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ydroxyzine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19초

Chloral hydrate 경구 진정에 실패한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한 두 가지 진정요법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WO SEDATIVE REGIMEN USED FOR CHILD PATIENT WHO FAILED TO ORAL CHLORAL HYDRATE)

  • 이상민;김종수;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05-516
    • /
    • 2000
  • Chloral hydrate단독 경구투여는 소아치과 환자의 진정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중의 하나지만 실패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보게된다. Chloral hydrate의 처음 투여용량이 실패할 경우 추가 용량을 투여하기보다는 다른 약물의 투여가 바람직하며, 이는 안전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효과적인 진정에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chloral hydrate의 수면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소아환자에게 치료를 연기하지 않고 즉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재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아산화질소-산소와 enflurane 혼합가스를 이용한 초기 수면유도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었다. 의식하 진정을 이용한 치과치료가 예정된 건강한 환자에게 kg당 70mg의 chloral hydrate를 경구투여하고 조용한 방에서 60분이 경과한 다음, 환자가 수면상태에 이른 경우를 진정효과의 성공으로 평가하고 계획된 치료를 수행하였다(I군). 수면에 이르지 않아 실패로 평가된 환자는 50%의 아산화질소와 2vol%의 enflurane이 혼합된 가스를 약 $1\sim2$분간 투여하여 초기 수면유도를 시행한 후 예정된 치료를 수행하였고(III군), 다음 내원에는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2mg/kg)을 병용투여 하였다(III군).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 35명씩 총 70명 (남자 44명, 여자 : 26명)의 환자가 실험대상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35.9{\pm}8.9$개월 체중은 $14.4{\pm}2.2kg$이었다. 치료과정을 10단계로 나누어 환자의 생징후(말초 동맥혈 산소 포화도, 심박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를 측정하였으며, 행동양상은 video촬영하여 역시 10단계로 나누어 1명의 평가자가 OSU behavior rating scale과 Automated Counting Syste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생징후의 경우 각 군 모두 정상범위 내에서 안정된 양상을 보였으나, 개구기 삽입이나 국소마취 단계에서 발생하는 자극에 대한 말초 동맥혈 산소포화도와 심박수의 반응정도가 I군에 비해 II군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임상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양상(Q : Quiet)의 비율이 III군에 비해 II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II군과 I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본 실험에서 시도한 두 가지 진정요법이 비교적 높은 임상적 치료 성공률(II군 : 97.14%, III군 : 88.57%)을 보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어린이의 치과치료시 약물에 의한 진정요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 (A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IN THE KOREAN PEDIATRIC DENTAL OFFICE)

  • 안소연;최병재;곽지윤;강정완;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44-453
    • /
    • 2005
  • 진정요법은 소아치과에서 사용하는 보상, 속박, 체계적 탈감작법(말-시범-시행), 친밀감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는 환자의 반응이 개선되지 않아 일반적인 치과치료가 불가능할 때 사용하는 행동조절법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진정요법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 기준이나 방법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미국소아치과학회의 진정요법에 관한 기준이 있기는 하지만 국내의 상황이 미국과 다르므로 한국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소아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국내 소아치과에서의 진정요법 현황에 대한 실태를 조사, 그 결과를 정리하여 향후 소아치과 임상에서의 진정요법에 대한 임상 기준을 정하는데 기여하고자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 573명을 대상으로 진정요법 사용 실태에 관한 설문지를 발송하여 이 중 회신을 한 220명의 설문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응답자의 약 66%가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진정요법에 관한 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국내 소아치과에서 진정요법의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 2. 진정요법으로 치료를 결정하게 된 요인은 행동조절, 치료내용과 양, 보호자의 요구, 내원횟수, 전신질환의 순서이었다. 3. 진정요법으로 치료받는 환자의 연령은 만 3세가 가장 많았고, 만 4-5세, 만 2세 미만, 만 6-10세, 만 10세 이상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4. 진정요법 시 chloral hydrate는 60-70mg/kg, hydroxyzine은 10-40mg/kg(25mg/kg)을 사용하고 있었고, 경구 투여가 가장 선호하는 약물투여 경로였다. 5. 진정요법 시 사용하는 환자감시 방법은 피부나 손톱색 등의 관찰을 포함한 환자 평가와 맥박 산소측정기(pulse oximeter)를 통한 환자감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약 56%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Chloral Hydrate 경구투여 후 진정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소아환자에 대한 Enflurane의 사용 (USE OF ENFLURANE FOR CHILDREN WHO FAIL TO RESPOND PROPERLY TO ORAL CHLORAL HYDRATE)

