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geological map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지하수오염 예측을 위한 GIS 활용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USING GIS)

  • 조시범;손호웅
    • 지구물리
    • /
    • 제7권2호
    • /
    • pp.121-134
    • /
    • 2004
  • This study has tried to develop the modified DRASTIC Model by supplying the parameters, such as structural lineament density and land-use, into conventional DRASTIC model, and to predict the potential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using GIS in Hwanam 2 District, Gyeonggi Province, Korea. Since the aquifers in Korea is generally through the joints of rock-mass in hydrogeological environment, lineament density affects to the behavior of groundwater and contaminated plumes directly, and land-use reflect the effect of point or non-point source of contamination indirectly.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lattice-layers of each parameter were generated, and then level of confidence was assessed by analyzing each correlation coefficient. Groundwater contamination potential map was achieved as a final result by comparing modified DRASTIC potential and the amount of pollutant load logically. The result suggest the predictability of contamination potential in a specified area in the respects of hydrogeological aspect and water quality.

  • PDF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우리나라 인공함양 개발 유망지역 분석 (Site Prioritization for Artificial Recharge in Korea using GIS Mapping)

  • 서정아;김용철;김진삼;김용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6호
    • /
    • pp.66-78
    • /
    • 2011
  • It is getting difficult to manage water resources in South Korea because more than half of annual precipitation is concentrated in the summer season and its intensity is increasing due to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Artificial recharge schemes such as well recharge of surface water and roof-top rainwater harvesting can be a useful method to manage water resources in Korea. In this study, potential artificial recharge site is evaluate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ith hydrogeological and social factors. The hydrogeological factors include annual precipitation, geological classification based on geological map, specific capacity and depth to water level of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These factors were selected to evaluate potential artificial recharge site because annual precipitation is closely related to source water availability for artificial recharge, geological features and specific capacity are related to injection capacity and depth to water is related to storage capacity of the subsurface medium. In addition to those hydrogeological factors, social aspect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by selecting the areas that is not serviced by national water works and have been suffered from drought. These factors are graded into five rates and integrated together in the GIS system resulting in spatial distribution of artificial recharge potential. Cheongsong, Yeongdeok in Gyeongsangbuk-do and Hadong in Gyeongsangnam-do, and Suncheon in Jeollanam-do were proven as favorable areas for applying artificial recharge schemes. Although the potential map for artificial recharge in South Korea developed in this study need to be improved by using other scientific factors such as evaporation and topographical features, and other social factors such as water-curtain cultivation area, hot spring resorts and industrial area where groundwater level is severely lowered, it can be used in a rough site-selection, preliminary and/or feasibility study for artificial recharge.

GIS 수치지도를 이용한 수리지질학적 변수와 지하수 유동의 분포 (Distributions of Hydrogeological Variables and Flow Field on GIS Digital Map)

  • 이처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5-58
    • /
    • 1999
  • 경북 포항 북부 지역의 지하수면고도(수두)와 로그-투수량계수의 분포 상황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수치지도를 활용하였다. 특히 분포 상황 구현을 위해 자연 지하수층내의 유한한 측정치들에 지하탐사 통계학적 방법 kriging을 이용하였다. 계산된 variogram들은 spherical model로 근사하였으며 nugget과 range는 각각 0과 6km로 취하였다. 수두의 분포는 북서쪽의 peak로부터 대체로 동쪽 방향으로 낮아지며, 로그-투수량계수는 중심부근에서 최대값을 보이고 외곽쪽으로 감소한다. 지하수면고도와 로그 투수량계수의 분포로부터 지하수의 동쪽 및 북쪽 방향 유량을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유동의 방향은 peak로부터 대체로 동향이고 peak의 동쪽방면에서 발산하는 경향을 보인다. 지역내의 몇 지점에서는 수렴하는 유동이 나타나기도 한다.

