는 척추 관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SPECT 영상을 얻었다. 골신티그라피상 섭취증가를 보이는 관절을 알아보고 호발빈도와 단순 X선과 관절 침범 유무를 진단하는 성능을 비교하였다. 결과: 골신티그라피상 모든 환자에서 이상소견을 보인 관절은 흉쇄골 관절, 천장골 관절, 수부의 소관절이었다. 흉쇄골 관절이상은 양측성이 3/5 (60%)이고 일측성이 2/5 (40%)로 관찰되었다. 천장골 관절에서는 양측성이 4/5 (80%) 이고 일측성이 1/5 (20%)로 관찰되었다. 척추 관절의 이상은 4/5 (80%)에서 관찰되었는데 이 가운데 요추 이상은 4명 모두에서 볼수가 있었고 흉추의 이상은 3명, 경추의 이상은 1명에서 보여 척추에서는 요추의 침범이 가장 많았다. 척추골 SPECT는 2명에서 시행되었는데 추체나 척추경 보다는 후관절에 이상을 초래함을 평면영상에 비하여 보다 상세히 알 수가 있었다. 결론: SAPHO 증후군은 피부증상과 함께 다양한 골관절을 침범하는 질환으로 골신티그라피를 시행함으로써 관절의 이상을 조기에 진단하여 불필요한 수술이나 장기간의 비효율적인 항생제 치료를 피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Chronic Recurrent Multifocal Osteomyelitis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Successfully Treated With Infliximab

  • Kwak, Shinhyeung;Kim, Dongsub;Choi, Joon-sik;Yoon, Yoonsun;Kim, Eun Sil;Kim, Mi Jin;Yoo, So-Young;Shim, Jong Sup;Choe, Yon Ho;Kim, Yae-Jea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2호
    • /
    • pp.96-104
    • /
    • 2022
  • Chronic recurrent multifocal osteomyelitis (CRMO)는 소아에서 호발하는 비감염성 염증성 골질환으로 염증성장질환, 건선, 베게너 육아종, SAPHO 증후군 등의 다른 자가 면역 질환이 병발하기도 한다. 13세 중앙아시아 인종의 남자환자가 18개월 동안 반복되는 하지 관절 통증과 연조직 염증 증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CRMO로 진단 하 비스테로이드성소염제 치료를 시작하였다. 5개월 간 약물 복용하였으나 근골격계 증상 악화, 새롭게 발생한 위장관 증상에 대해 CRMO에 크론병이 병발한 것으로 진단되었으며, 이에 대해 infliximab을 투여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크론병이 병발한 CRMO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치료에 실패한 후 infliximab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치료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유골 골종의 치료 (Treatment of Osteoid Osteoma)

  • 한정수;조창현;조영린;조남수;임찬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2-29
    • /
    • 2000
  • 목적 : 유골 골종의 치료에서 소파술 및 절제술을 이용한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 영상증폭 장치하에 K-강선을 경피적으로 삽입후 핵을 Halo-mill로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도 양호한 결과를 얻어 치료법의 하나로 사료되어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3월부터 1998년 1월까지 유골 골종으로 진단하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4례, 여자가 6례였으며 연령분포는 7세부터 42세 까지 평균 20.8세였다. 추시기간은 최저 1년에서 최고 5년 6개월로 평균 3년 2개월이었다. 발생부위는 대퇴골이 9례로 가장 많았고, 경골이 6례, 척추 2례, 척골 1례, 상악골 1례 그리고 두개골이 1례였다. 대퇴골에 발생한 9례중 근위 골간단부는 5례, 경부가 2례, 그리고 골간부가 2례였다. 경골에 발생한 6례는 근위 골간단부와 원위 골간단부에 각각 1례 발생하고 나머지 4례는 골간부에 발생하였다. 정확한 진단과 병소를 찾아내기 위한 방사선학적 검사는 단순 방사선촬영, 골주사, 전산화 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였다. 수술방법은 절제술과 소파술이외에 Halo-mill을 이용해 경피적으로 병소를 절제해 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편 척골에 발생한 1례의 경우에는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 단순 방사선촬영 소견상 골 경화의 중심부에 투명상을 나타내는 핵을 보이는 전형적인 소견을 보인 경우는 방사선 자료의 검토가 가능했던 15례중 10례였으며 나머지는 골피질의 경화소견만 보였다. 골주사는 14례에서 시행되었으며 전례에서 비정상적인 방사능 섭취의 증가가 나타났다. 전산화 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각 10례와 4례 중 병소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는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1례가 있었다. 치료는 소파술 6례, 절제술 11례,Halo-mill을 사용한 경피적 절제술 2례, 그리고 인공 주관절 치환술 1례를 시행하였다. Halo-mill을 사용한 2례에서 모두 7mm 크기의 Halo-mill을 사용하여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추시 결과 모든 례에서 증상의 소실을 보였으며 재발한 경우는 없었다. 조직학적 소견상, 특징적인 병소를 확인하지 못하고 과골화 소견을 보인 1례를 제외하고는 모든 례에서 특징적인 병소를 확인하였다. 결론 : 유골 골종의 완치를 위해서는 병소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한 방법으로 보편적인 소파술이나 절제술이 사용될 수 있으나, 핵의 정확한 위치 및 크기가 확인되고 경피적으로 도달가능하며 Halo-mill로 핵을 제거할 수 있는 경우에는 Halo-mill을 이용한 경피적 병소 제거술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