  • 이상민;윤형배;김종수;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13-519
    • /
    • 1999
  • 진정요법을 위한 경구 투여 약물에는 비교적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알려진 chloral hydrate가 있으나, 체내에 흡수되는 용량이 환자에 따라 다양하여 이것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어렵고, 환자의 불안 정도와 주변환경 등의 영향을 받아 약효발현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런 경우 환자와 보호자 모두에게 고통과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재내원시의 치료도 더욱 어려워지는 고충을 흔히 겪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chloral hydrate와 midazolam의 추가 투여,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 또는 아산화질소-산소와 함께 사용하는 등 소아환자의 행동조절을 위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시행되어지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Chloral hydrate 경구 투여 후 진정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37명의 소아환자에게 아산화질소-산소와 함께 Enflurane을 사용하여 초기 수면을 유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Enflurane 투여 및 국소마취 시행시 말초동맥혈 산소 포화도와 이완기 혈압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상범위 내에서 안정된 양상을 보였다(p<0.05). 2. Enflurane 투여 및 국소마취 시행시 심박수와 수축기 혈압의 일시적인 변화가 관찰되었지만 곧 정상범위 내로 회복되었으며 안정되었다(p<0.05). 3. Enflurane 투여 후 바람직한 행동양상(Q:Quiet)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4. 안정된 생징후와 바람직한 행동양상으로 재 내원의 약속을 하지 않고 97%이상이 치료를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게 되어 환자, 보호자, 술자 모두에게 만족할 만한 결과를 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경구진정 실패 후 피부 도포마취제를 사용한 정주진정으로의 전환 치료 (CONVERTING FROM ORAL SEDATION TO INTRAVENOUS SEDATION USING TOPICAL ANESTHETICS ON SKIN AFTER ORAL SEDATION FAILURE)

  • 이은희;김승오;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3-217
    • /
    • 2010
  • Chloral hydrate와 hydroxizine을 이용한 경구진정법은 적용대상의 나이와 체중에 따라 제한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경구 진정법은 36개월 미만, 체중 15 kg 미만의 환아에서 가장 좋은 진정 효과를 보인다. 그러나 36개월 이상 또는 15 kg 이상의 환아에 대해서는 경구진정법이 적절한 진정 효과를 얻는데 한계를 가지며, 얕은진정으로 인해 시술 중 잦은 움직임을 보여 쉽게 진정에 실패하게 된다. 진정 실패 시 고려 할 수 있는 대안은 추가적인 약제 투여로 인한 재진정의 유도나, 좀 더 깊은진정 법으로의 전환이 있다. 그러나 깊은진정법으로의 전환은 환아의 움직임과 동통의 감소를 위해 흡입마취제 및 마취기계가 요구되어 외래 진료실에서는 쉽게 선택되지 못한다. EMLA cream(Eutectic Mixture of Local Anesthesia)은 피부의 도포마취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제로 본 증례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자극 없이 정주진정 경로를 확보하여 경구진정에서 정주진정으로의 전환에 성공하였다. 만 46개월, 체중 15 kg 남아가 다발성 우식을 주소로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일반적인 행동조절 하에 치료 권유하였으나 보호자의 요구에 의해 경구진정 시도하였으며, 경구진정 실패를 고려하여 복용 전 EMLA cream을 사전 도포하였다. 경구 복용 90분 경과 뒤에도 진정효과를 얻지 못하여 보호자의 동의하에 아산화질소를 이용하여 얕은진정 유도 후, EMLA cream 도포 부위에 정맥로를 확보하였다. 총 시술 시간 2시간 30분으로 특별한 부작용 없이 성공적으로 시술을 완료하였다.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시 투여한 Furosemide가 수술중, 후 혈중 나트륨 및 삼투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rosemide on perioperative Serum Osmolality and Electrolytes during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Prostate)