  • PDF

Saudi Arabia 북서부의 지하수조사 (Groundwater Investigation in Northwestern Part of Saudi Arabia)

  • 한정상;정수웅
    • 물과 미래
    • /
    • 제8권2호
    • /
    • pp.30-40
    • /
    • 1975
  • Hydrogeological survey and geophysical prospecting have been carried out in Saudi Arabia for the purpose of finding groundwater in the soil and rock at the request of General trading company in Jeddah, Saudi Arabia. The surveyed area is located on $38^{\circ}-39^{\circ}$ 30' in longitude and $26^{\circ}-26^{\circ}$ 30' in latitude. The topography of this area is dominated by northwest southeast mountain range composed mostly of precambrian rocks and basalt of tertiary period. Geology is mainly composed of greenstone, granite, andesite, diorite rhyolite of pre-cambrian era and sandstone of cambrian period which are underlained by basalt and andesite of tertiary period and alluvium of quaternary unconformably.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investigation are TR-18B2 radioactivity unit which isjapanese patented and A.C. Terrameter, a resistivity meter manufactured by ABEM of Stockholm, Sweden. Radioactivity method has been conducted along the Alula-Khaybar road, totally 164Km by the car-borne. As a result of the above survey 16 places have been selected and these anomalies show 1.2N-1.6N compared to background of each area in intensity with width of 10-50m. Resistivity vertical profiling which made use of Schlumberger configuration method has been made over selected areas by radioactivity method to provide hydrogeological information for a water resources survey. The result of resistivity shows that good aquifers are located in the western part of surveyed area where sedimentary rock is distributed. The strata showing 10-50, ${\Omega}-m$ in resistivity are thought to be waterbearing layer. The variations in aquifer resistivity found, are thought to be due to verying clay content, which could be related to aquifer yield. It has proved impossible to detect small salinity variation in the buried aquifer by geophysics. As a result of resistivity prospecting 10 places are recommended to be drilled at the anomalies as shown attached map. yields from the proposed holes have been estimated approximately from $20m^3$ to $200m^3$ per day. Prior to drilling for groundwater, test boring using ${\c}4"$ should be drilled in order to obtain more reliable hydrogeological inform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perfect wells.ells.

  • PDF

GI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서울시 1/5,000 수문지질도 작성방안연구

  • 김윤종;이석민;원종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101-116
    • /
    • 2000
  • 서울시는 지하수법의 시행기관으로서 관할구역의 지하수에 대한 체계적개발·이용 및 보존관리를 수행하여야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지하수의 체계적관리를 위한 기본연구로서 GI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1/5,000 수문지질도를 시범작성하였으며, 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서울시청 및 각 자치구청에서는 이러한 대축척의 수문지질도를 이용하여 지하수의 체계적 관리 및 개발이용에 관련된 신고, 허가 업무를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수문지질도의 정보들은 서울시에서 구상하고 있는 지하수관리, 통합정보시스템 내에 대단위의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될 예정이며, 본 연구를 통하여 1/5,000 수문지질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지형지물 및 속성정보에 대한 분류체계가 정립되었다.

  • PDF

Prediction of karst sinkhole collapse using a decision-tree (DT) classifier

  • Boo Hyun Nam;Kyungwon Park;Yong Je Kim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6권5호
    • /
    • pp.441-453
    • /
    • 2024
  • Sinkhole subsidence and collapse is a common geohazard often formed in karst areas such as the state of Florida, United States of America. To predict the sinkhole occurrence, we need to understand the formation mechanism of sinkhole and its karst hydrogeology. For this purpose, investigating the factors affecting sinkholes is an essential and important step. The main objectives of the presenting study are (1) the development of a machine learning (ML)-based model, namely C5.0 decision tree (C5.0 DT), for the prediction of sinkhole susceptibility, which accounts for sinkhole/subsidence inventory and sinkhole contributing factors (e.g., geological/hydrogeological) and (2) the construction of a regional-scale sinkhole susceptibility map. The study area is east central Florida (ECF) where a cover-collapse type is commonly reported. The C5.0 DT algorithm was used to account for twelve (12) identified hydrogeological factors. In this study, a total of 1,113 sinkholes in ECF were identified and the dataset was then randomly divided into 70% and 30% subsets for training and testing, respectively. The performance of the sinkhole susceptibility model was evaluated using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particularly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The C5.0 model showed a high prediction accuracy of 83.52%. It is concluded that a decision tree is a promising tool and classifier for spatial prediction of karst sinkholes and subsidence in the ECF area.