  • 김세연;노운석;박대팔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10-120
    • /
    • 1992
  • 경뇨도 전립선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furosemide부여에 따른 혈중 나트륨치와 삼투질 농도를 비교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혈중 나트륨치는 대조군에서 술전에 비해 10분, 20분, 30분, 수술직후에 의의있는 감소(p<0.05)가 있었으나 실험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2. 혈장 삼투질농도와 유효 삼투질농도는 대조군에서 술전치와 비교시 술중 30분과 수술직후에 의의있는 감소(p<0.05)가 있었으나 실험군에서는 잘 유지가 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술중 흡수된 관류액의 영향을 줄일 목적으로 furosemide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혈중나트륨치와 삼투질농도를 잘 유지시키기에 그 예방적 투여가 의의있다고 사료되며 특히 울혈성 심부전이나 신부전이 있는 환자의 수술시 furosemide를 투여하면 그 의의가 더 클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임상에서의 투약오류원인과 관련 의약품 분석 - AJN에 기고된 Medication Error 기사의 73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ypes and Causes of Medication Errors and Related Drugs - by Analyzing AJNs Medication Error 73 Cases -)

  • 조원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6-18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llustrate the various medication error types and causes and identified to related drug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ng nurses' medication error by analysing 73 cases of AJN 'medication Error' column(1993, Oct -2000, Nov). Nurses' types of medication error were classified into 7 types. The most frequent error types are wrong medication$(21.9\%)$ and the wrong dose$(21.9\%)$ together. The others are wrong $time(4.1\%)$, $omission(2.7\%)$, mechanical $error(2.7\%)$, incorrect IV $rate(1.4\%)$. wrong route $administration(1.4\%)$ in order. Nurses' causes of medication error were 9 kinds. The most frequent type is confusing between similar drug shape, color, size, name, injection devices and patient's $name(43.9\%)$ and the others are lack of knowledge about $drugs(26.8\%),\; slips(7.3\%),\; miscalculating\;dose(4.9\%)$, incorrect adjusts $devices(4.9\%)$, difficulty to read or illegible decimal $point(4.9\%),$ $abbreviation(2.4\%)$, fatigue with $overwork(2.4\%)$ and no communication with $patient(2.4\%)$ in order. Related drugs with medication error are as follows. - dose unit(IU. minims. mcg/min. mEq) : Heparin. insulin. synthetic calcitonin, some enzymes and hormones, vitamins, some antibiotics, tuberculin injection. MgSO4 injection. nitroglycerin - similar size, color and shape drug : $0.9\%$ N/S and acetic acid $0.25\%$ for irrigation. premixed 2mg lidocaine sol. and $0.9\%$ N/S, gentamycin 20mg/2mL for children and 80mg/2mL for adult, dextroamphetamine 5mg and 10mg capsule. sedatives chloral hydrate 250mg/5mL and 500mg/5mL - similar name :Aredia(pamidronate disodium) and Adriamycin(doxorubicin), Lamictal (lamotrigine) and Lamisil 250mg. Elderpryl and enalapril, cefotaxime and cefoxitin, carboplatin and cisplatin, sumatriptan and zolmitriptan, Celebrex and Celexa, Humulin and Humalog, Percodan and Percocet, Diabeta and Diabinese, Epivir and Retrovir, Xanax(alprazolam) and Zantac(ranitidine) - decimal point : low molecular weight warfarin, methotrexate - unfamiliar drug uses of familiar drug ; methotrexate. droperidol, imipramine, propranolol - number of drug name(misleading chemical name) : 6-thioguanine, 6-mercaptopurine, 5-fluorouracil - type of administration route : Oxycodone(OxyContin). - administration time : acarbose(Precose). - injection way (Z-track method): hydroxyzine - epidural cathether : LMWHs(enoxaparin, dalteparin), - ADD Vantage self contained delivery system : ceftriaxone(Rocephin)

  • PDF

한국 소아 청소년의 치과 치료 시 진정법 경향 (Trends in Dental Sedation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 탁민경;김재곤;양연미;이대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13-323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소아청소년의 치과 치료 시 진정법 경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5년까지 국민 건강 보험 공단의 표본 코호트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진정법 하 시행된 치과 치료에 대해 조사하였다. 진정법 하 치과 치료는 2002년에는 436건이었으나, 2015년에는 4002건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3 - 5세 집단이 가장 큰 비중(54.2%)을 차지하였으며, 최근에는 6 - 8세 집단이 증가하였다. 아산화질소-산소 흡입 진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고, 2002년에는 45.9%를 차지하였으나, 2015년에는 89.5%로 증가하였다. 진정 약물을 혼합 사용하는 경우, 아산화질소-산소 흡입 진정, 클로랄 하이드레이트, 하이드록시진 조합이 가장 많았고, 2002년에는 5.7%를 차지하였으나, 2015년에는 2.9%로 감소하였다. 이를 토대로 진정법 하 치과 치료는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안전한 방향으로 변화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nalysis of the annual changes in dental institutions that claimed dental sedatives in Korea and the types of sedatives using health care big data

  • Minjae Lee;Seong In Chi;Hyuk Kim;Kwang-Suk Seo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3권2호
    • /
    • pp.101-110
    • /
    • 2023
  • Background: Dentists make various efforts to reduce patients' anxiety and fear associated with dental treatment. Dental sedation is an advanced method that dentists can perform to reduce patients' anxiety and fear and provide effective dental treatment. However, dental sedation is different from general dental treatment and requires separate learning, and if done incorrectly, can lead to serious complications. Therefore, sedation is performed by a limited number of dentists who have received specific train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oportion of dentists who practice sedation and the main sedatives they use in the context of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We used the customized health information data provided by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We investigated the number of dental hospitals or clinics that claimed insurance for eight main sedatives commonly used in dental sedation from January, 2007 to September, 2019 at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We also identified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dental medical institutions by region and year and analyzed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dental medical institutions prescribing each sedative. Results: In 2007, 302 dental hospitals prescribed sedatives, and the number increased to 613 in 2019. In 2007, approximately 2.18% of the total 13,796 dental institutions prescribed sedatives, increasing to 3.31% in 2019. In 2007, 168 institutions (55.6%) prescribed N2O alone, and in 2019, 510 institutions (83.1%) made claims for it. In 2007, 76 (25.1%) hospitals made claims for chloral hydrate, but the number gradually decreased, with only 29 hospitals (4.7%) prescribing it in 2019. Hospitals that prescribed a combination of N2O, chloral hydrate, and hydroxyzine increased from 27 (8.9%) in 2007 to 51 (9%) in 2017 but decreased to 38 (6.1%) in 2019. The use of a combination of N2O and midazolam increased from 20 hospitals (6.6%) in 2007 to 51 hospitals (8.3%) in 2019. Conclusion: While there is a critical limitation to the investigation of dental hospitals performing sedation using insurance claims data, namely exclusion of dental clinics providing non-insured treatments, we found that in 2019, approximately 3.31% of the dental clinics were practicing sedation and that N2O was the most commonly prescribed sed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