GIS를 이용한 지하수오염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using GIS)

  • 조시범;손호웅;이강원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2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기존 DRASTIC 모델에 구조선밀도, 토지이용 인자 등을 추가한 수정 DRASTIC 모델을 설정하여 경기도 화남2지구의 지하수오염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2가지 인자를 추가로 설정한 이유는 우리나라의 수리 지질학적 환경에서 대수층은 대부분 암반 대수층인 점을 고려할 때, 구조선밀도는 지하수 및 오염물질 유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토지이용은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각 인자별 격자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관계수를 분석함으로서 신뢰도를 판단하였다. 최종 결과물인 지하수오염가능예측도는 '수정 DRASTIC 취약성'과 오염원의 발생 부하량 값을 논리적으로 비교함으로서 수리지질학적인 측면에서의 오염가능성 지역과 수질측면에서의 오염가능성 지역을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GIS를 이용한 경기도 화남2지구의 지하수오염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USING THE GIS IN HWANAM 2 SECTOR, GYEONGGI PROVINCE, KOREA)

  • 손호웅
    • 지구물리
    • /
    • 제4권4호
    • /
    • pp.267-285
    • /
    • 2001
  • 본 연구는 DRASTIC 모델에 구조선밀도, 토지이용 인자를 추가한 수정 DRASTIC 모델을 개발하여 경기도 화남2지구의 지하수오염 가능성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수리지질 환경에서 대수층은 대부분 암반 대수층인 점을 고려했을 때, 구조선밀도는 지하수 및 오염물질 유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토지이용은 점오염원 혹은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각 인자별 격자 레이어를 생성하고, 각각의 상관계수를 분석함으로써 신뢰도 여부를 판단하였다. 최종 결과물인 종합오염현황도는 수정 DRASRIC Potential과 여러 가지 오염원의 발생 부하량 값을 논리비교함으로써 수리지질학적인 측면에서의 오염가능성 지역과 수질측면에서의 오염가능성 지역을 예측할 수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GIS를 이용한 경기도 화남2지구의 지하수오염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using the GIS in Hwanam 2 Sector, Gyeonggi Province, Korea)

  • 손호웅
    • 공학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89-107
    • /
    • 2004
  • 본 연구는 DRASTIC 모델에 구소선밀도, 토지이용 인자를 추가한 수정 DRASTIC 모델을 개발하여 경기도 화남2지구의 지하수오염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수리지질 환경에서 대수층은 대부분 암반 대수층인 점을 고려했을 때, 구조선밀도는 지하수 및 오염물질 유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토지이용은 점오염원 혹은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각 인자별 격자 레이어를 생성하고, 각각의 상관계수를 분석함으로써 신뢰도 여부를 판단하였다. 최종 결과물인 종합오염현황도는 수정 DRASTIC Potential과 여러 가지 오염원의 발생 부하량 값을 논리비교함으로써 수리지질학적인 측면에서의 오염가능성 지역과 수질측면에서의 오염가능성 지역을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지하수 분류도 작성에 의한 서울시 지하수 보전지구 선정\ulcorner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Groundwater Conservation Area Using Groundwater Classification Map)

  • 김윤종;이석민;원종석;이성복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6권4호
    • /
    • pp.97-112
    • /
    • 2001
  • 지하수의 보전 보호를 위한 정책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지역적으로 지하수 보전구역을 지정하여 관리하는 것이며, 지하수 보전구역은 지하수법(제12조)에 의하여 지하수 보전지구와 개발제한지구로 분류되어 관리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금번연구에서는 GIS(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서울시 지하수 분류도를 먼저 작성한 후 가장 수질이 양호한 1급 및 2급 지하수 대창지역(상류의 지하수 함양지역이나 유일 대수층지역 등)을 지하수 보전지구의 우선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지하수분류는 건설교통부(2000)에서 제시한 지하수의 현재 수질상태, 음용수원으로서의 현재 및 장래 이용성, 기초 수리지질특성, 각종 지하수오염유발행위.시설 소재여부 등에 따라 4등급 분류방법을 기본으로 하였다. 작성된 지하수 분류도에서 1차 선정된 서울시 지하수 보전지구 우선 대상지는 약 57,1$\textrm{km}^2$(서울시 전체면적의 약 9.4%)로 나타났으며, 보전지구의 최종 지정을 위해서는 대상지역에 대한 지하수 정밀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지하수 보전지구의 관리방안도 제주도(2000)와 건설교통부(2000)의 지하수 보전관리계획을 참조하여 서울시에 적합한 안이 마련되었다.

  • PDF